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저는 부린이입니다.
수강전 저는 네이버 매물로 제가 관심있고, 다녀와본, 그리고 제 종자돈으로 매수가능한 아파트들의 시세를 확인하는 수준이었어요.
임장을 간답치고 그 동네를 다녀왔지만 루트도 없이 그냥 다녀왔기에 사람들이 지나다니지 않는 차도로 가며
사람들의 선호도를 생각하지 않고 이정도면 걸어다녀도 괜찮네.. 라고 제 입장에서만 생각했던것 같아요
하지만 이번에 강의를 들으면서 처음과 끝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살고 싶은, 외부 수요가 계속 인입되는 동네와 집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여러가지 단계가 있다는것을 배웠어요.
특히 강의에서 강조하셨던 분위기 임장할때, 단지 임장할때부터 가격 보지 말고 사람들이 좋아하는 동네, 단지의 특징이 뭔지 기준을 가지고 하나씩 보라고 하셨는데 저는 이 부분이 너무 공감이 되었던게
저의 종자돈을 기준으로 동네와 단지를 보다보니 당연히 선호도가 떨어지는 단지를 보게 되고, 그 단지를 어떻게던 좋다고? (매수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으니까..) 합리화를 하면서 제 앞마당이 처음부터 한정되는걸 느꼈어요.
그래서 종자돈이 아직 부족한 단계더라도 임장을 하기 전에 매수 가능성을 기준으로 동네를 보러 가는 것이 아니라,
크게는 지역, 동네, 그리고 그 안에서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집 주변 환경, 집의 특징을 단계별로 분석하며
임장 보고서로 남기는 작업이 매우 중요함을 배웠어요.
물론 이렇게 분석하고, 결과물로 남기고, 부동산에 가서 매물을 확인하고 그 집의 특이 사항을 또 분석하는 과정까지.. 할일이 많아서 더 꾸준하게 단계별로 정리하면서 길게 가야한다는 마음을 다잡게 되었습니다.
제대로된 방법을 모르면 내가 생각하는대로 순서없이 하게되고 최선의 선택보다는 즉흥적이고 감에 맡긴 선택을 하게 되었을텐데, 이번 강의를 통해서 투자자로서 마인드부터 실제로 해야하는 방법, 그리고 개인적으로 해왔던 방법에 대해 회고하고 방향을 수정할 수 있는 너무나 좋은 기회였어요.
앞으로 임장, 임장보고서 작성하면서 그 지역과 동네에 대해 더 많이 공부하고 특히 함께갈 동료분들에게도 공유하면서 투자자로서의 생활을 길게 하고 싶다는 마음을 다잡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