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1억 만드는 가장 빠른 첫 시작, 재테크 기초반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김인턴

1강 과제를 어렵게 마치고 2강을 듣기 전까지 잠시 머리를 식힐 수 있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저는 2021년에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알게 된 후 미래에셋증권에 연금계좌를 개설해
적금처럼 입금하고 있었어요.
지금 생각하면 참 어처구니없었지만, 그래도 세액공제를 받았다는 점이 위안이었습니다.
올해 4월, 30년간 한 직장에서 일하며 “이제는 정말 퇴직을 준비해야 하나?” 하는
마음으로 우리 집 전체 재산을 정리해 봤습니다.
그런데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 ㅠㅠ

집도 없고, 전세도 비싼 편이 아니여서 순자산이라고 부르기 어려울 정도로
처참한 상황이었어요.
정년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고,
그때부터 블로그·카페·책등을 찾아보며 공부를 시작했어요.
이후 연금저축계좌에 ETF를 사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목표는 시드머니 1억을 빠르게 만드는 것이었고,
그래서 7개월간 매월 배당 ETF를 집중적으로 매수했어요.
운 좋게도 올해 주식시장이 좋아서 7개월 수익률이 21.44%나 됐습니다.
ETF 관련 책들을 보면서 공통적으로 강조되는 것이 미국 S&P 500 투자였는데,
'광화문금융러님'의 강의도 같은 방향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2강을 들으면서 뼈대만 세워져 있던 제 재테크 지식에 제대로 살이 붙는 느낌이었고,
연금저축· ISA 계좌를 앞으로 어떻게 투자해야 할지 방향이 잡혀가는 듯 합니다.
현재 저는 연금저축 2개, IRP 1개, ISA 1개, 그리고 딸의 ISA(서민형) 1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봉이 7,800만 원 정도라 연말정산이 부담스럽기도 해서,
올해부터 연금저축과 IRP를 합산해 900만 원을 납부하고 있어요.
구분 | 계 | 연금저축 1 | IRP | ISA | 연금저축 2 |
계 | 145 | 50 | 25 | 70 | α |
나 | 100 | 50 | 25 | 25 | α |
딸 | 45 |
|
| 45 |
|
앞으로는 위 표 금액만큼만 규칙적으로 납입하고,
남는 금액은 두 번째 연금저축계좌로 옮겨 운용해 보고자 합니다.
또한 딸아이의 청년도약계좌에도 추가 납입해
투자기반 자본금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려 합니다.
그리고 그동안 일반 주식계좌에서는 세금 문제를 크게 신경 쓰지 않았는데, 앞으로는
ISA나 연금저축계좌를 잘 활용해 세제 혜택을 살려 효율적으로 투자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광화문금융러님'의 강의는 진정성과 노력이 많이 느껴졌습니다.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이렇게 열정적으로 강의해 주시는 점이 정말 감사했습니다.

‘광화문금융러’님의 열정적인 강의가 헛되지 않도록 지치지 않고
꾸준히 ! 열심히 ! 공부하고 또 공부하고, 투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