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열반스쿨기초반, 실전준비반을 수강하면서 지방투자의 기준을 넌지시만 들었다. 그래서 보다 자세히 지방투자의 기준을 알고 싶었다. 제주바다님께서 기준을 분명하게 말씀해주신 것 같아서 기준을 잘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1.인구수
2.입지
-지방은 직장이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다는 것을 느꼈다. 물론 지방에서도 광역시 같은 경우에는 학군 등으로 입지 독점성을 가진 경우가 있겠으나,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입지(땅의 가치)독점성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느꼈다.
3.상품성
-연식, 공급, 브랜드
-제주바다 강사님은 환경을 입지에 넣고 설명했지만, 내 생각에는 환경은 상품성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입지(땅의 가치)가 조금 낮더라도 환경이 좋은 곳들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설명해주신 A지역 사례.
-공급부분에서 A지역 투자 분석을 예시로 들어주시며 공급을 월별로 나누는 것을 보여주셨다. 단순히 연도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월별로 나눔으로써 그만큼 가격에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대비하는 전략을 배울 수 있었다.
댓글
사공억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