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기 우ㄹ1 1단 앞마당 8리 만들어 등기치조 24부] 왜 아직 지방투자 안해요?

23.08.08



제목을_입력해주세요_-001.png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안녕하세요, 24시간이 부족한 투자자 24부입니다.

실준에 이어 지기를 시작했는데요.


실준강의를 들을 때 가볍게 맛보기로 간만 본 지방공부를

지기에서 찐~~~하게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지난 5월 이미 수강했었던 강의였지만

그땐 그 지역들이 제 앞마당이 아니었거든요, 심지어 지기를 들으면서 수도권을 임장하고 있었습니다.


이후 그 지역을 앞마당으로 만들었는데요.

역시 앞마당을 만들고 다시 들은 강의는 .... 새로웠습니다.


모르고 듣는것과 알고 듣는 것

제가 가져오는 것들이 훨씬 많구나!!!! 다시한번 느꼈습니다.


처음들으시는 분들!!

제발 광역시 앞마당 만드시고 다시들어보세요!

진짜 더 찐~~하게 친해지는 기분이에요 ㅎㅎ



그럼 이 새로운 느낌을 잊기전에

힐위고~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지방투자는 '개별성'이 중요하다

출처 입력

앞마당을 만들면서 가장 힘들었던건, 지방과 수도권의 차이였습니다.


수도권에 살고있기에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준들, 월부에서 멘토,튜터님들께서 알려주신 수도권 최적화 기준을

지방에 들이밀었을때 혼란이 가중되더라구요.


어느정도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를 이해하고 넘어오니

이젠 각 지역별로 너무나도 다른 모습과 사이클, 흐름을 보이고 있어서 2차 멘붕..


천안이랑 세종, 대전은 어떻게 비교해야하지?

천안도 지하철이 있고 대전도 있는데? 그럼 교통?

아님 광역시들끼리는 비슷해야하는 거 아니야? 왜 가격이 천차만별이야!?

헝.. 그럼 도대체 지방은 어떻게 봐야하는거지?

다 똑같은게 아니었어?

다 같은 사람들인데 왜 다 다른걸 좋아하지?ㅠㅠ

아 ,,, 어렵다,,,


이 고민에 대한 답을 아주 시원하게 내려주신 제주바다 멘토님

같은 듯 다른 이유가 지방은 각 지역별로 각각의 특색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사람들도 각각의 개성이 있듯

지역들도 각각의 성격들이 있었습니다.


대전은 연구단지가 특화되어있고, 부산은 제2의 수도권이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인구와 수요.. 등등

같은 광역시들도 다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고

그래서 사는 사람들의 직장, 소득, 선호요소들도 모두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게 됐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이클도 다를 수 밖에 없었는데요.

지방은 전체적으로 비슷하게 수도권과 반대로 오르내리지만

그 안에서도 조금씩 지역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걸 투자에도 적용해서 각 지역별로 다른 선호 요소들이 있구나,

그럼 여긴 이런 것들에 중점을 맞춰서 투자해야겠네? 이런 부분들을 명확하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멘토님 감사합니다.




광역시는 입지+연식이다.

출처 입력

지난달 중소도시에 다녀오면서 가장 많이 느낀 것은

아 역시 중소도시는 신축을 제일 좋아하나봐 였습니다.


입지가 가장 좋았던 곳에 준신축이 있었고 그 단지가 랜드마크 였습니다.

그러다보니 아 중소도시도 입지를 봐야하는 건가?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계속 살펴보다보니 또 그것도 아닌 것 같고...


멘붕 넘어 멘붕이었습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심지어 저에게 지방앞마당이 많지 않아서 광역시와 중소도시를 같은 지방이라고 섞어서 비교를 했었거든요.

하지만 절대 놉 ㅠㅠㅠㅠㅠ

아직 경험이 별로 없는 저같은 부린이들은 더 헷갈릴 수 있겠더라구요.


광역시도 중소도시처럼 신축만 보면 될까?

정답은 노! 였습니다.


수도권은 아무래도 구축이 많다보니 입지가 짱이었다면

지방은 계속해서 신축이 올라오고 있다보니 연식을 무시할 수 없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식이 노후화되면 가치가 떨어지고!

하지만 수요 인구가 많은 광역시에서는 무조건 신축이 아니었습니다.


입지가 갖는 힘도 있기 때문에

입지 분석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까 말씀해주신 개별성처럼

각각의 지역에서 주민들이 선호하는 요소들이 뭔지, 입지가 좋아서인지, 신축이라 좋은것인지를

앞마당 뽀개기 할 때 부사님들께 잘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BM]

- 임보 : 지역별 특징(선호요소)를 잘 구분해서 기록해두기

- 투자 포트폴리오에 광역시와 중소도시 넣어가며 투자하기

- 공급 디테일하게 확인해서 투자하기!!(RISK)

- 광역시 입지 기준+투자기준 명확하게

- 각 권역별로 묶어서 표 살펴보기(비슷한 아이들 찾을 수 있음)

- 공급 : 매-전 지수 살펴보고 그 시기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찾고 결론 내기

- 공급 : 좋은 위치(입지)에 들어오는 단지들 더 눈여겨보기

- 재개발, 재건축도 허투루 보지 않기(기회가 될 수 있다) > 임장때 꼭 가보기

- 트래킹은 생명! 트래킹하면서 투자 기회 만들기

- 전세 갯수 트래킹하기!(없어지면 기회다!)




"시장을 쫓아다니지 말고 투자를 이해는 투자자가 되자"


제주바다 멘토





댓글


리치레이첼
23. 08. 08. 09:12

고생하셨습니다. 재개발, 재건축 많이 중요하다는걸 저도 느낍니다. bm하겠습니다.

다온다
23. 08. 08. 10:01

조장님 bm 대박!! 진짜 지역마다가 가지는 개별성 때문에 많이 봐야 하는 거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