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안녕하세요. 프로이사러에서 프로인생러로 나아가고 싶은 화니화니입니다.
이번에 내집마련 강의를 수강하며 "10년 동안 팔지 않을 자산"을 획득하기 위한 준비를 해나가려고 합니다. 너나위님의 진심을 담은 강의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 버는 내집마련 방법]
1. 집은 필수재를 넘어 투자재라는 관점으로 전환하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집은 의식주 중의 하나로 필수재이기도 하지만 자산을 불려주는 투자재이기도 합니다. 과거의 저는 집을 필수재라고만 생각했기 때문에 우리 가족이 살기 좋은 집만 거주지로 선택했습니다. 그런데 지난 상승장을 겪으며 집이 투자재이기도 하다는 것을 몸소 느꼈고, 지금은 거주 안정성보다는 자산으로서의 집에 초점을 맞추고 집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려고 합니다. 부모님 세대는 내 집 한 채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평생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었던 시기였지만 앞으로는 인구 감소, 지방소멸 등의 요인 때문에 집의 투자재 성격이 더 강해질 것 같습니다.
2. 공부와 실전 경험을 통해 경제적 시민권 획득하기
그동안 집과 관련된 몇 번의 의사결정을 하면서 부동산과 은행을 들락날락 했지만 계약서나 대출 약관 등의 문서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용어도 낯설고 상황도 불편하고 어색해서 얼른 마무리하고 싶은 생각으로 대충 도장만 찍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부사님과 연락하는 게 부담스러워서 불편한 요청이나 협상을 최대한 피하려는 마음이 컸습니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서 무지(無知)와 회피(回避)는 경제적 시민권을 포기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관련 지식을 공부하고 실전 경험을 쌓아 나가야겠습니다.
3. 레버리지 적극 활용하기
과거의 저는 빚은 필요악이라고 생각하고, 저축만이 최고라고 생각하며 열심히 돈을 모았습니다. 제가 아는 재테크라고는 금리가 조금 더 높은 은행을 찾아서 적금을 드는 게 전부였습니다. 그런데 첫번째 내집마련을 하며 돈을 모으는 속도보다 집값이 오르는 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을 경험했고, 적절한 레버리지 활용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습니다. 다음 스텝을 할 때는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레버리지를 최대한 활용할 계획입니다.
[적용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