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1호기 준비 중인 부린이입니다!
강의를 들었어도 실전에 투입 하려니 모르는게 투성이네요… 시가보다 저렴하게 나온 물건이 있어서 내일 매임
보러 가기로 했는데 대출과 근저당이 많이 껴 있는 상황이더라구요.
근저당을 매각할 때 갚는건지 이 전에 갚는건지는 아직 확인을 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매매가가 5.4인데 대출금과 근저당이 너무 높게 껴있어서 위험한 물건일까요?
제 계획은 대출을 중도금으로 갚아주고 근저당 말소 조건을 넣고 새로운 세입자를 구하는 것인데, 근저당 말소 조건으로 전세대출이 나올지가 궁금합니다. 은행마다 다르겠지만…
이런 경우라면 진행 순서를 어떻게하면 좋을지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댓글
안녕하세요~~ 안나0314님! 댓글을 달려다 위의 표에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는데 대출금: 누가 대출 받은건가요? 전세금: 임차인이 전세대출을 받은건가요? 근저당: 집주인이 집을 담보로 받은 대출인거죠? 심플하게 집에 저당 잡힌 금액들이 얼마냐를 봐야하는데 위는 전세금 + 근저당 해서 5.3억이 지금 담보로 잡혀있는 물건으로 보입니다. 매매가가 5.4억이기때문에 약간은 위험하지만 근저당 말소등기 조건으로 중도금을 준다면, 집주인이 받은 중도금으로 근저당부터 말소 해야 하고 (그럼 공부상 채권관계는 깨끗해지는것) 그런다음 전세를 줘야하는데요, 보통 중도금을 저렇게 많이 주지는 않긴합니다. 근저당 말소조건부 전세대출 역시 은행마다 나오는데가 있고 아닌데가 있는데요. 이부분도 은행마다 달라 사실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아래 3천만원의 NH캐피탈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이부분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다소 위험이 있다고 접근못할 물건은 아니라고 생각 되긴 하는데요 단 저당물건 가격보다 채권액이 반드시 낮을것 (여유있게) 근저당은 실제 근저당금액인건지, 채권최고액이 저 금액인지 확인할 것 그리고 계약 전에 근저당 말소 조건으로 대출 불가 시 계약 취소 등의 특약을 넣을 것 전세입자를 놓기 전에 공부상 이력이 하나도 없이 깨끗해야 할 것 이런 조건들이 가능한지 확인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차근차근 확인해보세요~!
안녕하세요~~안나0314님 근저당 물건이 있는 물건 매수때문에 고민이시군요~~ 보여주신 자료만 보면 대출금액이 매매가격을 초과해서 깡통물건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이부분은 제외하고 근저당 물건 매수 프로세스를 말씀드리면 계약금 + 중도금 입금하면서 근저당을 상환하는 조건으로 합니다 그러면 물건에 남는것이 없기 때문에 세입자를 맞추는데 문제는 없습니다 그러나 근저당이 남아있으면 세입자는 후순위가 되기 때문에 경쟁물건보다 압도적으로 저렴하지 않다면 선택받기 힘듭니다~~ 안나0314님 근저당물건관련해서 잔금 등 감당이 가능한지 잘 계산 후 좋은 선택하시길 응원드립니다
안나님 안녕하세요~ 일단 대출+근저당+기타 대출을 합한 모든대출에 대해서 채권최고액이 집값을 넘기지않아야합니다. 넘게되면 안나님이 집값을 지불하더라도 말소가 어렵기때문입니다. 이러한 물건은 말씀하신대로 안나님이 직접 계약금, 중도금을 중간중간 넣으면서 대출을 하나씩 말소해나가야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말씀주신대로 계약금+중도급으로 대출을 말소한다면 대출 은행으로 직접 입금이 가능한지, 아니면 실제로 대면하여 눈앞에서 매도자가 상황하는 것을 보는 것이 안전할 것 같습니다. 더불어 이렇게 1차적으로 해결하게되면 남은 근저당의 경우에는 대출이 나올 수 있고 안나올 수 있습니다. 보통 조건부전세대출로 인해서, 근저당을 실행한 은행의 전세대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환조건으로 전세대출이 나오기도합니다. 하지만 연말이라서 이부분이 조금 더 타이트해질 수 있겠습니다. 자세한 상황은 실제 사용중인 상품 은행에 전화하셔서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러한 과정들이 복잡하니 다소 안전한 부채가 적은 물건을 검토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 안나님 1호기까지 안전하게 잘 마무리하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