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기12기 전국9투자로 경제적자유 2루조 쥬블리89] 1강 후기

  • 23.08.03




이번 지투기초 1강은

제주바다님이 강의에서

"꼭 해주고 싶었던 말이에요"

하시며

진심어린 말씀을 많이 해주셨다.

그때마다 더 집중해서 들었다ㅎㅎ

이번 강의는 물론

A지역에 대해 샅샅히 분석해주신 점도

좋았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적용할 만한 내용들이

많았다.





인구 = 수요


이번 강의를 듣고

지방에서 인구수가 왜 중요한 지

다시금 깨닫게 되었다.


인구 규모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진다.


100만명 이상의 광역시(A)

60만명 이상의 중소도시(B)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A지역은 인구수가 많기 때문에

상급지가 아닌

하급지에도 수요가 있으며

그 생활권에도 투자를 할 수 있다.


반면에 B지역은

인구수가 적어

상급지나 선호하는 지역으로

수요가 몰리게 되면

하급지(또는 비선호 단지)의 수요는 상당히 적기 때문에

투자할 수 있는 범위가

A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또한 공급 측면에서 보자면,

인구 수가 많은 지역은

공급물량이 터졌을 때

상대적으로 빨리 소진될 수 있다.

반면 인구가 적은 중소도시의 경우,

입주물량을 소화하는 데

시간이 오래걸린다.

받쳐줄 수 있는 수요가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구 수가 많은 지역은

수요가 많기 때문에

투자 범위를 넓게 볼 수 있고,

오랫동안 기회를 주기 때문에


지방을 처음 공부할 때

오랜 시간동안 많은 기회를 줄 수 있는

광역시를 기준점으로

공부를 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모든 '구'를 다 가봐야 하는 이유


지금까지 지방을 임장할 땐

그 도시의 1등 구를

임장한 후,

다음 지역으로 넘어가고 넘어가다 보니

이제 습관처럼

1~2등 구만 보고

넘어가고 다른 구들은

앞마당으로 만들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강의를 듣고

모든 구를 다 가봐야 하는 이유를

알게되었다.


A 광역시의 경우,

원도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기존에 가장 하급지로 봤던 지역이

미래에 환경이 개선되어

가치가 엄청 상승할 수도 있기 때문에

꼭 봐야한다고 하셨다.


현재의 가치는 낮게 평가받지만,

미래에 입지가 좋아질 지역들

당장은 투자할 지역이 아니라고

임장 안하지 말고

꼭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적극적인 투자자가 기회를 잡는다.


이번 강의에서는

A 광역시의 사이클을 알려주시며

긴 하락보합장 -> 1차 상승장 -> 2차 상승장 -> 하락장

의 사이클에서 겪을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해주셨다.


보통 투자자들은

1차 상승장에서

많이 투자를 하지만

그만큼

투자자의 전세 경쟁이

많은 시기라고 한다.


이 말을 들으며 문득 생각난 건..

그럼

그 전에

하락, 보합장일 때

지금 투자금으로 투자가 어려운 물건을

내가 투자할 수 있는 조건으로

만든다면

경쟁이 적은 시기에

투자할 수 있겠구나.

지금이 최적의 시기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투자를 반드시 해야한다고

그렇게 튜터님들이 말씀하시는지

이해가 되었다.


시장에서 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실전에 뛰어드는

투자자가 되어야겠다 생각했다.






OO아 넌 할 수 있어!!

제주바다님이 가장 힘들 때

노트북에 아직도 쓰여있다는 문구다.


나는 지금까지 잘 해내왔으니까

앞으로도 잘 할거라 믿는다.


지금 앞마당에 열심히 집중해야겠다.

1호기를 향해~~






댓글


봉우리
23. 08. 04. 00:04

후기 너무 깔끔하게 잘 쓰셨네요. BM해서 나중에 후기 쓸 때 적용해 보겠습니다. 완강 수고 하셨습니다.

파이어줄
23. 08. 08. 22:13

쥬님 할 수 있습니다!! 1호기 향해서 같이 화이팅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