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본깨적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123조 하백]

  • 24.02.19

* 책제목 : 본깨적(~p.267)

* 지은이 : 박상배

* 출판사 : 위즈덤하우스

* 독서일 : 2024.2.13.~2.17.


<지은이 : 박상배>

독서경영 컨설턴트. 2009년까지는 직업이 안경사였고, 강규형대표를 만나 3P자기경영연구소 독서사업부본부장과 KMA(한국능률협회) 독서경영전문가 책임강사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박상배성장경영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본 것>

1. 책을 읽다. 삶이 바뀌다.

#01. 똑같이 책을 읽어도 어떻게 활용 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진다.(p.20)

 

2. 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 읽기다.

#02. (본) 책을 제대로 보려면 내가 아닌 저자의 관점에서 보려고 노력해야 한다.(p.70)

#03. (깨) 깨닫는 것은 철저하게 ‘나’의 관점에서 깨달아야 한다.(p71.)

#04. (적) 깨달은 것을 현실로 만들어야 한다. 구체적일수록 실현 가능성이 높아진다.(p72.)

#05.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읽으면 더 효과적으로 읽을 수 있다. (p.77.)

#06. (1단계) 개관독서법, (2단계) 분석독서법, (3단계) 종합독서법.(p.79.)

#07. 책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에밍하우스의 망각법칙(p.83)

#08. 책을 읽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고 싶다면 1124(1일,1주,2주,4주) 재독법을 적용해라.(p.85)

#09. 빨리 읽는 것보다 제대로 읽는 것이 중요하다. 준비20, 읽기70, 마무리10.(p.89.)

#10. 시작하기 좋은 책은 읽고 행동으로 옮기기 좋은 책이다. 마쓰다 미쓰리로의 청소력(p.94)

#11. 독서 근육이 붙으면 좋아하는 책과 그렇지 않은 책을 7:3의 시간을 정해 두고 읽어라.(p.98)

#12. 오랫동안 나를 지배해온 생각과 습관을 바로잡는 데 책만큼 도움되는 것도 드물다.(p.100)

#13. 조급할 이유도 없다. 서두르지 말고 책을 읽다 보면 반드시 임계점을 통과하는 날이 온다.(p.107.)

#14. 깨닫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행하지 않으면 삶은 바뀌지 않는다. 지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라도실행을 방해하는 원인을 제대로 알고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p.111)

#15. 정보의 과부하나 행동을 제한하는 부정적 사고방식은 실행을 방해한다.(p115.)

#16. 깊은 고민과 해답이 필요할 때에는 같은 주제를 다룬 수직적 병렬독서가 적합하다.(p.118)

#17. 사고를 확대하고 유연하게 하려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수평적 병렬독서를 권한다.(p120.)

 

3. 실전! 본깨적 책 읽기

#18. 책을 잘 읽기 위해서 꼭 해야 할 세 가지 질문. 첫째, 이 책과 나의 연관성은? 둘째, 책의 예상 핵심 키워드는? 셋째, 이 책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Before Reading (p.129)

#19. 표지, 목차,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읽고 어느 정도 내용을 파악했다면 이 책과 나와의 연관성을 체크해 보면된다.(p.131)

#20. 본문 전체를 빠르게 훑어보면서 키워드 3개를 뽑아라.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저자가 강조해서 이야기하고 싶어 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려는 마음이 필요하다.(p.136)

#21. 좀 더 적극적으로 내가 왜 이 책을 선택했는지, 이 책을 읽고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미리 정리하고 읽는것이 좋다.(p.137)

#22. 관심이 가는 페이지가 나오면 귀접기를 해라. 속독과 재독을 돕는다. 정말 좋은 페이지는 개구리 다리처럼퉁이를 두 번 접는다.(p.139)

#23. 밑줄과 박스를 치면서 읽으면 집중력이 올라간다.(p142.)

#24. 책 여백 상단에는 본 것을 적고, 하단에는 깨닫고 적용할 것을 적어라.(p.147)

#25. 본깨적의 진가는 재독에서 빛난다.(p.149)

#26. 마무리 5분이 책을 살린다. 단 5분이라도 책을 읽은 다음 내용을 되짚어보고 책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다면, 그만큼 책이 온전한 내 것이 되고 삶을 변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p.151)

#27. 삼색 인덱스로 책 속 본깨적을 분류하고, 키워드를 적어 놓으면 내용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p.153)

#28. After Reading으로 첫째, 나에게 유용한 책인지 평가하고 둘째, 이 책에서 얻은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셋째, 책 속의 책 도는 연관 지어 읽어 볼 책이나 내용이 무엇인지 정리해라.(p157)

#29. 본깨적 노트 작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저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을 정확히 중요한 내용만을 적어야 한다.(p.159)

#30. 핵심요약정리로 본 것을 한눈에 정리하기. 이미지화해 정리하는 것도 좋다.(p.164)

#31.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은 사유를 바탕으로 적어야 한다. 다각도로 깨닫고 적용하는 만큼 삶이 더 긍정적으로 변화한다.(p.168)

#32. 다양한 생각을 공유해야 생각이 깊어진다. 한 사람이 10권의 책을 읽는 것보다 10명이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는 것이 낫다.(p.172)

#33. 삶을 변화시키려면 본깨적 책 읽기를 습관처럼 꾸준히 해야 한다. 여럿이 함께 해야 기본 좋은 강제력이 생겨 지속할 수 있다.(p.175)

#34. ‘나로부터 비롯된 변화’ 독서모임 나비를 활용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p.176)

#35. 333 본깨적을 하면 그만큼 깊이 있게 본깨적 내용이 나오기 때문에 삶의 변화 속도도 빨라진다.(p.178)

#36. 저자의 핵심을 보기 위한 세 가지, SKI, Subject, Keyword, Impressive. 주제, 키워드, 인상적인 구절 (p.178)

#37. 더 깊은 깨달음을 위한 세가지, MRK. 동기(Motivation), 역할모델(Role-model), 지식(Knowledge)(p.180)

#38. 적용을 더 잘하기 위한 세 가지, KIA. 개선을 의미하는 카이젠(Kaizen), 아이디어(Idea)는 휘발성이기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 생각날 때마다 책 귀퉁이에 적어 두고, 책을 다 읽은 후 따로 본깨적 노트 아이디어 코너에 정리해 두는 것이 좋다. 사실 적용(Action plan)은 개선할 내용을 찾아 적용하는 것, 아이디어를적용하는 것 모두 적용의 범주에 포함된다.(p.183)

#39. 나만의 독서 내비게이션. 가장 좋은 방법은 책 속에서 책을 찾는 것이다.(p.185)

#40. 관심이 가고 신뢰할 만한 저자의 다른 책을 읽는 것도 독서 내비게이션을 만드는 좋은 방법이다.(187)

#41. 손으로 읽는 것에 낭독을 더하면 훨씬 기억에 오래남고, 책에서 전하는 메시지와 감동도 더 강렬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p.193)

#42. 상상력을 발휘해 저자와 가상의 대화를 나누는 것을 즐겨라. 본깨적 책읽기가 극대화된다.(p.196)

#43. 독서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울수록 습관을 들이기 쉽다. 평생, 월간, 주간, 일간 독서계획 세우기(p.215)

#44.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한 책에서 하나의 메시지를 얻고, 한 가지만 실행해라.(p.234)

#45. 21일의 법칙. 새로운 습관이 몸에 밸 때는 대부분 21일 정도면 충분히 습관으로 자리잡는다.(p.235)

#46. 딱 일주일만 기록하면 새는 시간이 보인다.(p.237)

#47. 자투리 시간만 잘 활용해도 책 읽은 시간은 충분하다. 티끌 모아 태산이 되듯 5분, 10분, 자투리 시간이 모이면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p.240)

#48. 디지털 미디어 사용시간을 반으로 줄여 책을 읽는다면 뇌도 똑똑해지고, 그만큼 삶도 똑똑하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p.246)



<깨달은 것>

1) 책은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사람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

2) 본깨적 책 읽기는 삶을 변화 시키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3) 1124 재독법. 333재독법은 책의 내용을 오래 기억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4) 책을 읽는 목적에 따라 수평적, 수직적 병렬독서의 조화가 필요하다.

5) 준비-읽기-마무리 과정으로 책을 읽으면 효과적이다.

6) 상하단 여백을 활용하면 본깨적 정리하기 좋을 것 같다.

7) 333 본깨적은 독서 효과를 높이기에 확실한 방법이다.



<적용할 것>

1) 앞으로 독서할 때, 본깨적은 필수.

2) 1124 재독법으로 책 내용 오래 기억하기.

3) 준비-읽기-마무리, 2:7:1 기억하고 실천하기.

4) 책 읽을 땐, 상단과 하단 여백에 본-깨적을 작성하고, 귀접이도 해 볼 것.

5) 당분간 한 권의 책에서는 하나의 메세지만 얻고, 한 가지만 실행할 것.

6) 짜투리 시간을 소중하게 활용하기 위한 21일 틈독 챌린지 시작



댓글


어스틴좌
24. 02. 20. 12:45

책은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사람을 변화한다... 책을 읽을때의 본질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