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안녕하세요.
배움으로 성장하는 프로러너(learner)입니다.
대망의 마지막주차 강의는 '제주바다'님의 동부권역 강의입니다.
성동구를 앞마당으로 한달을 보낸 저에게 정리하는 의미가 굉장히 큰 강의였습니다.
간단하게 3가지로 정리하고 벤치마킹할 부분으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동부권은 서울에서 강북의 2급지와 3급지가 많이 포함된 곳입니다.
성동, 동대문, 광진, 성북 등
제주바다님께서는 동부권의 위치와 서울에서의 위상, 특징 그리고 현재모습 순으로 정리해주셨습니다.
서울이 멀게만 느껴지고 위치 등이 감이 오지 않았던 저에게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동부권은 주요직장이 강남보다적기 때문에 역과의 접근성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역들도 직장과 연결된 주요역이 좋겠지요.
그래서 언덕이 많지만 성동구가 2급지로 분류되는 것이고
상대적으로 동대문과 성북구가 후순위 급지가 되는 것입니다.
동부권의 인구와 소득을 서울 전체와 비교해주셨습니다.
서울 전체 평균대비 인구와 소득을 비교한 강의는
현재 동부권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봐야할지 생각하게 해주었습니다.
동부권의 경우 대부분 주소지가 원천징수지보다 소득이 높은데,
거주민들이 다른 곳에서 돈을 벌어오는 베드타운의 성격을 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 임장을 하는 듯한, 앞마당을 보는 듯한 분석을 해주십니다.
지도를 펼쳐놓고 입지를 분석합니다.
각 구들의 입지요소들을 정리하고,
각 구에서 투자자가 집중해야할 요소의 순위를 매기고,
실제 단지의 가격을 보고 어떤선택을 해야할로 마무리 됩니다.
가격대는 제가 지금 접근하기에 어려운 가격대지만
'서울'이라는 지역의 가치를 생각하고 그안에서 디테일하게 선택하는 법은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강의 교재만 다시 읽어도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러너의 벤치마킹
①서울 기업들의 위치, 부동산 지인을 통해 검색 후 임보에 정리하기
②서울 원천징수지와 주소지 비율을 지도에 올린 후 임보에 정리하기
3월의 서기반 한달과정을 마무리합니다.
지역분석-분임-단임-매임의 과정을 거치면서 조금은 서울에 대해 알게되었던 좋은 기회였습니다.
새벽기차를 타고 거의 막차를 타고 집에 돌아와서 힘든 주말을 보냈지만,
제 삶에 있어서 조금은 시야를 넓히고 크게 볼 수있는 좋은 한달이었습니다.
다음달은 시세트레킹과 함께 이때가지 했던 앞마당들을 정리하고,
본격적인 매임을 해볼예정입니다.
전 올해 11월 전에 무조건 투자할거니까요!
감사합니다.
댓글
러너님 3월 알차게 보내고 계시네요 저는 옆동네 광진구입니다!ㅋㅋㅋ같이 열씨미 하고 있다고 생각하니까 기분이 좋네요 4월달도 아자아자 화이팅입니다 항상 응원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