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평가를 잘 하기 위해서?
수도권은 같은급지끼리 비교하는것**(비싼것끼리, 싼것끼리)
1군-강남+서초+강남/과천/용산
2군-분당/양천+마포/성동+광진
3군-강동/영등포+동작+종로+중구
4군-구성남+하남/평촌+의왕+용인수지/강서+관악+서대문+은평+광명/동대문+성북+노원+구리
5군-구로+금천/중랑+강북+도봉
ex)2군끼리 비슷한연식,평형으로 강남접근성으로 비교해야지
2군vs4군끼리 강남접근성 비교xx
;비싼것끼리, 싼것끼리의 비교라는게 이런뜻
비교평가가 중요한 이유?
무조건 좋은땅에 있는 단지 아무거나 하면 되는거 아닌가?x 우린투자자 이기 떄문에 더 높은 수익률을 위해 단지를 비교평가한다, 좋은땅이라고 해서 무조건 다 선호도가 높은건 아님
비교평가
1)지역내 비교평가
가)생활권 내 비교평가(디테일한 단지선호도 파악이 중요)
나)생활권 간 비교평가(생활권별 위상, 강남접근성,환경,학군 종합적인 판단 중요)
2)지역간 비교평가
가)같은 땅의 가치끼리 비교평가(수치로 담기지 않는 느낌과상권,선호도를 파악해서 판단)
나)다른 땅의 가치끼리 비교평가(땅의 가치가 다르다면 입지를 넘어서는 단지선호도 갖고있는지?)
1-나)비교평가 방법 및 순서
1.생활권 순위 설정 2.생활권 내 가치과 가격 비교평가 3.비교평가 검증
;비교평가 하기전 이지역에 접근 가능한 업무지구 어딘지? 몇호선 지나가는지? 사람들 어떤이유로 여기사는지? 생각해보기
비교평가시 1)강남접근성 2+3)환경+학군
이때 강남접근성이 5-10분정도의 차이라면 환경과학군이 더 좋은곳을 선택하는 식으로(강남 5분더 빨리간다고 의미있는것 아님)
이후에 비교평가 검증을 통해 확인(아실 비교그래프; 꼭 나의생각을 통하여 정리한후 마지막에 비교하기)
수도권 모든단지가 강남접근성에만 일치하는건 아님xx 동네 특징이 있음!!
교통을 이기는 동네특징? (주변에서 찾아오고, 대체할곳 없을 정도의 특징)
ex)학원가, 학군
임보 마무리전에 4강을 듣고 했따면 비교평가에 더 많이 힘을 썼을텐데 아쉽,,
담부터 배운대로 비교평가 해봐야지
진짜 감도 안왔는데 정리 너무 잘해주신 식빵파파님 감사합니다ㅜㅜ
댓글
박설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