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전문가칼럼

부동산 투자자의 주식 10년 투자 복기, 수익률 -15%

1시간 전

안녕하세요 줴러미입니다 🙂

부동산 투자자가 갑자기 주식 이야기냐고요?ㅎㅎ

그래서 이 글은 철저히 주린이 관점에서 쓴 이야기입니다

 

이전 직장에서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지난 10년간 매달 일정 금액 주식을 샀습니다

꾸준히 적립식 투자한 것이죠

 

현재 수익률은 제목에 써있는 것 처럼 -15%입니다

원래 -25%였는데 최근 주식시장이 좋아서 회복했습니다ㅎㅎ

 

이 결과에 대해 복기했을 때 부동산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결국, 대상의 차이일 뿐 투자라는 행위는 같습니다

 

투자 성과 = ‘투자 대상 가치평가’ X '타이밍(시기)'

2개를 판단해야 합니다

 

 

1.투자 대상 가치평가

회사 자체는 업계 2위 수준이고 매년 이익을 내고 있지만

주식에서 투자 대상(회사)에 대한 가치는 단순 몇 가지 항목으로

평가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주식 가치평가 할 줄 모릅니다. 그래서 판단하지 못합니다

시장이 좋아져서 그저 내 주식이 올라주길 바랄 뿐이죠

 

그러나, 시장이 좋아지는 것은 내가 할 수 없는 것이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투자 대상을 공부하고 이해하는 것입니다

 

 

2.가장 중요한건 타이밍(시기)

무엇을 사느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언제 사느냐 입니다

주변에서 제일 부러운 사람은

좋은 자산을 갖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싸게 산 사람입니다

싸게 샀다는 것은 시기가 좋았다는 것이죠

‘삼성전자를 5만원에 샀다’

‘상도래미안3차 34평을 12.5억에 샀다’

 

시기를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이렇게 할 수 있습니다

쌀때 적극적으로 많이 사고

비쌀때 소극적으로 적게 산다

 

같은 1억을 가지고 주식투자를 한다면

A는 쌀때나 비쌀때나 매년 1,000만원씩 10년을 사지만

B는 쌀때는 3,000만원을 사고 비쌀 때는 300만원만 사는 것입니다

 

부동산으로 바꿔보면

가격이 쌀 때는 '적극적으로 매수’ 검토하고 ‘리스크’를 감당하고 ‘레버리지'도 검토합니다

반면 가격이 비쌀 때는 ‘소극적으로 매수' 검토하고 ‘투자를 하지 않을 결정’도 내립니다

 

지금 싼 시기인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3.지금 부동산은 싼 시기인가?

시작은 주식투자 복기였지만 마무리는 부동산입니다

최근 서울/경기/5대광역시 아파트 매매지수를 가져왔습니다

서울 일부를 제외하면 가격이 싼 시기라는 것을 알 수있습니다

 

 

  • 서울
    이제 전고점 수준을 회복했습니다
    구 별로 살펴보면 강남, 서초처럼 많이 오른 곳도 있지만
    성북, 노원, 구로처럼 아직도 저렴한 지역이 많습니다
    토허제가 지정된 후 ‘집 값 잡히겠지’ 라고 생각하신 분들도 많았지만
    불과 한달이 지난 지금, 아래와 같은 기사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 경기 / 5개광역시
    거의 회복하지 못했습니다
    아직 상승흐름이 오지 않은 지역이 훨씬 많습니다
    1~2억의 수익은 충분히 벌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에서 지금처럼 가격이 싼 시기는 자주 오지 않습니다(지난 2년을 생각해보세요)

한 번 상승이 시작되면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의 상승 흐름을 가져가기 때문입니다

 

지금 싼 시기라는 것을 아셨으니 적극적으로 나서야할 때입니다

부동산 공부를 망설이고 있다면 더 늦기 전에 시작하셔야 합니다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출처: 기사1. 중앙일보 / 기사2. 해럴드경제

 


댓글


메트리
1시간 전N

투자대상에 대한 이해도와 좋은 시기를 잡는 것. 지금이 좋은 시기를 알고 더 적극적으로 해나가겠습니다! 튜터님 늘 감사합니다!

가애나애
1시간 전N

가치와 시기! 지금 좋은 시기이니 가치 평가를 잘해서 적극적으로 나서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튜터님🤍

성로이
1시간 전N

가치, 시기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바탕으로 싼 시기인 지금 적극적으로 매수 검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튜터님!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