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권 투자 고민할 때 주의해야 할 3가지 (feat. 2천만원 생각했다가 1억 3천 들었습니다.) [웰뜨]


수도권에도 기회가 오고 있다지만

아직은 지방에 더 투자 기회가 있고

지방 중에서도 중소도시에

그 기회가 좀 더 열려 있는데요,


생각보다 공급이 많아서

분양권이 싸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뭔가 감당 가능하다면..

분양권이 매우싼데?

라면서 관심이 가게 됩니다.


잔금을 치르고 전단지 100개를 돌리며..

분양권을 매수해본 사람으로..

저처럼 시행착오를 겪지 않기를 바라며

분양권 매수시 주의해야 할 부분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조건, 옵션 여부


분양권은 초신축이니까!!

전세 잘 빠지지 않을까?

옆에 기축보다 비슷하면 나가지 않을까?


주변 단지들과 비교하면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주변 단지들을 포함,

내 단지에서 한번에 경쟁 매물이

쏟아진다는 것입니다.


전세 매물이 얼마나 나올지는

정확하게 가늠할 수 없지만

그래도 매번 물량은 많이 쏟아지는 것 같습니다.


전세가 10개만 나와도 내 물건이 먼저 빠지려면

10개 중에 1등이어야 하니까..

시장 상황도 중요하겠지만

물량도 당연히 영향을 미치겠지요~


신축이라 좋지만 결국 내 단지 물량은

다 똑같이 신축이라는거~


그럼 내 물건이 먼저 나가려면?

옵션이 얼마나 들어갔는지가 중요하고

동, 층, 향, 타입 등의 조건이 중요합니다.


당연히 똑같은 전세가라면

RR, 에어컨 있는 물건이 먼저 나가겠지요.

좀 더 좋은걸 좀 더 주고 할 수도 있겠지요.


따라서 경쟁력을 가지려면

물론 덜 좋은 물건을 더~싸게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리가 필요 없는 초신축의 경우에는

좋은 동, 좋은 층, 좋은 향, 좋은 타입, 풀 옵션을

고려해서 투자해야 합니다.





2. 잔금 가능


분양권 싸게 샀으니까

전세 맞추면서 잔금하면 되겠지~

그래도 잔금 가능한지는 봐야지~


이렇게 단순하게 생각했다면..

고생할 수 있습니다.ㅠㅠ

(제가 그랬어요. ㅋㅋㅋ)


잔금은 항상 투자를 할 때

가능한지 확인하지만

분양권은 특히나 주의해야 합니다.


100%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잔금을 치뤄야지만 집 열쇠를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눼??!!??!


즉, 이런 경우라면

세입자분들이 집을 못 보고

계약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집을 보려면 잔금을 다 하고 나서야

집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매물임장 하면서

초신축의 경우에도 부사님들이

키 받아서 알아서 잘 보여주시길래..

전세를 맞추면서 잔금하면 되는 줄

알고 있었습니다.


시장이 좋지 않다면

아니 시장이 좋더라도

아무리 초신축이더라도

집을 보고 계약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해당 분양권을 매수해서

전세를 맞추려면 잔금을 치르고

열쇠를 받을 수 있는지도 꼭

확인하고 투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기축은 전세가 너무 안 맞춰지면

잔금을 어쩔 수 없이 하게 되지만

분양권은 날짜에 맞춰서

잔금을 먼저 하고 집을 보여주고

전세를 맞춰야 하니까요!


잔금을 해야 한다면

계산을 정확하게 해보고

더 싸게 매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3. 전세가 예측


저희는 아파트 전세 레버리지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첫 번째로는 가치 대비 매매가가

저렴한지가 중요하지만

그 다음에는 투자금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전세가가 확실히 얼마 정도에

맞춰지는지도 살펴봐야 합니다.


기축은 실거래가가 찍힌 것도 보고

전화 임장이나 매물 임장을 하면서

얼마 정도에 나갈 수 있을지 확인해 보는데요,


이제 막 입주를 시작하는 단지는

주변 단지들이나

과거 비슷했던 분양 단지들을 보고

전세가를 예측하게 됩니다.


보통 초반에는 눈치를 보면서

주변 신축보다 높거나 비슷하게

전세가를 형성하고 매물이 별로 안 나오다가

점차 잔금일이 다가오면서

물량이 많이 쏟아지고

전세가도 내려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시장이 좋거나 단지가 너무 좋아서

전세 물량이 빨리 소진되면 모르겠지만

어쨌든 경쟁은 해야 하고

시장이 안 좋다면 언제 전세가

빠질지 알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예측한 전세가보다 더 낮출 수 있다는 걸

알아두고 투자금도 생각해놔야 합니다.


제목 보셨죠?

저는 2천만원 생각했는데

1억 3천이라는 투자금이 들어갔습니다.

물론 투자하자마자 시장이 급격히

안 좋아지기도 했고 잔금도 해야 했습니다.

세대 수가 많지 않았음에도

물량이 많이 쏟아졌습니다.


전세가를 예측하긴 하지만

정확히 알 수 없으니

이 점을 꼭 인지해두고

최대한 욕심부리지 않고

빠르게 전세를 맞추셨으면 좋겠습니다.




분양권 매수시 주의할 점 3가지


1. 조건, 옵션 여부

초신축 같은 조건이므로

동, 층, 향, 타입, 옵션을 모두 고려하여 투자한다.


2. 잔금 가능

잔금을 해야 집을 볼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잘 확인해보고, 계산해보고 투자한다.


3. 전세가 예측

전세가를 예측은 하지만 욕심부리지 않고

최대한 빠르게 낮춰서 뺀다.




월부분들의 투자를 항상 응원합니다.

가치 대비 싸게!

투자금도 적게!

투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user-avatar
베스킨라빈스31user-level-chip
24. 01. 05. 15:23

분양권도 싸다고만 생각했는데 그 속에 디테일하게 봐야하는 부분이 정말 많네요. 웰뜨님 경험담 남겨 주셔서 매우 매우 감사합니다❤️❤️

마당킹user-level-chip
24. 01. 05. 15:35

감사합니다 분양권도 오히려 신축내에서의 경쟁이라 더 디테일하게 들여다봐야겠습니다!

내마꿈user-level-chip
24. 01. 05. 19:55

튜터님 안녕하세요. 분양권 매수시 주의해야할 사항에 대해 상세히 적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좋은 글 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