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어떻게 분석하고 결정하는가
-강의에서 소개된 지역 각각의 특색들을 그대로 배우고 외우기 보다는
튜터님들이 지역을 어떻게 분석하는지, 어떤 우선순위로 투자 결정을 하는지 등
방법을 배우려고 해야한다.
-해당 지역에 단순히 인구가 많고/적고에 초점 두는것에서 나아가 왜 인구가 많은지를 파악해야 한다.
입지분석하며 찾은 자료들은 투자 결정 요소가 아니라, 지역에 대한 감을 잡는 요소일 뿐이다.
▶ 데이터를 볼 때 항상 '왜'를 스스로 묻고 그 지역 사람들의 선호도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수요를 끌어들일 수 있을지,
투자에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까지 생각하는 연습을 끊임없이 하겠습니다.
#선호도 포인트 찾기
-가치를 알면! 가격이 절로 튀어나온다!
▶임장할 때 가격 보지 않고 가치를 먼저 보겠습니다!
▶각 지역의 선호도 포인트를 손품+발품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나아가 동 전체를 묶어 선입견 가지지 않고 단지 대 단지로 생각하려는 노력을 해보겠습니다.
-투자는 지역 특성마다 개인의 상황마다 다르게 투자해야 한다.
▶역시 무조건은 없는 것! 다각도로 생각해본 뒤 내 투자 여건과도 맞춰보는 능력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 같습니다.
#논리보다 감성
-임장할 때 느낀점에서 끝나면 안된다. 느낀점들을 투자에 가져와야 한다.
▶ 임장 시 느낀점을 임보에 꼭 적어보겠습니다!
-데이터를 보고 해석만 하면,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내가 이 지역에 사는 30대 엄마라면, 내 아이라면?
나라면 어떻게 할까?라는 관점으로.
▶왜 사람들이 이 곳을 좋아하는지!! 내 입장에서 생각해도 정말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현장에 찾아가 물어보고 알아봐야겠습니다.
결국 제대로 투자하려면 역지사지까지도 넘어서 이해와 공감을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세트래킹의 중요성
-전세가격은 항상 높은 것도/낮은 것도 아니고 변하기 때문에 계속 추적관찰 해야한다.
-가격이 싸다면, 전세가율이 낮아도 시세트래킹에 넣어 놓고 한 달에 한 번씩 체크하면
기회가 있을 수 있다.
▶앞마당 시세트래킹 자료 꼭 만들고 3월부터 한 달에 한 번씩 꾸준히 체크 하겠습니다!
#비교평가 보다 가치 먼저
-지금은 비교평가하는 단계가 아니라 가치를 알아가는 단계이다.
그러니 비교평가 안된다고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말기.
지금 이 단지가 방금 본 단지보다 좋은가/안 좋은가 만 보면서
계속 가치를 판단하고 쌓아나가면 된다.
-좋은 단지가 있어도 그보다 더 가치 좋은 단지가 있는지 계속 탐구하는 자세를 잊지 말기를.
▶가격, 비교평가 보다 지역의 특성과 그에 따른 개별 단지의 가치를 먼저 봐야겠습니다!
▶앞마당을 늘리며 더 좋은 가치 있는 단지를 끊임없이 캐내겠습니다! 케토톱!(ㅈㅅ)
#'잘'보다 '오래'
-투자는 점이 아니라 선. 즉, 투자라는 단어 자체는 '명사'이지만 그 성질은 동사와 같은 '과정'이다.
투자를 잘하려고 하지 말고, 오래하려고 해야한다.
어느 시점에 점을 찍든 과정이 더 중요하므로 주변도 챙기면서
선택의 순간마다 투자를 오래할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하기를.
▶투자 공부를 하며 조급한 마음이 들 때 권유디 튜터님의 말을 되새겨
그때의 선택이 주변을 소홀히 하면서까지 아둥바둥 잘하려고만 하는 건지,
투자 생활을 지속하기 위한 것인지를 스스로 묻고
오래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겠습니다.
그렇게 과정마저 재미롭고 행복함을 느끼는 투자 생활을 지향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