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26년 1월 돈버는 독서모임 - <머니트렌드 2026>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 소개
STEP2. 본깨적
✅ 본: (p.27.) 저는 일을 통해 성장한다고 생각합니다…
처음엔 짜증이 났지만 마음을 고쳐먹었대요. 자기는 신입사원으로 올해 우리 회사에서 복사를 제일 깨끗이, 빨리 하는 사람이 되겠다고요. 그래서 회사의 모든 복사기를 다 조사했고 이젠 어느 층의 어느 복사기가 제일 복사가 잘되는지 알고 있다고.
✅ 깨: 결국 본인의 어떻게 상황을 바라보고 해석하느냐가 성공을 좌우한다. 모든 것에는 배울점이 있고 성장할 수 있는 영역이 있다.
✅ 적: 지금 나에게 주어진 이 환경이 때로는 어려움으로 다가올 수 있지만 항상 그 과정에서 더 배울점은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성장의 밑거름으로 삼자.
✅ 본: (p.51.) 하지만 자신이 하는 일에서 확고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면 든든한 ‘백’을 가진 거나 다름없습니다. 그러니 자신이 하는 일의 의미를 찾아내는 일은 아주 아주 중요합니다.
긴 시간 일하다 보면 때때로 흔들리는데, 내가 찾은 내 일의 의미는 그럴 때 뿌리까지 흔들리진 않도록 우리를 잡아줍니다. 의미를 찾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행복할 확률은 낮지만 파도가 덮쳐올 때 덜 흔들릴 수 있어요!
✅ 깨: 우리가 하루 24시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것이 직장이다. 이러한 직장에서 일의 의미를 찾아낼 수 있다면 많은 성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기쁨을 느낄 수 있다. 직장인 투자자로서 투자에 더 몰입하기 위해 이런 일적인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일의 의미를 찾고 기쁨을 느껴서 일의 영역이 안정적이게 된다면 내 투자 생활에도 큰 도움이 되고 큰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내 전반적인 인생이 더 즐거워질 것 같다.
✅ 적: 일에서 얻을 수 있는 기쁨과 즐거움이 무엇인지를 찾아보자. 그러면 일의 의미를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 본: (p. 56.) 자신의 일을 붙들고 조금이라도 더 잘하고 나아지기 위해 어제의 자신을 부정하며 고민을 거듭하다 보면 겉에선 잘 보이지 않던 것들이 서서히 보이기 시작합니다. 자기만의 관점, 시선이 생기는 겁니다. 이건 고민을 하는 사람들에게만 주어지는 귀한 선물이에요
✅ 깨: 지금 내가 고민하는 시간들도 축적되다 보면 나만의 관점과 시선이 생길 것 같다. 그리고 과거의 고민 덕분에 지금 만들어진 나의 관점과 시선도 있다는걸 어렴풋이 느껴가고 있다. 그런 힘들었던 고민의 시간들이 나의 성장을 만들어내는 것 같다. 더 집요하게 고민하고 생각하자.
✅ 적: 지금 고민하는 시간들이 모두 축적된다는 것을 믿고 좀 더 잘하기 위한 고민과 실천을 꾸준히 하기
✅ 본: (p. 71.) 우선 일에 대하나 관점을 달리해 일을 기회라 여겨보세요. 개인이라면 아무리 돈이 많아도 얻기 어려운 기회를 회사 덕분에 가진다고 생각하는 거죠.
✅ 깨: 늘 회사 업무는 나에게 스트레스이고 회피해야 하는 걸로만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관점을 바꿔보면 회사가 아니였다면 나는 이런 일을 평생 경험해보지 못했을 것이다. 이렇게 특수한 환경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활용해보고, 이렇게 큰 금액을 다루면서 여러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 해보는 경험은 회사가 아니라면 경험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분명히 나는 배운게 많고 성장한게 많다.
✅ 적: 회사 업무를 대하는 나의 관점을 바꾸자. 회사 덕분에 평생 경험해보지 못할 일들을 경험하며 많은 성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 본: (p. 73.) 그런 밀도의 차이는 결국 10년 뒤 능력과 퍼포먼스의 차이로 드러나기 마련입니다. 처음부터 능력이 달랐던 게 아니라 일을 바라보는 시선, 일을 대하는 태도가 달랐기 때문일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 시선과 태도가 있었으므로 경험과 인사이트도 축적되며 눈에 띄는 격차를 만들어냈을 겁니다.
✅ 깨: 결국 모든건 마인드의 문제이다. 어떤 상황이 벌어졌을때 어떤 마음가짐과 태도로 받아들이고 행동하는지에 따라 모든 경험이 나에게 성장의 기회로 다가올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바로 성장하고자 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는 나라는 사람이다.
✅ 적: 어떤 상황에서도 배움의 기회를 찾을 수 있게 노력하자.
✅ 본: (p. 275.) 그럼 왜 애초에 성취 그래프는 45도 우상향이 아니라 계단식인 걸까? 저는 이 질문도 제게 던졌습니다. 그리고 어느 날 이런 답이 떠오르더군요. ‘단단한 소수를 걸러내는 우주의 테스트’라고요. “정말 그거 하고 싶어?” “어렵고 힘들어도 꼭 그 일을 할 거야?” 이런 질문에 끝내 “네!”라고 답할 사람, 간절히 원하는 사람에게 기회가 돌아가게 하려는 게 아닐까 생각하게 됐습니다.
✅ 깨: 모든 가치 있는 것들은 험난한 과정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포기하고 쉽게 다다를 수 없기 때문에 더욱 가치가 생기는 것 같다. 모두가 포기할 때 한 걸음 더 내딛는 사람은 그만큼 간절한 사람이고 그만큼 많은 것을 포기하고 몰두한 사람이다. 부자가 되기 위해 너는 무엇을 걸 수 있니? 라고 묻는다면…
✅ 적: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자가 되기 위해 내가 걸 수 있는 정도는 어디까지? 그 정도가 바로 내가 부자가 될 수 있는 크기 이지 않을까
✅ 본: (p.338.) 다시 한 번 써봅니다. 우리는 죽을 때까지 자기 자신과 살다 갑니다. 죽도록 사랑했던 사람과도 언젠가는 헤어져야 합니다. 그러니 죽는 순간까지 함께하는 존재는 바로 자기 자신입니다. 그런 존재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나요? 얼마나 사랑하나요? 아, 오해를 하지 말기 바랍니다. 언제나 자기 자신만 생각하라거나 이기적으로 살아야 한다는 뜻은 아니니까요. 타인의 기준과 취향에 맞추려고만 하지 말고 자신의 뜻과 욕망도 존중하며 일하고 살라는 의미입니다. 우리는 다 ‘자기 인생’을 사는 것이며, 자기계발 역시 좀더 잘 살아보자고 하는 거니까요.
✅ 깨: 일을 열심히 하고 일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의미를 찾는 행위 모두 정말 멋있고 좋은 마인드이다. 다만, 그 이전에 가장 중요한 건 나의 뜻과 욕망이다. 만약 일을 하는 과정에서 나에게 큰 의미와 뜻이 느껴지지 않는다면, 나의 인생의 중요한 부분을 많이 할애해야 한다면 좀 더 깊은 관점에서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결국 우리는 시간이 흘러 일을 하지 않는 상태가 될 것이고 그때 남게 되는건 유일한 나 자신이다. 그 순간을 맞이했을때 나에게 후회가 남지 않도록 지금 많이 고민하고 열심히 노력하자.
✅ 적: 일이라는 영역이 사라지고 나라는 사람 혼자만 남게 됐을때 후회가 남지 않고 잘 살았다는 감정이 남도록 지금 많이 고민하고 많이 노력하기

댓글
걷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