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5기 108조 가온인] 1강후기 - 이 강의만 들으면 서울에 내집마련 할 수 있습니다.

  • 24.02.12


안녕하세요

마음이 따뜻한 부자가 되고 싶은

가온인입니다



많은 분들이 과거 수도권 상승장을 경험하며

나만 늦었구나! 나만 벼락거지가 되었네!

이제라도 사야하는 거 아니야?

라며 기회를 놓쳤다며 후회하는 경험을

하셨거나

지금 서울의 좋은 곳들이 싸졌다는데

이참에 갈아타기를 한번 해볼까?

라고 하시는 분들이


꼭 들어야 할 강의 중 하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강의를 들으며 느낀 것은


내가 생각지도 못한 지역에도 살 수 있겠구나!

내 예산으로 생각보다 상급지로 갈아탈 수도 있겠구나!

아! 강의에서 시키는 데로만 하면

앞으로 오는 기회도 잡을 수 있겠네?


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 지금 집 사도 될까요?


현재 수도권은 매매 거래는 잘 이루어 지지않습니다.

23.1월 시장과 비슷했던 것 같습니다.

그 당시 매매거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급매가 나오면 지켜봤던 실거주자들이

매수하는 시장이었습니다.


그때 누군가는 아래와 같이 28%하락

15.6억에 매수할 용기를 냈을 것이고

누군가는 더 하락할 것이 두려워 눈치만보다

6개월만에 가격이 19억까지 오르는 것을보고

후회하고 있을 지 모릅니다.



그럼 위 사례와 같이 지금은

작년처럼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그 시기일까요?

과연 지금 내집마련을 해도 될까요?


저도 지난 시장을 보며 이런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각 단지별로 시세를 보며


아! 이 단지에 이정도는 가격은

사람들이 매수 할 수 있는 금액대이구나


저는 투자공부를 오래 했기에 이런 상황들을 이해하지만

내집마련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이런 상황들을 잘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면 지금 사람들이 살 수 있는

적정한 가격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PIR을 설명해주셨습니다.


※ PIR이란?

소득대비 주택가격


쉽게 말해

PIR이 10이라면

서울시민이 한 푼도 안쓰고

10년을 모아야 서울평균 아파트를 살 수

있다는 의미 입니다.


서울의 평균 PIR 12정도인데

22년초반 PIR정점인 19.9 일 때와 비교하여

현재는 서울의 PIR은 10.7정도의 수준이라

싸다고 생각한다 라는 것을 설명해주셨습니다.



다만 과거보다 전세가율은 아직은

높지 않기에 추가 하락에 대한

두려움도 생기는 시기라는 것을 상기 시켜주셨구요.


강의에서 설명해주신 방법을 이해 한다면

시장의 가격흐름을 읽기에는

너무 좋은 방법이지 않나 생각이 됩니다.


예시로

그 단지의 가격이 적당한 지 아닌지

직접그래프를 보여 주셨는데

각 급지별로, 각단지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어느 단지는 지금 매수하기에 좋은 가격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M할점

각 급지별, 단지별 가격기준 잡아놓고

내가 할 수 있는 매수범위 정하여 놓고 지켜보기!



#거주와 투자를 분리하는 법


사람마다 상황은 전부 다릅니다


종자돈과 소득, 지출, 저축액,대출

현재 나의 예산에 따라

거주와 투자를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각 케이스별로 설명해주시는데


의외로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상위급지도

갈 수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어 놀랐습니다.


이렇게 하는것과 모르는 것의 차이가

나중에 자산의 격차가 커지는 모습을

단지의 예시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부동산을 전혀 몰랐을 때는

아파트 가격의 전부가 있어야

집을 살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내가 현재 종자돈과 소득이 적더라도

일정기간 종자돈을 모아

그에 맞는 매매가 전세가 차이의 단지를

매수 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서울에 무조건 내집마련이 힘들다라고

생각하셨던 분들에게

희망이 되는 방법을 알려주신 것 같아

너무 도움이 되었습니다.

(강의 꼭 들어보세요!)


각 사례를 통해 단계별 로드맵을 짜주시니

누구나 강의를 제대로 들었다면

내집마련을 할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드네요.


BM할점

종자돈이 부족하다면

종자돈을 모으며 지속적으로 시세 모니터링할 것



# 갈아타기 방법


저는 지방에 살고 있는데요

과거 저는 신혼집을 하급지 24평 준신축에서

시작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때는 준신축에 대단지라 나름 살기가 좋았습니다.


하지만 몇 개월뒤 중심지 34평 신축으로

갈아타기를 했습니다.


이전 단지만큼의 규모는 아니었고

균질성이 좋은 택지도 아니었지만

34평에 신축이니 상승장 때

기존의 아파트와 가격차이가

2억정도 차이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그 때는 잘 알지 못했지만

제가 한 갈아타기중에 잘 한 부분이

평수를 넓힌 신축을 매수한 점이었습니다.


물론 저는 지방에 살고 있었기에

신축+평형늘이기 이 부분이 더욱 유효했던 것입니다.


강의에서 갈아타기를 잘하는 법을

케이스별로 설명해 주시는데요

서울에서의 최고의 갈아타기는

하급지에서 상급지로 갈아타는 것


지금같은 시장에서는

가장 최고의 선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왜 강의에서 자꾸 좋은 곳을 보라고 하는 지

이해가 되었습니다.


앞선 제 사례처럼

하락장에는 금액차이가 좁혀 지지만

상승장이 되면 그 자산의 격차가

몇 억이 차이나는 것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최고의 갈아타기를 하려면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곳보다 상급지에

가까운 단지들의 시세와 위치를

잘 알고 있어야 가능하겠다 라는 생각입니다.


특히 갈아타기에서 가장 강조하셨던 것은

지금같은 하락장에서는

매도를 먼저하고 매수를 하는 것!

이점을 강조하셨습니다.


정말 강의에서 다 알려주신다

라는 느낌이 들어 듣는내내

감탄하면서 들었습니다.


BM할점

두번,세번 복습하며 잘 습득하여

제것으로 만들 것



수강생들이 정말 더 좋은곳에

내집마련을 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한땀한땀 시세자료도 제공해주시고

수강생들이 가장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신 너나위님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댓글


휘휘
24. 02. 13. 00:32

강의내용을 복습할수있는 후기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