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안녕하세요, 열중 35기 84조 행탄이입니다.
1주차 방랑미쉘님의 '내게 맞는 투자지역 선정하는 법'에 대한 강의후기입니다.
우선은 현재 자산, 투자금, 1년에 모을 수 있는 금액에 따라 지방 투자를 할지, 수도권 투자를 할지 방향을 정해야 한다. 방향을 정하고 나면 그에 맞는 방법을 따라하기만 하면 된다.
part1. 지방에서 잃지 않는 투자하는 법
1) 전세가율 70% 이상인 곳
2) 현재 입주물량 및 3년 후 입주물량이 적정범위 이내인 곳
3) 인구수 20만 이상인 곳
-> 비슷한 입지 위상 중에서 가격이 저렴한 곳 투자!!
지방에서는 아무래도 입주물량에 따른 리스크가 제일 큰 것 같다.
현재 입주물량만 볼 것이 아니라 전세연장을 할 시기인 3년 후의 입주물량을 중요하게 봐야한다.
또한, 지방에서는 A급 입지의 구축 아파트보다는 B급 입지의 신축 아파트를 더 선호하므로
재건축 수요가 있는 지역이 아니라면, 구축 아파트 투자를 더더더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수도권 투자할 때보다 투자금을 줄이는 데 더 집중해야 한다.
전세가를 높이기보다는 매수가를 낮춰야 한다.
part2. 수도권에서 더 버는 투자하는 법
1) 전세가율 60% 이상인 곳
2) 입지독점성이 있는 곳
서울은 C급, D급 입지이더라도 지금 투자하려면 투자금이 2~3억은 든다...
이에 1년 이내에 서울을 투자할지, 1년 이후에 서울을 투자할지에 따라 임장할 지역이 나뉘게 된다.
또한, 서울은 지방과는 다르게 B급 신축 아파트보다는 A급 입지의 구축 아파트가 더 선호도가 많다.
이는 주요 업무지구로 출퇴근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할 수밖에 없다.
출퇴근 시간에는 지하철도 밀린다...
물론 웬만한 서울 수도권 내에서는 교통 및 직장이 중요하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핵심 입지요소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치, 목동, 노원, 분당 등과 같은 지역에서는 학군이 더 중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지역에 맞는 핵심 입지요소를 찾아내 상대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part3. 지방+수도권 투자 로드맵
1) 입지와 가격비교를 하면서 충분한 투자연습시간 확보
2) 더 나은 의사결정으로 투자 수익률 극대화
-> 5년 내 10억 이상의 자산 쌓기!!!
지방을 먼저 투자하든 수도권을 먼저 투자하든 상관은 없다.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해나가기만 하면 되는 것 같다.
이번 강의를 통해 방랑미쉘님의 깊은 인사이트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실전반, 지방실전반을 못가서 답답한 내용들을 이번 강의를 통해 어느 정도 해소한 것 같다.
결국 제일 중요한 것은 현장임장인 것 같다.
아실에서 그래프만 붙여넣을 것이 아니라, 잠깐이라도 임장을 꾸준히 가야겠다.
현장임장을 통해 앞마당을 많이 만들고, 꾸준히 시세트래킹하는 게 실력을 쌓을 수 있는 길이다.
매물 임장 후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