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매매, 전세가 흐름 파악과 함께 현재 시점에서 투자하는 방법[부동산딱대]

  • 24.01.29

안녕하세요. 부동산딱대입니다.


추운날씨에 독서 / 강의 / 임장 / 임보 / 투자

모두 빠잇팅입니다 ^^


오늘은 내가 아는 지역 내에서

현재 시장 흐름을 살펴 보며

투자까지 이어지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누군가는 떨어지는 기회를 잡기 위해 고민할 때

누군가는 떨어지는 기회를 잡기 위해 여전히 현장에서 고군분투 하고 있습니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서

내 자산 1억 더 벌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1. 수시로 변화하는 가격


부동산 가격은 우리가 마트에서 사는 물건처럼 '정찰제'가 아니고

매수자, 매도자, 사장님 등 여러 이해 관계가 얽혀 있어

시장 흐름에 따라 그리고 매물 상황에 따라 수시로 바뀌는 게 부동산 '시장'입니다.


네이버 부동산 켜고 보기만 하면

이런 생각도 가끔 들기도 합니다.


'아 이게 비싼건지 싼건지 감을 잡을 수가 없네.'

'투자금 1억이나 든다고? 싼 것 같긴한데.. 내가 투자하긴 어려울거야.'


이 마음 충분히 공감합니다.


현장에서 실제 투자할 매물을 찾고 협상이라는 과정들을

해보지 않았거나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매매 가격이 내려가는 상황에서는

부동산 사장님도 계속 해서 가격을 내릴 수도 없기에

전화만으로는 가격을 파악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기에 '현장'에서 열심히 내 투자 범위에 들어오는지

열심히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충분히 이전 '시장' 보다 싸졌기에

아는 지역 내에서 비교평가 했는데 가치 대비 싸다면

적극적으로 그 기회를 스스로 잡아 나가시길 바랍니다.

서울 및 수도권도 싸졌기에

'지방 보단 윗단을 봐야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에

투자 기회는 분명 있었습니다.

지나고나서 '살걸' 하기엔 이미 결론적인 얘기입니다.

행동하세요.


2. 내 스스로 만들어 가는 투자 기회


월급쟁이 부자로 자산을 쌓아 나가는데

첫 번째 단계는 자기 상황을 인식 하는 것 부터 출발합니다.


일 년에 종잣돈 5천 이내로 모아야 하고

현재 가지고 있는 자금 상황이 1억 이내라면

지방 투자를 해야 합니다.


총알이 없는데 전쟁터에 못나가는 것처럼

수도권 / 지방 가리기 전에

내 상황 내가 먼저 인지 후에 준비를 해야 합니다.


서울과 수도권 시장을 넘어서 지방까지

가치 대비 가격이 싸진 단지들이 늘어나고 있기에

최근 투자금이 많고 종잣돈을 1억 이상 모을 수 있다면

충분히 더 좋은 자산을 쌓아 가고 있습니다.


주변을 보면서 내 스스로 흔들리기 보다

내 '상황' 인지 이후에 어떤 투자를 할 지

꼭 메타인지 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KTX 타고 지방을 가야 하는지

서울 및 수도권에 산다면 가까운 곳 임장을 가야 하는지

어느 정도 본인 스스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겁니다.


3. 실전 투자까지 연결하기 (중요한 본질)


시장 상황은 늘 변하기에

우리가 투자하는 단지들의 가격 흐름도

매일 마다 변하기 마련입니다.


그렇기에 내가 타겟팅 하고 있던 단지들을

꾸준히 시세 흐름을 파악하고

내 투자 범위 들어오면 빠르게 속도전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 입니다.


아무리 좋은 투자 자산이 있다한들

그 단지가 강남에 있든 송파에 있든 서초에 있든

가격이 저렴하지 않고

내 투자 범위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가격 비교 자체도 중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투자의 본질은 알다시피

가치 대비 싼 가격인 단지를 욕심 부리지 않고 목표 매도가에 파는 것입니다.


망하지 않고 계속해서 시장에 살아 남아야 하는 게

지난 몇 년간 시장에 머무르며 배운 '본질'입니다.


서울 및 경기의 전세 물량은 조금씩 소진되고

매매 물량은 일부 쌓이는 추세입니다.


엊그제 현장에서 본 상황은

전세 물량도 많이 없어 값이 싸고 투자 범위에 들어온다면

전세 세팅하고 투자하기에는 좋은 시장인것 같다고 느끼기도 했습니다.


누군가는 기다릴 때 누군가는 현장에서 땀 흘리며

기회를 잡기 위해 아득바득 목표를 향하고 있습니다.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구름농부
24. 01. 29. 10:35

좋은 글 감사합니다!!

파도타기8
24. 01. 29. 11:05

번장님 감사합니다❤️

아수라킹
24. 01. 29. 11:17

반장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