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주우이, 양파링, 잔쟈니, 권유디

A지역은 투자 공부를 시작하면서 자주 들었지만, 실제 '앞마당'으로 만들 엄두는 내지 못했던 곳이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A지역의 전반적인 개요와 생활권을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었으며, A지역이 가진 핵심적인 가치를 명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A지역의 가장 큰 강점은 교통 접근성입니다. 특히 서울 투자의 핵심인 강남 접근성을 확보하고 있으면서도 아직 그 가치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보물 같은 지역'**이라는 확신을 얻었습니다
강의를 통해 지역의 투자 매력을 확인한 것을 넘어, 실질적인 투자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배운것이 가장 큰 수확이었습니다.
단순히 가격이나 전고점 도달 여부에만 초점을 맞췄던 기존의 시세 정리 방식에서 벗어나, 다음의 네 가지 가치 판단 기준을 적용하여 투자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역세권: 도보 10분 이내
노선(호선): 핵심 교통 노선 여부
아파트 밀집도: 균일한 주거 환경 형성 여부
대단지: 1,000세대 이상
앞으로는 이 기준에 따라 단지 가치를 파악하고, 단지임장, 전화 임장, 매물 임장 등을 통해 선호 단지의 가치를 정확 히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작업을 바로 시작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최근 '실거주 2년'을 염두에 두고 예산이 아닌 지역을 먼저 정하다 보니 현실적인 벽에 부딪혀 우울했고, 투자를 잠시 멈출까 하는 고민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강사님께서 던지신 **"100% 만족하는 집을 못 살 수 있다. 그래도 2년은 버텨볼 만한 시간 아닐까?"**라는 질문은 저의 갈팡질팡하던 마음을 다잡게 해주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실거주 입주 후의 자산 활용 전략을 단계별, 시기별로 명쾌하게 설명해 주신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
입주후 2년동안 투자를 위한 돈 모으기, 대출금 상환, 전세 세팅 준비, 이사 갈 후보 지역 선정, 전세 계약, 이사 갈 집 계약, 주담대 상환 및 이사 등...
입주 후 2년 동안 해야 할 일이 매우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월부 커뮤니티에 계속 몸담으며 **'독/강/임/투(독 서/강의/임장/투자)'**를 꾸준히 실행한다면 계획대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이번 강의는 A지역에 대한 투자 확신뿐만 아니라, 실행 단계에서의 구체적인 로드맵과 흔들리지 않는 투자 마인드를 심어준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