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궁금했고 애매했던 지방 투자의 기준을 잘 알려주신 게리롱님께 감사합니다.
저가치와 저평가를 구분하는 힌트를 많이 알려주셨습니다.
인상 깊은 점은 지역에 따라 '땅의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기준을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결국에는 '땅' + '상품'의 가치를 종합적으로 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투자 과정 중에서 헷갈릴 때는 인구(절대 수요)가 많을수록 땅을 중심으로,
반대의 경우에는 상품성을 중심으로 판단해보겠습니다.
그리고 내가 어떤 단지에 투자를 할 때 향후 어떤 결과가 돌아올까를 미리 예상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약 큰 투자금으로 상위 생활권 신축을 투자했다면, 큰 수익을 볼 수 있겠구나.
적은 투자금으로 중위 생활권 준신축을 투자했다면, 수익을 보통이지만 수익률은 조금 높겠구나.
기회를 마지막에 붙잡아 하위 생활권 구축을 투자했다면...
왜 지방투자는 수도권 투자와 다른지
또 광역시 투자와 지방도시 투자는 같으면서도 어떻게 다른지,
향후에 단지를 알아가고 투자를 실행할 때 확신을 가질 수 있는 힌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거인의 어깨를 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목표를 향해 가는 이 과정 자체가 꿈을 이루는 것임을 생각해보았습니다.
재밌고, 행복한, 평생할 수 있는 취미이자 도전으로 꾸준히 나아가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