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2강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5기 27조 김성원]

23.09.11

나에게 특히 와닿았던 점


  • 서울 3대 업무지구의 비중, 규모의 대단함

(매출 1000대 기업 중 서울 50%, 강남, 20%, 종로 15%, 영등포 5%) (강남권 사업체수 비율 : 전국의 31%)


  • 입지 갈아타기는 하락장에

(고입지 매물이 저입지 매물보다 상승&하락장의 진폭이 큼 > 상승장엔 월등 상승. 하락장엔 많이 빠짐)


  • 지역의 산업 종류를 파악

(제조업 중심 : 특성상 쇠퇴할 가능성 있음, 서비스업 중심 : 산업이 옮겨갈 가능성 적음)


  • 학군지 매물 전세 만기는 2월에

(학군지 아파트 전세수요는 항상 있음. 전세 만기를 2월로 되도록 조정)


  • 부동산 가격에 영향주는 요소는 다차원적이라 한 요인만으로 분석 불가

(금리, 공급, 입지, ...)


  • 내 매물 주변에 단기 공급물량이 늘면, 매물 값도 싸지지만 전세가도 싸진다.


  • 전세 관련 정보

-전세 사이클 : 5년 상승, 3년 보합, 2년 역전세 >> 역전세와 상승은 번갈아 나타남

-★so, 전세가는 5% 정도만 올리기 (리스크 대비) (전세가 상승분 : 50% 투자금, 40% 리스크 대비, 10% 가족)

-수도권 전세가는 평균 연 8% 상승, 10년 80~100% 상승(보수적)

-전세 만기칠 때 주변 입주물량 고려해서 유도리있게 만기날짜 조정

-전세에 영향주는 요소 : (정석)-물가, 입주물량 // (특수)-금리, 임3법


  • ★통화량이 늘어도, 우리 경제가 잘 나가도(경상수지 흑자) 자본이 없으면 그 수혜를 못 받는다. 근로소득은 오르는 폭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


  • 마이너스 통장 목적은 오로지 리스크 대비여야, 투자용은 절대 X


  • 부동산 수익 : 인내하고 버텨서 얻는 것


  • 부동산 가격의 흐름 : 상승-보합-하락 반복하며 장기적 상승. 따라서, 조정은 필수로 받음을 염두해두기 (마인드셋)


  • ★부동산 투자의 원칙은(저-환-수) 안 변함. but 기준(갭 3000)은 변할 수 있음을 인지

댓글


아메리카노옹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