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원씽 – 복잡한 세상을 이기는 단순함의 힘』
`24. 2.초 1독, 10/10점
삶의 매순간마다 가장 적합한 행동을 하는 것
<본>
p109) 성공에서 중요한 것은 업무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입하느냐가 아니다. 핵심은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다. 탁월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선택한 다음 그것을 성취하는 데 필요한 모든 시간을 들여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다른 업무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관련해 극단적으로 균형을 깨뜨려야 한다. 다른 문제는 손을 쓸 수 없을 만큼 악화되지 않도록 가끔씩 중심을 잡아 주면 된다.
p114) 로버트 브롤트(미국 저널리스트): 우리가 목표 달성을 힘겨워하는 이유는 장애물 때문이 아니라 덜 중요한 목표 쪽으로 훤히 뚫린 다른 길 때문이다.
<깨> 나의 직장 생활?
<본>
p196) 자신의 목표를 직접 적어 둔 사람은 그것을 달성할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39.5%나 높았다. 목표와 가장 중요한 것을 적어 두는 것은 우선순위에 따라 살기 위해 당신이 해야 할 마지막 단계다.
그리고 무슨 일을 해야 할지 알게 된 다음 해야 할 단 한가지는, 아는 것을 실천하는 일이다.
<깨> 너나위, 자모님: 배운대로 행하라
<적> 비전보드 업데이트 및 화이트보드or인쇄+코팅하여 전시
<본>
p260) 당신의 삶도 이와 같다. 완전히 성숙한 것을 처음부터 손에 넣을 수는 없다. 당신이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은 작은 것과 그것을 크게 키울 수 있는 기회뿐이다. 작게 생각하면 당신의 삶도 작은 상태로 머물 것이다. 하지만 크게 생각하면 당신의 삶이 크게 자랄 기회가 생긴다. 선택은 당신의 몫이다.
<깨> 최고, 크게, 위대하게 생각하라. 너나 나나 비슷한 사람이지만, 생각에 따라 다른 삶을 살게 될 것이다.
<본>
p61~68) 실제로 사람도 걸어가면서 말을 하고, 껌을 씹으면서 지도를 보는 것처럼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일을 할 수는 없다. 그저 주의력이 리 갔다가 저리 갔다가 하는 것뿐이다.
<깨> 멀티태스킹은 미덕이 아니다, 분임 때는 분위기만, 단임 때는 단지만 보자. 그러려면 분임단임 전에 손품을 충실하게 팔아야 한다!
집중력 결핍은 인간의 본능에 속한다.
<깨> 집중력이 떨어지는 본능을, 의식을 통해 의도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내 집중력이 다른 사람보다 특별히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집중력을 제어하기 싫을 뿐이다.
4. 만성적으로 멀티태스킹을 하는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예측하는 감각이 떨어진다. 그래서 실제보다 훨씬 더 걸린다고 생각한다.
<깨> 나의 업무 스타일(집중하지 못하고, 중간 중간 다른 일), 나의 첫 임보(무엇을 BM하는 것이 최선일지 고민하다, 막상 행동은 못하고 시간만 엄청나게 소모)
<적> 온라인-손품(임보) // 오프라인-분임 //
온라인-손품(임보) // 오프라인-단임
임보, 분임, 단임 익숙해질 때까지 철저하게 구분해서 그 순간에 집중할 것. 오프라인에서 분임, 단임 변화시마다 잠시 멈추고 기록해두기. 기록하면서 중간중간 쉬기(투자생활을 오래 지속하기 위하여)
<본>
p74~77) 그러니 ‘자기 관리에 철두철미’하게 보이는 사람도 실제로는 몇 가지 바람직한 습관을 만들어 확립시킨 것뿐이다.
생각보다 훨씬 적은 자기통제력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 하나다.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성공을 이루는 비결은 올바른 습관을 선택하고 그것을 확립하기에 필요한 수준만큼의 통제력을 갖추는 것이다. 그게 전부다. 이 습관이 삶의 일부가 되면 당신도 남의 눈에 자기관리가 철저한 사람처럼 보이겠지만 당신 스스로는 그 일을 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강력한 습관을 얻기 위해 선택적인 집중을 실천한 사람, 당신은 바로 그런 사람이 될 것이다.
습관을 만드는 건 처음에만 힘들다는 사실이다(언컴포트존).
<적> 90일 부자 습관 만들기! 독, 강, 임, 투 습관·생활화!!
<본>
p126) 1. 크게 생각하라. ‘다음번에는 무엇을 할까?’와 같은 점진적인 사고를 피하라. → 부의 추월차선, 역방향 사고
2. 메뉴판만 보고 주문하지 마라. → 원하는 것을 주문해라(내가 무얼 원하는지 아는 것부터 시작해보자!)
3. 대담하게 행동하라.
4.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라. → 최악의 결과 선택법(행동에 따라 예상할 수 있는 최악의 결과를 내가 감당할 수 있다면, 해봐라!)
<깨> 부의 추월차선, 역방향 사고, 리스크 관리
<본>
p160, 180, 193) ‘최대한 힘을 발휘해야 하는 것’은 현재 자신이 가진 능력의 한계까지 스스로를 몰아붙여야 하기 때문에 찾는 것이 그리 쉽지 않다. 하지만 노력 여하에 따라 잠재적으로 성취가 가능한 부분이다.
탁월한 성과는 큰 해답을 필요로 한다.
해답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것을 얻고 싶다면 그것이 당신의 컴포트존 바깥에 있음을 먼저 깨달아야 한다. (중략) 즉, “지금까지 누군가가 이것 혹은 이와 비슷한 것을 연구하거나 이룬 적이 있었는가?”라고 묻는 것이다. 거기에서 무엇을 배우든 그것을 이용해 다른 최고의 성과를 올린 사람들이 했던 일을 연구, 즉 벤치마킹과 트렌딩(앞으로의 경향과 추세 등을 점치는 것)을 실시해야만 한다.
<깨> 주언규 ‘슈퍼노멀’ BM법
행복은 만족을 느끼는 길에서 생겨난다.
<적> 감사일기 꾸준히 쓰기
<본>
p206) 1. 휴식 시간 확보하기 – 성공한 사람들은 매년 휴가 계획을 정하며 한 해를 시작한다. 왜일까? 그들은 그 시간이 필요함을 알고, 자신에게 그런 시간을 낼 자격이 있다는 것도 알기 때문이다. 실제로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자신이 여러 번의 휴가 사이사이에 틈틈이 일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반면 성공을 거두지 못하는 사람들은 휴식 시간을 따로 떼어 두지 않는다. 자기에게 그럴 자격이나 여유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깨> 목표(목실감, 1년 목표)
<본>
p226) 사람에게 장작을 구해오라고 하면, 당장 어깨에 도끼를 둘러매고 숲으로 향할 것이다. 반면 목적의식이 있는 사람에게 같은 부탁을 하면 그들은 “어디로 가면 전기톱을 구할 수 있습니까?”라고 물을 것이다.
<깨> 잠시 멈추기, 생각하고 경청하고, 행동하기!
<본>
p249) 아침 식사 시간이나 운동 시간에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지 못했다면 그들을 찾아가 만나라. 안아 주고, 이야기하고, 함께 웃어라. 애초에 일을 하는 이유가 그들 때문임을 기억하게 됨과 동시에 일찍 집에 들어갈 수 있도록 최대한 생산성을 높이려는 동기가 샘솟을 것이다. 생산적인 사람들은 정서적 에너지를 연료로 더욱 활발히 움직인다. 그러한 기쁨이 그들의 마음을 가득 채우고 발걸음을 더욱 가볍게 한다.
p111) “삶이라는 게임에서 다섯 개의 공을 저글링하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 그 공은 각각 일, 가족, 건강, 친구, 정직이다. 그리고 지금 당신은 그것들을 모두 떨어뜨리지 않고 성공적으로 저글링하고 있다. 하지만 어느 날 ‘일’이 고무로 된 공이라는 걸 깨닫게 된다. 그걸 떨어뜨리면 도로 튀어오를 것이다. 하지만 다른 네 개의 공, 즉 가족, 건강, 친구, 정직은 유리로 만들어져 있다. 그걸 떨어뜨리면 돌이킬 수 없이 흠이 나고, 이가 나가거나, 심지어 산산조각이 날 수도 있다.”
<깨> 선순환, 유리공 관리, 일과 가정 어정쩡한 타협X 중심잡기O
<적> 가족들과 아침식사 같이 하기, 일 몰입하여 빠른 처리 후 귀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