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지나치기 쉬운 행정동과 법정동, 꼭 알아야할 것 [소프리]

  • 23.09.05


안녕하세요! 소프리입니다 :)

행정동, 법정동은

지역을 파악하는데 기본 중 기본이기때문에

그만큼 그 의미에 대해서

잘 생각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놓치면 아쉬운 중요한 것들이 있으니

오늘 한번 같이 짚고 넘어가보려고 합니다 :)


1. 법정동과 행정동의 정의

2. 법정동 vs 행정동 어떤 걸 써야할까?

3.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


/


법정동과 행정동의 정의

📌 법정동

: 법령으로 정해놓은 동 이름

과거 일제 강점기부터 조사된

동 이름을 쓴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이렇게 아주 옛날부터 구분되어있던

개념이기 때문에

법정동이 정말 촘촘하게

나눠져있는 곳은

찐 구도심이구나!

라고 추측해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같은 특징을 가진 작은 지역의 그룹을

의미하는 생활권을 나눌때

법정동 기준으로

나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옛날부터 그렇게 구분되어

살아왔기때문입니다.

그래서 생활권 나누기가

어려울 때는 루트를 짜면서

1차로 법정동 기준으로

생활권을 나누고 임장하면서

분위기 임장을 하면서

비슷한 것끼리 묶고,

구분되는 경우 나누면

크게 무리없이 생활권을 나눌수 있습니다 :)



우리에게 법정동이 중요한 이유는

국토부에서 관할하면서

부동산 관련 규제, 등기 표기 등

부동산에 관련된 것은

법정동으로 구분하기 때문입니다.

네이버 부동산도, 아실도

모두 법정동으로 구분되어있죠?


/


📌 행정동

: 행정상 편의를 위해 나눠놓은 구역

행정동은 말그대로

행정적인 구분을 위해

지역의 구획을 나눠놓은 건데요,

법정동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고

법정동이 너무 작은 경우

통으로 묶어 행정동이 더 크기도 하고,

법정동이 너무 큰 경우는

법정동을 쪼개어

행정동을 구분하기도 합니다.

OO동 또는

OO1동, OO2동으로 구분이 됩니다.

행정 편의를 위해서

구분하기 때문에

편의에 따라서 언제든 바뀔 수 있습니다.

지역의 관할 주민센터는

이런 행정동으로 구분이 됩니다.

(주민등록 관련, 출생 신고 등)​


/


법정동 vs. 행정동

어떤 것을 써야할까?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생활권의 구분,

무엇보다 부동산의 기준이

법정동이기 때문에

법정동 기준으로 사용하시는 게

더 범용적이기도 하고

합리적 입니다!

그런데 또 행정안전부에서

인구 관련 통계를 가져오실 때는

행정동 기준으로

많이들 사용하고 계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행정구역의

구분에 따라서

지역의 인구 연령 구성비를

확인할 때

어떤 곳은 너무 넓게 설정되어있거나,

어떤 곳은 너무 좁게 설정되어있어서

조금 아쉬웠던 경험이

다들 있으실 거라 생각되는데요,

지도를 한번만 확인하면

조금 더 유용하게

법정동 또는 행정동 기준으로

연령별 인구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행정동 기준으로 보면 좋은 경우

법정동보다

행정동이 더 작게 구분되어있는데,

행정동에 따라 생활권 달라져

조금 더 세밀하게

거주인구에 대해 알고 싶을 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울산 대장이 있는

문수로 아이파크가있는 신정2동과

신정현대홈타운이 있는 신정4동에

가장 많은 아이들과 학령기 가족이 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임장을 통해

느낀 것을 통계를 통해

더 세밀하게 재검증해볼 수 있습니다.


✔ 법정동 기준으로 보면 좋은 경우

행정동이 법정동보다

더 크게 잡혀있는 경우,

게다가 생활권은

법정동 기준으로 구분될 때

부동산 지인을 통해서

법정동 기준으로 확인하시면

조금 더 유용합니다 :)



메인 주거지가 아닌 지역까지

크게 크게 묶어놓은 행정동보다,

법정동기준으로 확인해보면

주거지쪽 생활권의 조금 더 정확한

인구 비율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지역 구분이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사실 저희가 지역분석을 할 때는

법정동의 경계를 일일이

기억하기보다

어디쯤은 OO동

으로 기억을 많이 하는데요,

법정동은 말씀드린 것처럼

부동산 규제에 연관되기 때문에

규제에 대해서는

조금 더 자세히 경계를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옆에 있어

같은 생활권을 공유하더라도


법정동에 따라 규제가 달라서

집값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데요,






천안아산에 있는 두 단지는

지도에서 보시는 것처럼

두 단지는 딱 붙어서

같은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그래프는 뭐죠?




쌍용동일하이빌 전고점 3.5억

천안아산역리슈빌 4.45억

3년의 연식차이,

운동삼아 걸으면

천안아산역까지도 도보로 가능한 리슈빌,

1억까지의 가치차이를 가질까요?


법정동 기준으로 확인해보면

동일하이빌은 천안시 서북구 쌍용동

천안역리슈빌은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입니다.

천안시는 20년 12월에 조정지역으로

묶이면서

실거주 요건, 취득세 중과, 대출조건 등

주택 구매에 많은 패널티를 가지게 됩니다.

반면 리슈빌은

이런 패널티에서 자유로웠기에

상승장에서 더 많은 거래가 일어났고

이는 더 높은 실거래를 결과로 가져왔습니다.




조정지역으로 묶였을 시기쯤

두 단지의 거래량을 보면

천안 동일하이빌은 2건 내외

아산 리슈빌은 천안이 규제되던

그 달에 23건이나 거래가 일어났습니다!

현재 두 단지는 3억 초반으로

비슷한 가격이 형성되어있습니다.



길만 건너면 서울이거나 경기도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고,

같은 단지여도

초등학교를 다르게 배정받는 경우도 있고

어떻게 선을 긋느냐에 따라

선호도나 집값이 달라질 수으니

지역의 경계에서는

어떻게 선이 그어졌는 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

모바일 앱이 아닌

웹 브라우저에서 map.kakao.com에서

법정, 행정 구역 경계를 표시해볼 수 있습니다 :)

*



댓글


예은찬아빠
23. 09. 05. 23:1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베야시
23. 09. 05. 23:52

생각지도 못한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험블creator badge
23. 09. 06. 06:14

법정동과 행정동의 차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