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주택자로 가려면 임대사업자등록을 하는게 나은방법인가요?


다주택자인분들은 임대사업자 등록을 하시는건지 궁금합니다~임대사업자등록 장단점을 찾아보았는데 선배투자자님들은 임대사업자등록을하시고 주택을 매입하시는건지 취득세를 더 내더라도 개인으로 구입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주택수를 늘리려면 임대사업자등록을 해야되는게 맞을까요?


댓글


험블user-level-chip
24. 01. 04. 15:34

안녕하세요 꿈꾸는83호님! 예전과 같이 혜택이 좋은 임대사업자 제도가 언제 부활할지는 미지수이지만 부활한다고 해도 모든 주택을 임대사업자로 등록할 필요는 없습니다. 10년 동안 보유해야한다는 점, 임대료 상승에 제한적이라는 점 등을 고려해 오랫동안 보유할만한 가치있는 물건이라 판단되면 그때 임대사업자 등록을 고려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 임대사업자 등록 마구마구 하는 그 날까지 화이팅입니다!

진심을담아서user-level-chip
24. 01. 04. 15:59

안녕하세요 꿈꾸는83님 ^^ 모든 꿈꼭 이루셨으면 좋겠습니다! 험블님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자산의 속성과 가치를 명확하게 아는 게 우선 중요합니다. 오래 가져갈 수 있는 물건이냐? 관점에서 봐야하는데요, 모든 수도권 자산이라고 오래 보유하는 것도 아니고 모든 지방이라고 단기보유하는 것도 아닙니다. ^^ 만약에 투자 챗수가 적으신 상황이라면, 임대사업자 제도가 부활한다고 해도 임대사업자로 묶는 게 좋은 선택은 아닐 수 있습니다^^ 투자는 하면 할수록 더 실력이 느는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 보유한 자산이 이미 있으시거나, 투자를 염두한 자산이 있으시면 월부의 투자코칭 서비스 꼭 이용해보시길 바랄게요^^

리리킴user-level-chip
24. 01. 04. 17:12

안녕하세요 꿈꾸는83호님, 현재 월부에서 일반적으로 투자하는 아파트의 경우 임대물건 등록이 불가합니다. 지금 아파트로 임대사업 등록하신분들은 이전에 하신 분들일거에요. 임대사업자로 등록을 하면 지켜야하는 의무임대기간, 보증금 금액 상향 제한 등 불편한점이 있지만 종부세 합산 배제나 매도시 일반과세 등의 장점 있습니다. 따라서 추후 아파트의 임대등록이 부활하더라도 어떤 물건이냐에 따라 달라질것 같습니다. 임대사업 등록시 해당 물건은 10년간 매도나 실거주가 어렵기때문에 (의무임대 기간중 매도시엔 임대사업자에게만 가능) 일괄적으로 임대등록을 하는것이 좋다고 정리하기엔 어려워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