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 후 전세입자를 맞추는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부동산 공부를 진행하던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아직까지 실제 투자를 직접 진행해 본 경험이 없는지라..


기본적인 질문이 될 수 있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질문 1.


전세를 낀 매물을 매수할 경우 '매매-전세금=투자금'의 비용이 들어간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희망하는 가격대의 매물이 나왔으나, 전세입자 낀 매물이 아닌 경우


제가 매수 후 전세입자를 맞춰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매가가 3억, 주변 전세 시세 2.7억 일 경우,


우선 3억을 지불한 다음, 전세입자를 맞춰 2.7억을 회수하는게 통상적인 방법인가요??



질문 2.


만약 3억이 없는 상태라면, 이러한 물건은 어떠한 방법으로 투자가 진행되는 지 궁금합니다.




부족하지만 답변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댓글


김인턴user-level-chip
23. 09. 12. 12:01

질문1의 경우 매매 계약시 잔금 날짜를 협의하시고 난 뒤에 잔금일자 이전에 전세입자를 구하시게 되면 매매와 전세 차액만큼의 금액만 필요하게 됩니다. 질문2의 경우에는 종잣돈 + 주택담보대출 + 신용대출 등을 통해서 3억이라는 금액이 감당가능한지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하푸파suser-level-chip
23. 09. 12. 16:52

질문1. 보통 이 부분을 잔금을 다 친다고 말하는데 잔금을 다 치지 않고 통상적으로 3개월의 잔금기간을 두고서 전세 세입자를 구하고 구해진다면 전세에 남은 액만 지불하면 됩니다. 질문2. 마이너스통장, 주담대 등 모든 대출을 하더라도 3억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절대 매수하면 안됩니다. 그게 원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