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나위] '1월 달에 집을 샀어야 했는데...' 허탈하신 분들께
안녕하세요. 너나위입니다. 지난 주에 나온 이 기사를 보고 많은 분들이 놀라지 않으셨을까 했습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 주간 상승률 0.2%(21년 9월 전고점 형성 시점 이후 3년 만에 최대폭, 15주 연속 상승) . 매매수급지수 100 돌파(21년 11월 전고점 형성 시점 이후 3년 만에 처음 100돌파, 매도자 우위 시장 전환)

내집마련 중급반 한 달 조모임 후기 [내중8기 82같2멀2 바다고래]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향해 헤엄쳐 가는 바다고래입니다. 개인적인 일로 지난 3,4월을 쉬고 5월 내집마련 중급반을 들으며 월부를 다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오랜만의 활동이라 기대반 걱정반이었는데 감사하게도 조장의 역할이 주어져서 조원분들과 더 적극적으로 소통할 기회가 있었던 것 같아요:) 저의 이번달 원씽은 조원분들 내집마련 단지 후보리스트 TOP5를
[등어] 라즈베리튜터님과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었던 투자코칭 후기
안녕하세요 등어입니다 1년이 넘어서 앞으로의 방향성이 궁금하여 거인의 어깨를 빌려 명확한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서 투자코칭을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투자코칭 신청서를 적는것부터가 코칭의 시작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번에도 발가벗는 느낌으로 신청서를 채웠던 것 같습니다 라즈베리튜터님은 작년 조장모임의 줌코칭에서 뵜던적이 있어서 코칭장소에 도착하자마자 알아보았던 것


[공지] 월부 독서모임 서포터즈 모집 공지 <마감기한 : 5/26(수)>
월부에서는 2015년 3월 독서스터디 1기를 시작으로 약 9년간 매 달 독서모임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만남이 어려운 시기에도 온라인 독서모임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더 많은 분들과 좋은 책을 나누며, 삶을 바꾸는 경험을 만들어왔습니다. 내집마련과 노후준비가 어려운 분들을 진심으로 걱정하고 그분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드리기위해 진정성있고 실효


임장을 가면 임보가 밀리고, 임보를 쓰면 임장이 밀린다? 우선순위 대체 어떻게 할지 모른다면
안녕하세요 금요일의 센쓰입니다 :) 벚꽃이 만개하는 시기가 왔네요 저는 이 시즌이 날씨도 좋고 무엇보다 임장하기 너무 좋은 시즌인것 같아요 그런데 이 좋은 날씨에 임장을 가자니 임보가 눈에 밟히고,, 임보를 쓰자니 임장도 가야할 것 같은데 어느것부터 해 나갈지 고민되시진 않으신가요? 저도 처음에는 우선순위를 잘 세우진 못했던것 같습니다 임장을 매일 가겠다


내 소중한 종잣돈으로 수도권 vs 지방 투자가 헷갈릴 때 보는 딱 1가지 기준
안녕하세요. 새벽보기입니다. 요즘 투자지역을 선정하는 것이 참 어렵게 느껴지실건데요. 수도권이 비쌀 땐 지방이 싸니 지방 가자했다가 수도권이 많이 하락하자, 그럼 역시 수도권인가? 싶다가도 수도권은 투자금이 많이 드니 그래도 지방일까? 지금 돈 다 털어서 서울? 대체 이걸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할지 많은 분들이 깊은 고민하시는 것으로 압니다. 이 글을 읽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법안 통과? 영향 단지 입지분석(+올림픽파크포레온, 강동헤리티지자이,e편한세상고덕어반브릿지)
[강동구 부동산]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법안 통과? 영향 단지 입지분석 (+올림픽파크포레온, 강동헤리티지자이,e편한세상고덕어반브릿지) [작성일 : 2024. 02. 23] 안녕하세요. 돈사냥입니다. 총선 50일을 앞두고,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개정안이 국토위법안 소위를 통과했습니다. 실거주 의무가 시작되는 시점을 지금의 '최초 입주 가능일'에서 '

평생 경기도 외곽을 못 벗어날거라 생각했습니다(새벽보기튜터님 내집마련 특강후기)[돈사냥]
안녕하세요. 돈사냥입니다. 오늘 새벽보기튜터님의 내집마련 특강을 듣고 왔는데요. 사실 새벽보기튜터님이 하시는 강의니까 얼마나 좋을까, 심지어 오프라인 강의를 들은 적이 없어서 튜터님 얼굴만 봐도 좋겠다아아아 라는 생각이었어요. 저는 당장 내집마련의 계획이 있지는 않지만 부동산이든 자본주의든 '돈'이라면 의식적으로 피하는 가족들에게 추천할 초급자용 강의를 찾


빚내서 아파트 산 저같은 1주택자는 지금 뭐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자음과모음입니다. 요새 많은 분들이 이런 고민을 합니다. 1. 내가 산 아파트….너무 많이 떨어져서 팔려고 내놔도 팔리지도 않는데..계속 가지고 가야 하나? (보유) 2. 내가 가지고 있는 아파트를 팔아서 더 좋은 데로 갈아탈 수는 없을까? (매도) #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매도&매수 타이밍 21년 상승장을 거쳐 22년 하반기~23년 초, 급격한


부자대디의 700만원으로 1억 수익 1호기 지방투자 경험담
안녕하세요 부자대디입니다^^ 월부 가족분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늘은 제 1호기 투자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1년이 다되어가는 시점에 다른 동료들은 다 투자할 때 투자를 못해서 혼자 힘겨워할 때 좋은지는 잘 모르겠지만 가격은 싼 것 같다는 생각 하나로 크리스마스에 집을 보고 첫 투자로 까지 연결되었던 제1호기 이야기입니다. 저는 1호기를 지방에서

내가 해낼 수 있을까 걱정된다면 꼭 읽어보세요.
안녕하세요. 수요일은 써니데이~~~~~ 칼럼 읽고 부로 한걸음 다가가는 즐거운 수요일이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한계를 넘는다는 것의 숨겨진 의미에 대해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성장하고 부자가 되려면 한계를 넘는 경험이 꼭 필요하다고 하는데 왜 한계를 넘는 것이 필요하고 그 속에는 어떤 의미가 숨겨져 있는지 제 경험에 비추어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ㅣ


[망구] 5년간 힘겹게 모은 돈으로 첫 투자를 준비 중이신 00님께 드리는 답장
안녕하세요 00님 망구입니다. 수줍게 건네주신 편지를 코칭을 마치고 아주 천천히 읽어보았습니다. 그리고 꼭 답장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 글로 답장을 대신하려고 해요. 00님의 모습은 막 투자공부를 시작해 오직 저축만으로 꾸덕꾸덕하게 모은 종잣돈을 손에 쥐고 첫 투자물건을 찾던 5년전 저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았습니다. 투자자로 목표에 다가갈 수 있다는

'지금 시기에 집사면 바보다...' 20억 자산가의 소신 발언
“나락이다… 거품 아직 덜 빠졌다… 지금 시기에 집 사면 바보다.” 그가 내민 핸드폰 화면 보이는 어느 뉴스 기사 아래에는 부정적인 댓글이 빼곡하다. [ 요즘 댓글 보면 제일 많이 보이는 게 이런 말들이에요. ] “근데요, 전 내집마련을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저도 남들이 말릴 때 집 샀는데 후회 안 해요.” 자신감 가득한 조언을 던지는 이 사람. 그는 바


[게리롱] 정말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요? (부동산으로 부자가 되는 원리)
안녕하세요. 게리롱입니다. 지방투자기초반 강의를 마치고, 강의후기를 정말 전부 다~ 읽었습니다. 정~~말 부지런히 읽었는데, 새로고침하면 어느새 또 열 개 이상 새로운 후기가 올라와 있고 ㅎㅎ 속도를 따라가기에 조금 벅차기도(?) 했지만 수강생분들이 제게 써주신 편지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그리고 한 개도 빼놓지 않고 다 읽었습니다. 그렇게 강의후기들을 하나

'아이에게 짐이 되기 싫었어요...' 월급쟁이의 결심
“제 목표요? 50억이요. 나중에 내 아이한테 기대고 싶지 않아서요.” 만날 수 밖에 없는 매력의 반짝이는 제주바다님 “그런데 첫 투자 때 대전 모 오피스텔로 3천만 원이나 잃었지 뭐예요.” 투자로 산 오피스텔로 3천만 원이나 손실을 봤다. 주식도 해봤다 싹 다 잃었고, 아이를 낳고 경력 단절. 어떻게든 재취업, 워킹맘, 너무 힘들어 회사를 때려치우고 월급


[독서모임 현장스케치] 인생을 바꾸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
(feat. 독서멘토, 리더는 독서모임을 어떻게 준비할까?) 월부 독서모임이 그렇게나 좋다고 하는데, 도대체 뭐가 그리 좋은건지 많이 궁금해하세요. 11/1 수요일에 진행된 따끈따끈한 11월 부자의 그릇 독서모임 이야기를 통해 현장분위기를 전해드리려고 해요. ------- 독서모임 당일 PM 10:40 오후 7시반 30분에 시작한 독서모임이 10시 30분이

실전준비방 4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47기 55조 블루열정]
안녕하세요 오래가고 싶은 투자자 블루열정입니다:) 4주차동안 계속 근무를 해서 실준반에 집중을 못한 것 같아 많이 아쉽습니다 ㅜㅜ 그래도 최선을 다해 한번 후기를 써볼게요! ■ 현재 상황(나&부동산) 너나위님께서 나의 상태와 부동산 시장의 상태, 그리고 투자와 실거주 중 어떤걸 해야할지에 대해 순서대로 강의해주셨습니다. [모른다→안다→아는대로한다→반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