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7기 93조 태싸]

  • 24.02.21

안녕하세요 지기 17기 93조 태싸입니다.


이번 강의는 D,E지역을 알아가면서

00도시에 투자로 어떻게 접근을 해야할 지


그리고 만든 앞마당을 통해서

시세트래킹으로 관리를 하다가


실전투자로 어떻게 이어나가는 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시간이었는데요.


특히, 이번 강의에서 다뤄준 지역은

제가 오랫동안 살았었던 지역이어서

더더욱 재밌게 들을 수 있었고


저의 선입견을 통해서

"여긴 좋지 않았어, 왜 여길?"


이렇게 저의 선입견들을

깰 수 있는 좋은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이번 망구님 강의를 통해서

총 4가지를 얻을 수 있었는데요.


지역 거주민은 신규택지를 좋아..아니 사랑해..


D,E지역의 주민들은

깔끔하고 연식이 좋은 택지를

선호하는데요.


그렇다 보니, 연식이 좋은 단지들이

들어서게 되면 거기로 옮겨가고,


입지독점성을 가지기 보다는

연식이 좋은 택지로

옮겨 가는 부분이 많은데요.


뿐만 아니라 지역 거주민들이

좋아하는 원도심도 있다는 사실


지역 내에서 선호하는 부분을

알아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BM

신규택지 뿐만 아니라

원도심도 좋아하는 경우가 있다,

지역 선호도 파악에 힘쓰자.


공급은 보수적으로


지방에서의 공급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요.


과거 공급을 보고

현재 공급 물량을

과거의 상황을 통해

어떻게 예상하고


대처할 지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좋은 척도라는 것


공급을 더욱 더 들여다보면

캘린더로 구체적으로

보게 되는데요.


이 때 전세 물량은 3개월 전으로

잡아서 보고


특히 전세 물량이

많이 쌓여서

길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것까지

보수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BM

분양 예정 물량

분양114-분양 탭에서 확인하기



리스크와 기대 수익 중 어떤 것이 큰가


저의 투자 결정은

리스크 많아,


그렇기 때문에

"이 지역은 투자하면 안된다."

보통 결론을 내렸는데요.


이번 망구님 강의를 통해서

리스크와 기대수익이 있을 때


역전세가 있더라도

기대수익이 충분히 있다면


투자를 진행해서라도

물건을 가져 가는 게 맞다고

이야기를 하시는데

얼마나 와닿던지요.


우리가 흔히 아는 예적금이

리스크가 없는 대신

기대수익이 없는 것 처럼


리스크를 감당해서라도

기대수익을 얻는다는 건


투자자의 마인드로서

충분히 필요하다는 생각

들었던 것 같네요.


BM

종잣돈, 1년 간 모을 수 있는 금액

대출가능 금액 정확하게 알기


앞마당의 완성은 시세트래킹


정 ! 찰 ! 병 !


말 그대로 저희가 만든 앞마당에

가격의 흐름을 보면서


투자 가능성이 보이면

지역 전체를 살펴서

투자 단지 선정을 하는 것이


바로 시세트래킹을

하는 가장 큰 이유죠.



투자단지만 하는 것이 아닌

랜드마크, 생활권별 대장단지,

생활권 별 대표단지를


선정해서 가격의 흐름을

읽는 게 너무 나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BM

기축단지는

매매/전세 매물수 파악하기


전세가는 실제 거래되는 가격

(보수적으로)


네이버 부동산 링크

단지에 걸어서

시세 파악 용이하게 하기



댓글


망구99creator badge
24. 02. 21. 23:08

태싸님 정리 잘 해주셨네요 :) 앞으로의 실전투자에 도움되는 시간이었길 바랍니다 긴 강의 수강시간동안 고생 많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