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기11기 싼 값에 4서 끝까지 4수하자 모피어스] "할수 있다!! 그냥 하자!!" 전국구 투자자가 되는법! -지기 11기 1주차 제주바다님 강의 후기

  • 23.08.06


모피어스 강의 후기

1주차

- 월부닷컴 후기 : https://weolbu.com/community/5607

- 월부카페 후기: https://cafe.naver.com/wecando7/9696481

- SNS 후기: https://www.instagram.com/p/CvmHtLGxdE8/?igshid=MzRlODBiNWFlZA==



지기 11기 44조 강의 후기 모음

- 모피어스 : https://weolbu.com/community/5607

- 뿌나세븐님: https://weolbu.com/community/4663

-쁘이2님: https://weolbu.com/community/6260

-햇빛001님: https://weolbu.com/community/6138












안녕하세요.

DGIT (독강임투)에 힘쓰고있는

모피어스입니다 :-)




지방기초 11기 강의의 시작은 '제주바다님'의 강의였습니다.

현재 지방을 놓치게 될까봐 걱정과 함께

어떻게 투자하면 좋을지 지방 투자 방법과 투자 전략에 대해

한가득 팁을 말씀해주신 정말 좋은 강의였습니다.


그럼, 1강 후기 시작해봅니다!

.





왜 지방투자기초반인가? : 광역시를 봐야하는 이유


대한민국은 크게 수도권-광역시-중소도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방투자기초반은 여기서 '광역시'를 중점적으로 다뤄주고 있습니다.

광역시는 특히나 수도권과 중소도시를 이어주는 핵심 도시라고 생각이 듭니다.


제주바다님은 광역시의 특징을 말씀해주셔서

왜 우리가 '광역시'를 봐야하는지 그 이유를 잘 설명해 주셨습니다.


때문에 내가 23년에 투자시장을 바라보는데 있어서

광역시는 어떤 역할을 하고, 또 광역시 투자를 할때는 어떤 관점에서 바라봐야할지는

조목조목 설명해 주시는 점이 참 좋았습니다.



수도권은 주택 수요와 공급 + 심리(가수요)가 함께 움직이는데 반해,

지방은 주택 수요와 공급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위 뉴스와 같이 지방은 공급을 줄이고 있습니다.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해질 예정이고, 또 부족한 곳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매매/ 전세가 상승이 이뤄 질 수 있고 지방이 투자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런 점이,

우리가 지금 '지방기초투자반'을 들어야하는 이유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방기초투자반'에서는 다양한 지역에 대한 지역분석도 함께 진행을 해줍니다.

이번에는 제주바다님과 A라는 지역에 대해 분석을 해보았지만,

앞으로 지방투자기초반에서 다뤄주실 나머지 B,C,D지역에 대해 기대감도 생겼습니다.




BM 포인트

:강의 내용중 지역분석 부분을 통해 나의 앞마당 지역을 다시 살펴보고

입지분석이나 빠진 내용을 보충해보기










광역시 투자도 장기투자 가능하다 :광역시도 우상향!


강의 전에는 그래도 무조건 큰 수익을 가져다주는게

수도권이나 서울 아닐까? 라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수요도 많도, 더 입지가 좋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때문에

'장기투자는 수도권만 가능하고

지방의 경우 중단기 투자만 가능할것이다'라는 생각이 컸습니다.


하지만, 강의를 통해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광역시도 장기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광역시도 수도권 만큼이나 큰 수익을 가져다주며

입지 좋은 신축이나 구축의 경우

아주 탄탄한 매매 그래프를 가지고 있음을 알게되었습니다.


이런 점들 또한 우리가 광역시를 봐야하는 이유라 생각합니다.



BM 포인트

: 광역시도 10년정도 세월을 보았을 때 우상향한다.

편견을 갖지말고 광역시의 물건도 열심히 보기











지방 입지분석 방법:수도권가 비슷하다가도 다르기도 한


수도권과 마찬가지로, 지방의 입지분석을 어떻게 하는지 강의에서 자세히 다뤄주셨습니다.


똑같이 '인구, 직장, 학군, 환경, 공급, 교통' 부분으로 나뉘어 지역을 분석하는데


지방의 경우 포인트가 약간 달랐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어떻게든 '강남에 빨리 도달하는 '것이 우선시 되었지만.


지방의 경우 수도권과 다르게 생각해야 합니다.


이런 부분은 제주바다님이 다양한 예시와 함께 설명해주셔서


앞으로 광역시의 입지분석을 어떻게 해나가야하는지 큰 가이드가 된것 같습니다.



BM 포인트

: 지방 입지평가 기준으로, 앞마당의 입지평가를 진행해보고 정리해보기






(제일 중요) 제주바다님의 분석과정 흐름을 살펴보기 :전문가는 어떻게 지역을 바라보는가


강의에서 제일 좋았던 점은,

멘토님의 지역 분석과정과 사고의 흐름을 엿볼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A지역에 대해 지역분석의 과정 즉,

개요 - 입지분석 -시세분석 -투자 순으로 살펴보았습니다.

PPT슬라이드 하나하나 씩 넘길때마다

' 아 이런 순서로 지역을 분석해 나가는 구나'

' 여기에서는 이것과 연관을 짓는구나'

'이 단지와 저단지를 연관지으시는구나'

라는 생각과 함께 어떻게 하면 나도 제주바다님의 분석과정이나 사고의 흐름을 비슷하게나마

따라해볼 수 있을까 생각하며 보았습니다.




특히, 시세지도에서 각 단지의 시세를 말씀해주시면서,

이 단지와 저단지를 비교해서 어느게 저평가인지를 생각해보고

또 단지의 가격을 통해 현재 이 단지가 있는 땅이 입지가치가 있는 곳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

또 신축의 가격을 보고 이 외곽에서는 신축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다양한 견해를 말씀해 주시는데, 정말 '와...' 감탄이 나오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이걸 이렇게 연관짓는구나? 여기서 이런걸 도출해 내는구나?'


평소에 저는 임보의 시세지도에 가격을 넣으면서,

기계적으로 넣는 경향이 없지 않았는데


멘토님이 생각하는 방식을 보면서 나도 시세지도를 그릴때는

이렇게 땅의 가치나 신축의 의미를 생각해보면서 넣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BM 포인트

: 이렇게 꼭 3가지를 임보에 넣기

•도시개요 : 위치,특징/ 행정구역/ 인구/ 생활권/ 소득/ 인접지역

•입지분석 : 인구/ 직장/ 학군/ 환경 / 공급/ 교통

•가격분석 : 랜드마크 단지/ 평단가/ 구별 대표단지


시세지도의 시세는 기계적으로만 넣지않고 가격에 대해 생각을 해보기.







성공 투자 하는 법: 모르겠다면 거인의 어깨를 빌리자


제주바다님이 과거 임장비용을 월 100만씩 쓰면서 지방을 다녔던 이유를 들으면서

저의 상황에 대입해 보았습니다.


나도 열심히 임장을 다니고 있는가?

또 임장에 대한 결과물을 내고 있는가? (그렇지 않으면 그런 비용들이 매몰비용이 될 가능성이 높다.)


더운 여름에 임장이 쉽지않아

조금 나태해진 부분도 있었던것 같아 반성하게 되었습니다...ㅎ


또, 지방을 돌아다니면서

이 물건이 괜찮은지 또는 소액투자가 맞는지, 확신이 들지 않는다면

'거인의 어깨를 빌리기' 즉 코칭을 적극 활용해 봐야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주식투자 대가들 보면 투자 기본 맥락이 비슷하다고 합니다.

"가치가 저평가된것을 사서 기다린다. "


그런데 우리가 투자를 하다보면 계속 이 기본을 잊고 미래를 알려고 합니다.

'이 지역은 앞으로 오를까? 이지역 떨어지는거 아니야?'

그래서 투자를 주저하게 됩니다.


모든 지역의 미래를 알아야하는건 아니라고 합니다.

어딜 가나, 그 지역에서 아주아주 저평가된 아파트는 항상 있습니다.

미래는 몰라도, 더 떨어질 수 없는 아파트가 있다면 그것을 사고 버틴다!!!

이게 저희가 하는 전세레버리지 투자의 기본 같습니다.




BM 포인트

: 투자의 기본을 계속 명심하자. 미래를 알려고 하기보다는,

현재 이 아파트의 가치가 저평가 되어있는지를 먼저 보자.







요즘 개인적으로

투자활동에 많은 시간을 부으며

열심히, 또 치열하게 달려나가고 있는 시간인듯합니다.

임장을 하다보면,

휴가기간에 여행을 떠난 사람들

또는 카페에서 즐겁게 수다떨고 있는 사람들 등을 보면서

내가 지금 어떤 한가지에 굉장히 몰입하고 달려나가고 있는 시기

한가운데에 있구나 라는 생각과 함께

언제 또 이런시간들이 올까 싶은 생각에

더 열심히 하게 되는것 같습니다.







8월달 이제 강의 1개가 끝났고,

조에서 임장도 시작합니다.

무더운 여름이지만 함께 강의를들으며 임장을 하며

땀흘리며 뿌린 8월이라는 씨앗이

꼭 1년뒤, 2년뒤 큰 사과라는 열매로 수확되기를 기대해보며

오늘도 열심히 달리고 있을

우리 지기11기분들과 저희 44조 조원분들

응원합니다!!










댓글


모피어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