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자음과모음] 하락과 반등 사이, 혼란스럽다면 클릭하세요

  • 23.08.04

안녕하세요 자음과모음입니다.

경제기사를 보는데 다음 기사가 눈에 띕니다.

하락의 목소리를 냈던 기사들이 언제 그랬냐는 듯 상승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이런 기사를 보면 일반적으로 드는 생각이 있죠


첫째, 서울 아파트는 나랑은 더 멀어졌구나. 나랑은 관계없는 지역의 부동산이었어 어차피.

둘째, 오른다고? 지금이라도 사야 하나?


두 생각 모두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좋은 생각은 아닙니다.


첫번째 생각은 서울 아파트를 싸게 살 수 있는 시장이 다가오고 있음에도 근래의 가격의 오르 내림만 보고 서울 부동산에 대한 관심을 끄는 것이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다음 상승장이 오기 전까지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여러분의 자산크기가 달라지는데 그 중 가장 큰 파이를 차지할 수 있는 서울 시장을 놓치는 겁니다


두번째 생각은 조급함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언제나 '돈'은 조급한 사람으로부터 조급하지 않은 사람에게 돌아가게 되어 있습니다

지금 가격이 반등하고 있다는 것은 매도자가 매수자와 가격 줄다리기를 팽팽하게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나도 좋고 남도 좋아하는 아파트일 수록 줄다리기가 더욱 치열해집니다.

매도자가 조급한지? 매수자가 조급한지에 따라 몇천만원을 더 비싸게 살 수도 몇 천만원을 더 싸게 살 수도 있습니다



# 하락과 반등사이 혼란스러운 당신


시장은 여러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그것은 당연합니다.

하락하는 지역도 상승하는 지역도 있기 때문입니다

강남공급물량에 의해 전세가 주춤하지만

압구정현대같은 강남 그 자체의 아파트 가격은 돈을 더 주고서라도 사고 있습니다

서울 청약 경쟁률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지만 서울 내에서도 분양이 되지 않은 아파트들에는 서울임에도 불구하고 p가 1000만원밖에 붙지 않은 단지들도 있습니다.


저는 거시경제 지표보다 언제나

그 지역과 단지의 가격을 보아왔기 때문에

각 기사가 왜 여러 목소리를 내는지 알고 있습니다.

그런 연습을 5년이상 해왔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조급하지 않습니다.

투자자가 제일 갖지 말아야 할 감정이 조급함입니다


투자는 내 돈을 잃을 수도 있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적극적인 행위입니다.

그런 투자를 경제기사에 나오는 몇 줄의 전문가의 의견, 유투브에 나오는 다른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만 할 수 없습니다.


5년전, 3년전, 2년전, 그리고 지금

시장은 변했으나 제가 투자하는 기준은 같습니다

투자기준이 없으면 여러분은 언제나 흔들리게 되어 있습니다.

투자기준이 있으면 어떤 시장에서건 싸고 가치가 있는 물건을 살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흔들리지 않습니다.

전체 숲이 아닌 하나의 나무만을 이야기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지금 여러분에게 필요한 것은

기준입니다.

그리고 시장에서 직접 투자하고

그것으로 결과를 만들어낸 사람의 경험입니다.


평범한 월급쟁이로 시작해서 저의 인생을 바꾼 강의가 있다면 바로 열반스쿨기초반일 겁니다.

반신반의하며 들었던 이 강의에서

저는 투자기준을 배웠고 그 투자기준 덕분에

어떤 시장에서건 흔들리지 않는

기준을 가진 투자자가 되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지금 무엇이 옳은지 혼란스럽다면 강의를 들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열반스쿨 기초반 링크 클릭▼

https://link.weolbu.com/3Qms55q



아는 지식이 늘어났다고 투자를 잘하는게 아닙니다.

정보를 나에게 어떻게 활용할지를 잘 결정할 수 있는 사람이 투자를 잘 하는 겁니다

혼란스러운 메시지를 쏟아내는 시장에서

여러분들이 기준을 가지고

견고한 자산의 성을 쌓으시기를 바랍니다



좋은 글을 나눠주신 이웃분에게 덧글은 큰 힘이 됩니다.




댓글


뿌라운
23. 08. 05. 00:24

정보를 어떻게 활용할지 잘 아는 사람이 투자를 잘한다는 말 명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튜터님!

카미유
23. 08. 06. 15:15

자모님 칼럼은 늘 다시 에너지 뿜뿜하게 만들어줘요. 계속계속 좋은 인사이트 나눠주세요!

융융히
23. 08. 09. 09:25

나만의 투자기준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말씀이 와닿습니다! 감사합니다 멘토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