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직장인으로 10억 달성하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그 동안 애매했던 투자 방향을 명확하게 해준 강의였다.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나의 의사결정 과정을 후기로 담아보자면,
1. 투자 방향설정을 위한 질문
▶ 결론 : 지방 B급지와 A급지를 타겟으로 투자 실시
(투자금 기준은 지방 B급지 이지만, 현재 A급지의 전세가율 반등의 기회를 노릴 것!)
2. 투자 지역 기준 설정
[지방에서 전세가율이 높다는 것= 실수요가 높다는 의미로 매매가 방어! + 소액 투자! 가능]
[현재 입주물량이 많거나, 2년 후 많은 곳 모두 전세물량 증가로 인한 전세가 하락 리스크]
*광역시 예외 : 입주물량이 적정 수요 대비 1.5배로 2년정도 지속되어도 매매가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적성 수요 기준 : 인구수 x 0.5% (ex, 대구광역시 2,300,000명 x 0.5% = 11,500)
현재+2년내 각 년도별 입주물량이 적정 수요 대비 2배 이내인지 확인
3년 내내 인접지역 포함하여 입주물량이 적정 수요 대비 1.5배 이상이면 유의할 것
(단, 지방 중소도시의 경우 학군의 영향력이 작다.)
(단, 광역시의 경우 중심지 구축이 외관 신축 보다 좋을 수 있다.)
3. 투자 지역 선정
▶투자 지역 임장 우선 순위 : [울산 중구 우정동 / 북구 화봉동]
선정 사유 :
1) 울산 : 3개월 이내 & 이후 모두 투자하기 좋은 지역에 포함
2) 지역 내 가치 평가 : 거주 만족도 + 높은 학군 +가성비 입지(울산 평당가 대비 높은 평당가 형성)
지방의 경우 평당가 대비 낮은 지역은 저평가 지역이 아닌 저가치 지역일 확률이 높다!
3) 현재 전매갭 7000만원이지만 지역 임장 및 전세추이 확인 통해 3,000~5,000만원으로 투자 가능한 지역 찾기
[최종 결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