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이번 지투기초 1강은
제주바다님이 강의에서
"꼭 해주고 싶었던 말이에요"
하시며
진심어린 말씀을 많이 해주셨다.
그때마다 더 집중해서 들었다ㅎㅎ
이번 강의는 물론
A지역에 대해 샅샅히 분석해주신 점도
좋았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적용할 만한 내용들이
많았다.
이번 강의를 듣고
지방에서 인구수가 왜 중요한 지
다시금 깨닫게 되었다.
인구 규모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진다.
100만명 이상의 광역시(A)
60만명 이상의 중소도시(B)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A지역은 인구수가 많기 때문에
상급지가 아닌
하급지에도 수요가 있으며
그 생활권에도 투자를 할 수 있다.
반면에 B지역은
인구수가 적어
상급지나 선호하는 지역으로
수요가 몰리게 되면
하급지(또는 비선호 단지)의 수요는 상당히 적기 때문에
투자할 수 있는 범위가
A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또한 공급 측면에서 보자면,
인구 수가 많은 지역은
공급물량이 터졌을 때
상대적으로 빨리 소진될 수 있다.
반면 인구가 적은 중소도시의 경우,
입주물량을 소화하는 데
시간이 오래걸린다.
받쳐줄 수 있는 수요가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구 수가 많은 지역은
수요가 많기 때문에
투자 범위를 넓게 볼 수 있고,
오랫동안 기회를 주기 때문에
지방을 처음 공부할 때
오랜 시간동안 많은 기회를 줄 수 있는
광역시를 기준점으로
공부를 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지금까지 지방을 임장할 땐
그 도시의 1등 구를
임장한 후,
다음 지역으로 넘어가고 넘어가다 보니
이제 습관처럼
1~2등 구만 보고
넘어가고 다른 구들은
앞마당으로 만들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강의를 듣고
모든 구를 다 가봐야 하는 이유를
알게되었다.
A 광역시의 경우,
원도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기존에 가장 하급지로 봤던 지역이
미래에 환경이 개선되어
가치가 엄청 상승할 수도 있기 때문에
꼭 봐야한다고 하셨다.
현재의 가치는 낮게 평가받지만,
미래에 입지가 좋아질 지역들
당장은 투자할 지역이 아니라고
임장 안하지 말고
꼭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강의에서는
A 광역시의 사이클을 알려주시며
긴 하락보합장 -> 1차 상승장 -> 2차 상승장 -> 하락장
의 사이클에서 겪을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해주셨다.
보통 투자자들은
1차 상승장에서
많이 투자를 하지만
그만큼
투자자의 전세 경쟁이
많은 시기라고 한다.
이 말을 들으며 문득 생각난 건..
그럼
그 전에
하락, 보합장일 때
지금 투자금으로 투자가 어려운 물건을
내가 투자할 수 있는 조건으로
만든다면
경쟁이 적은 시기에
투자할 수 있겠구나.
지금이 최적의 시기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투자를 반드시 해야한다고
그렇게 튜터님들이 말씀하시는지
이해가 되었다.
시장에서 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실전에 뛰어드는
투자자가 되어야겠다 생각했다.
OO아 넌 할 수 있어!!
제주바다님이 가장 힘들 때
노트북에 아직도 쓰여있다는 문구다.
나는 지금까지 잘 해내왔으니까
앞으로도 잘 할거라 믿는다.
지금 앞마당에 열심히 집중해야겠다.
1호기를 향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