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나부야입니다.
월부학교 마지막강의는
자모멘토님의 Q&A 시간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1.현재 시장에 대한 이해도 향상
2.투자에 대한 이해도 향상
3.투자 의사 결정기준 가져가기
현재 시장
강의를 들으면서 서울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너무 적었고
매매가 기준이 아니라 서울도 투자금 기준으로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가치성장투자의 기준을 잡아주셔서
전고점을 어느정도로 보고
어떻게 가치성장투자 물건을 골라나가는지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기존에는 수도권 비교평가때
매매가 9억으로 끊고 단지를 봤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까지 안좋은단지들에서만 뽑고
정작 선호도가 높아 매매가가 높았던 단지들을
뽑을 수 있었음에도
같은투자금으로 하위생활권만 보고 있었던 오류를
이번에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현재 시장은 하락장이기 때문에
레벨을 한단계 높여서 봐야하고
특히 서울은 절대가의 뚜껑을 열고
10억이상의 좋은곳도 봐야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지금 시장에서는 투자금이 조금 더들더라도
사람들이 더 좋아하는 것을 하는게 우선순위라는 것,
무조건 싼게 아닌 절대가 레벨을 올려 진짜 좋아하는 단지를
싸게 하는것이 서울 투자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이외에도 경기도, 인천 , 광역시, 중소도시에 대한 현재 시장의 가격과
공급수준을 말씀해주시면서
지역마다 방향을 잡아 나갈 수 있었고
그래프를 가로로 보는게 어떤 의미인건지,
어떻게 가격의 감을 잡아나가야 하는지 알수 있어
다음 임보에 녹여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투자는?
수도권 투자의 기준은
언제오를지 알 수 없지만,
가치있는 자산을 사고 보유하는 관점에서 접근해야한다는 것.
2억이상 있으면 서울투자가 가능하고
가치성장 투자가 가능하다는 것을
짚어주시면서
여러번 말씀해주셨지만
서울의 절대가 천장을 열고 봐야한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추가로 시세트래킹 할때 좀 더 가치가 있는 것을
앞에 몰아두고
그 안에서 전고점과 투자금, 연식, 선호도 기준으로
어떤 단지부터 투자 해야할지
투자 우선 순위를 정리해야 한다는 꿀팁도 알려주셨습니다.
생각해보니 제가 하고 있던 시세트래킹에서는
이런 방법을 쓰고 있지 않아
가치가 섞여 시세를 먼저 따고
그 안에서 다시 추리는 과정을 더 거쳤는데
시세를 보라는게 이런 말씀이셨구나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Q&A 질문을 보면서 느낀점은
저와 반원분들도 3개월간 튜터님께
고민 상담했던 부분이었던 거 같은데
같은 금액이면 서울 VS 광역시,
쪼개서 2채 VS 합쳐서 1채
Q&A 대부분이 비슷한 질문들이라
지금시기에 많이들 이 고민을 하시는구나 느낄 수 있었고
단지 대 단지로 비교하면서
답을 얻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투자를 해나감에 있어,
어떤 단지를 얼마의 투자금으로 사는지?
지금 하는 투자가 최선인지?
할 수 있는 것 중에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데인지?
지금 이 단지가 가치대비 싼지를 분명히 보는게 중요하며
매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익이 날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투자임을
이번 강의를 통해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어
좋았습니다.
긴 시간 명쾌한 가이드 주시며
강의해주신 자모멘토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