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월급쟁이 부자들-열중반 2주차 '본깨적'독서
프롤로그.
죽어있는 책읽기->살아있는 책읽기
1. 독서 마인드 셋: 왜 책을 읽어야하는지(동기부여) =>2장
2. 본깨적 독서법: 자신의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책읽기 =>3장
3. 북바인더: 책을 통해 알게된 지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4강
1장. 책을 읽다, 삶이 바뀌다
2장. 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읽기다.
'본깨적' 책읽기: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본 것), 그것을 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여 깨닫고(깨달은 것), 내 삶에 적용하는(적용할 것) 책읽기.
책을 제대로 보려면 '저자'의 관점에서 보려고 노력해야한다. (저자가 책을 쓴 의더를 파악!!)
깨닫는 것은 철저히 '나'의 관점이여야 한다. 꺠달음은 다양한 모습으로 온다. 그리고 꺠달음은 변화의 시작이다.
적용은 깨달은 것을 현실로 만들어준다. 구체적일수록 실현 가능성이 높아진다.
골라읽기도 당당한 독서법!! 내가 필요한 내용만 골라서 읽어보자. 책읽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보자.
-책읽기 3단계
개관 독서법: 한번 죽 훑어보고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는 방법
분석 독서법: 책의 주제와 구조를 파악+이해 => 내 생각 보태기. (꼼꼼하게 읽기, 내용과 의미를 꼭꼭 씹어 소화하며 읽기)
종합 독서법: 하나의 주제로 여러권의 책을 비교하여 읽는 독서법. (개관+분석 독서법)
1124독서법: 1일, 1주, 2주, 4주 재독법->해마가 꼭 기억해야할 중요한 정보만 기억속에 각인한다. // 333재독법: 3일동안 3명에게 3분동안 책읽은거 얘기하기.
준비20, 읽기70, 마무리10
속독의 열쇠는 빨리 읽는 기술이 아니라 배경지식에 있다. 배경지식이 많이 쌓일수록 빠르게 읽게 된다. 그릭 속독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제대로' 읽는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항상 명심하자.
여러 분야의 책을 읽으면 사고를 확장하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좋아하는 책:새로운분야=7:3
변화하고싶다면 나를 둘러싼 단단한 껍질부터 꺠야한다. 줄탁동시
책을 통한 간접경험은 고정관념이나 습관을 깨는데 도움이 된다.
책을 통해 삶을 바꾸고 싶다면 임계점을 통과해야한다.(300권<=본깨적 독서법), '씨앗독서': 한장한장 넘길때마다 아쉬운 책
그 임계점은 삶의 경험과 변화에 대한 간절함에 의해 결정된다.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은 다르다. 지치지 않고 계속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행을 방해하는 원인을 정확히 알고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인식(원인)->변화(실행)
수평적 병렬독서: 다른 주제를 다룬 책을 여러권 함께 읽는 것-> 사고를 확대하고 유연하게 만든다.
수직적 병렬독서: 비슷한 주제를 다룬 책을 여러권 함께 읽는 것 -> 인생의 중요한 문제를 해결해야할때 이 방식을 쓰면 좋다! 최소한 10권 정도는 읽자.
3장. 실전! 본깨적 책읽기
-★책 읽기 전 꼭 해야할 질문!
#1. 이 책과 나의 연관성은(책의 흥미성, 직업 연관성, 생활 관련성/ 책의 고전성(오래 살아남을수 있는 책인가?), 작가의 전문성, 적용 가능성)? 보통 책표지, 목차, 프롤로그, 에필로그를 읽고 점수 매김, 5점 만점)
6~20: 무독, 21~24:발췌독, 25~27: 열독, 28~30: 심독
#2. 책의 예상 핵심 키워드 3개 뽑아보기? 본문 전체를 빠르게 훑어보고 5~10분 내 키워드를 10개 이상 뽑는다 -> 비슷한 내용은 '그룹핑' -> 최종 키워드 3개 뽑기. 키워드를 뽑을땐 '작가의 관점!!"에서 고르기
#3. 이 책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목적)? 내가 왜 이책을 선택했는지 적어보자.
-마무리5분 (after reading) p.155
#1. 삼색 index작업: 가장 중요한 내용 3개 추리기 (파랑-본 것/ 노랑- 깨달은 것/ 빨강-적용할 것)
#2. after reading 작성 후, before reading과 비교 (나에게 유용한 책인가?/ 책 읽고 난 후 keyword 3개+책에서 얻은것/ 향후 읽어볼 책 혹은 내용은?)
-본깨적노트 작성->북바인더 활용법
#1. 본 것 (저자 관점에서 쓰기)
초서, 초록 적송: 중요한 문장이나 좋은 글을 베껴써라 (+page와 함께)
핵심 요약 정리(키워드 중심)
#2. 깨닫고 적용하라
"나"의 관점에서 현재 혹은 과거, 미래의 상황에 공감하며 사유를 바탕으로 작성
다양한 생각을 공유해야 생각이 깊어진다(독서토론을 해라!!) => 생각 유연, 생각 울타리 넓어짐
긍정적인 변화는 전염성이 강하다.
-333본깨적 -> 변화하자! <TIME POWER>
저자의 핵심: 주제와 키워드 찾기(3개)
깊은 깨달음: '동기', '지식(깨달은 것)'
적용: 점진적으로 변하고, 현실에 적용해라
자신만의 '독서 네비게이션' 만들기-> 꾸준히 책을 읽다보면 읽고 싶은 책이 저절로 보임 => 책 속에서 책 찾기
ex. 각주, 참고문헌, 신뢰하는 저자의 또 다른 도서
오감을 동원하라! (++상상력)
'낭독' '필기' '상상력' '저자와 대화를 해보아라'
-문학책(인문학과 본깨적)
1. 저자의 생애 업적 알아보기(작가가 추구하는 삶의 가치나 생각이 녹아있다.)
2. 시대적 상황 파악하기
3. 소설의 플롯(구성) 파악하기: 어떤 인물들을 등장시켜, 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 구성하는 것 => 구조도 그리기
'역사책'을 읽는 이유: 역사를 통해 현재를 점검하고 올바른 미래를 만들 수 있기 때문 (현재와 미래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읽어보자!)
'철학책':필로(좋아하다)소피아(지혜)->꼭꼭 씹어가며 읽는다. 내 생각을 돌아보며 읽는다. 철학책은 자신의 생각을 다시 돌아보고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장. 북 바인더,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원 북, 원 메세지, 원 액션'
-바인더: 분명한 목표+시간계획세우고+실행 =>적극적인 시간 관리 시스템
-북 바인더=독서습관+지식 자서전 =>분류와 정리의 기능이 뛰어남. '본깨적 노트'+'아이디어 노트'
현실적이고 결과가 금방 나타나는 목표를 세우고 직접 종이에 적기.
ex. 일주일에 주4회 운동가기, 일주일에 책 한권 읽고 후기쓰기, 일주일에 임보 1개쓰기. 등등
(독서계획이) 구체적일수록 습관을 들이기 쉽다. => 월간 독서 계획 세우기. (나는 월 4권을 읽을것이다.)
구체적으로 시간계획 세우기. 예를들어 "새벽 5시부터 6시까지는 독서하는 시간"처럼 책읽을 시간을 구체적으로 정해놔야 습관들일수있다.
그리고 습관이 들때까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자.
-'원 북, 원 메세지, 원 액션'
삶을 변화시키려면 '지속성'이 중요하다. 하나씩만 꾸준히, 확실하게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삶은 충분히 변한다. (21일의 법칙)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해라.
-디지털 미디어 사용시간을 반만 줄여도 인생이 달라진다. => <디지털치매>
디지털 미디어를 많이 사용할수록 정보를 기억하고 학습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간을 체크하고 그 시간의 30~50%를 책을 보라.
에필로그. 책과 함께라면 건너지 못할 웅덩이가 없다.
현대인이 바쁘더라도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책이 우리의 삶을 더욱더 풍요롭게 만들고 좋은 방향으로 발전시킬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
뽀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