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수강후기

[내마중21기 4조 지금 시작] 2강 수강후기

16시간 전

이제까지 월부 강의를 들으면서 계속 반복하여 새겨야 할 과정.. 즉, 부동산의 가치를 파악하고 가격을 파악하여 가치 대비 가격이 싼가? 에 대한 결론을 스스로 도출해야 함을 2강을 통하여 다시 한번 배웠습니다.

이렇게 반복하여 배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도  “이 아파트 괜찮나요?”, “지금 사도 되나요?”, “얼마에 사면 되나요?”,  “사면 더 오르겠죠? 진짜 더 오르겠죠?” 라고 되묻고 싶은 마음.. 바로 내 안의 마음이었습니다.  

마음을 차분히 하고 강의에서 알려준 대로 그대로 따라가 보리라 다시 한번 다짐합니다.

 

나에게 특히 와닿았던 점

 

2강에서는 부동산의 가치를 알기 위해서는 입지 가치와 상품 가치를 각 단지별로  직접 적용해보고 최선의 단지를 찾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입지 가치 중 수도권은 상대적으로 땅과 교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반면, 지방은 입지 가치 중 학군과 환경이 중요시되며 이와 더불어 상품 가치(연식, 세대수, 브랜드)도 가치 평가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지방 투자 내지 지방 내집 마련을 염두에 두고 있다 보니 지방의 단지 평가 과정을 유심히 보게 되었는데요,

실제 내가 단지의 가치를 평가한다고 했을 때 연식이 중요한지 학군과 환경 등 입지 가치가 더 중요한지 판단이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앞마당을 많이 만들어서 비교 평가를 할 수 있는 범위를 넓혀야 하겠다는 생각, 그 속에서 내가 감당 가능한 범위 내에서 비교 평가를 하는 툴을 많이 연습하여 사고의 폭을 넓혀야겠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또한 판단이 어려울 땐 10년, 20년 뒤에도 가치가 남을 단지인지 비교해보고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 특히 와닿았던 것 같습니다.

 

적용해보고 싶은 점

 

비교평가 단계별로 적용해보고 싶습니다.

우선 지역내 비교평가 후 지역간 비교평가, 마지막으로 상황별 비교평가를 함으로써 내 상황에 맞는 단지를 찾기 위한 과정을 단계별로 진행해보고 싶습니다.


댓글


단독세대주
3시간 전N

때마다 단지 가치를 직접 평가할 때는 어렵겠다는 생각 공감되네요 ㅎㅎ 단임 때 같이 열심히 적용해봐요 🫶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