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위즈덤하우스
3. 읽은 날짜: 2024.2.17~21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책의힘
저자가 절망 끝에 찾은 해답은 독서
깨달은 것
-나에겐 절망하지 않을 힘을 쌓는 것이 독서. 내면을 단단하게 쌓아 흔들리지 않을 뿌리를 내리자.
책을 제대로 읽지 못했거나 읽은 것으로만 끝낸다면 몇 권을 읽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책을 통해 변화의 해법을 찾고 실제로 삶을 변화시켰는지가 중요하다. 적극적으로 삶을 변화 시키고 싶다면 책 읽는 방법을 바꿔야 한다.
본깨적이란?
본: 저자의 관점에서 핵심을 제대로 보고
깨: 나의 관점에서 깨닫고
적: 깨달은 것을 구체적으로 내 삶에 적용하는 책 읽기.
1.한권을 다 읽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리고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거나 독서 수준에 따라 개관 독서, 분석 독서, 종합 독서, 상황에 따라 수평적, 수직적 병렬 독서 방법으로 책을 읽는다.
2.사람은 지식을 습득한 후 1시간이 지나면 50%, 하루가 지나면 70%, 한 달 뒤 80% 이상 망각을 한다. 에빙하우스 망각곡선을 역 이용하여 1124(1일,1주,2주,4주) 재독법으로 기억을 저장 시킨다.
3.책을 10권쯤 읽으면 독서 근육이 생긴다. 그러면 책 선정 범위가 넓어지는데 좋아하는 책과 그렇지 않은 책의 비율을 7:3으로 하여 독서 편식을 막는다.
4.나를 이해하는 방법 책 속에 있다. 오랜 시간 걸쳐 굳어진 고정관념과 습관으로 단단해진 껍질을 깨지 않으면 삶을 바꿀 수가 없다. 고통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때 비로소 변화는 시작된다.
5.변화하고 싶다면 내 생각이 전부가 아니며, 잘못된 습관을 고치고 싶다는 의욕이 있는 상태에 서 책을 읽어야 하고, 본깨적 책 읽기 방식으로 최소 300권은 읽고 깨달은 것을 실행해야 한다.
책읽기에 대한 강박관념 버리기! 한문장도 이해가 가지 않으면 몇 번이고 다시 읽곤 했다. 책을 빨리 읽는 사람은 이해력이 좋아서 그렇구나 생각하기도 했는데 당연히 독서 수준의 차이도 있었거니와 책을 읽는 방식의 차이도 있었겠다 생각이 들었다.
소설이나 에세이 위주의 편향적인 독서 습관으로 인해 경제 서적이나 자기개발서가 조금 낯설고 어렵긴하다. 또 아는 내용의 반복이라는 생각으로 더 기피 하였었는데 저자의 관점에서 생각해보려고 한 적은 없었던 것 같다. 그게 내가 더 성장하지 못하는 제한점 이었지 않았을까?
자기개발서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리고 저자가 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하며 책을 읽어야겠다.
#before reading #after reading
책으로 더 많은 것을 얻고 그것을 바탕으로 삶을 바꾸려면 준비가 필요하다
before reading : 책과 나와 연관성, 핵심 키워드, 얻고자 하는 것을 체크해 평가 점수로 발췌독을 할지 심독을 할지 결정한다. 귀접기나 밑줄, 박스치며 읽으면 집중력이 올라가며 본 것을 상단에 깨닫고 적용할 점을 하단에 적는다.
after reading : 나에게 유용한 책인지, 책 속에서 얻은 것은 무엇인지, 연관 지어 볼 책을 정리한다. 마무리 5분은 책을 읽은 다음 내용을 되짚어보고 책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으로 온전히 책이 내 것이 되고 삶을 변화 시킬 수 있는 시간이 된다.
책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내용을 적어보고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본다. 그것이 익숙해지면 키워드 중심으로 책의 핵심 내용을 정리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은 사고를 확장해 창의 적이고 새로운 적용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삶을 더 긍정적으로 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333본깨적
SKI- (subject, keyword,impressive) 주제, 키워드, 인상적인 구절을 통해 저자의 핵심을 파악한다.
MRK-(motivation, role-model, knowledge) 동기,역할 모델,지식을 통해 좀 더 깊은 깨달음을 얻는다.
Kia(kaizen, idea, action plan) 개선,아이디어, 사실 적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적용할 것을 찾는다.
책에 줄을 그으면 안된다는 고정관념 버리기. 책은 아끼는게 아니고 내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제목이나 주제 외에 책을 쓴 작가와 키워드로 미리 내용을 파악해보고 본깨적을 하며 책을 읽는 것이 더 많은 것을 얻는 방법인걸 알았으니 같은 시간 책을 읽더라도 삶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방향의 독서를 해보자. 단순히 책을 다 읽었다는 페이지의 마침표보다 내용을 되짚어보고 액션 플랜을 한가지씩 꼭 남기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onebook #onemessage #oneaction #하루30분이면1년에독서30권
원 북,원 메시지, 원 액션 원칙을 세워 한가지라도 확실하게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삶을 변화 시키려면 지속성이 중요한데 과한 목표를 세우지 말고 한 책에서 하나의 메시지를 얻고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지 못해 책 읽을 시간 확보를 못한 것 뿐! 5분, 10분 총 하루 30분의 자투리 시간이 모이면 일년에 30권의 책을 읽을 수 있다.
투자공부도 독서도 1만시간의 법칙! 무엇이든 성과를 내려면 지속해야 한다.
독서를 하면서도 단하나를 찾자. 그리고 그것을 목적을정해 실행으로 옮기자.
말에서도 화장실에서도 침대에서도 책을 가까이 했다는데.. 나는 스마트폰만 조금 멀리하면 일년에 60권도 읽을 수 있는 시간이 될텐데.. 독서 또한 나의 그릇을 키우기 위한 영역이라면 힘들어도 나를 바꾸는게 반드시 필요하겠다.
1. 노란색 형광펜을 사서 밑줄을 긋고, 위아래로 본깨적을 적어가며 책을 읽자!
2. 필수도서 4권을 1124방법으로 재독해서 기억속에 각인 시키자.
3. 책 한권당 바로 실행 가능한 액션 플랜을 정하고 행동으로 옮기자
(102p) 진정한 나를 이해하는것도 알을 깨는 과정이다.
(212p) 목표를 적으면 현실이 된다.
(247p) 책과 함께라면 건너지 못할 웅덩이가 없다.
댓글
그래도 책 줄은 아직 맘 준비 안되어 있어서 ㅋㅋ 조장님 구매하신것 처럼 다이소 스티커로 잔 인덱스 스티커 사용하고 있었는데 음... 접는것도 싫은 취향을 갖고 있는 분들은 일부 동의하긴 어렵지만 알찬 책 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