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돈의속성/ 김승호
저자 및 출판사 : 스노우폭스북스
읽은 날짜 : 2024-05-05 ~ 2024-05-06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가격 #대응 #나
p.23 자산이 생기면 내가 하는 일은 두 가지다. 내 회사를 더 키우는 데 사용하거나 또 다른 자산을 만들 만한 곳에 보낸다.
-> 주변 사람들을 보면 비트코인이나 주식으로 수익을 낸 경우, 추가 자산을 만들 만한 곳에 보내는 것이 아니라 충동적인 소비를 한다. 비전보드의 목표 자산을 이루기 위해서 우리는 시스템 투자를 하는데, 이것도 또 다른 자산을 만들 만한 곳에 보내는 방식과 일맥상통하다.
p.24 필요한 건 그 회사의 배당 정책과 배당 비율 그리고 적정 가격대를 찾는 일뿐이다.
-> 투자의 본질은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투자에서 중요한 것은 가치대비 적정 가격대 혹은 싼 가격의 수준이 어딘지를 아는 것이다. 그것이 곧 실력이다.
p.29 이 347원을 '겨우'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무려' 347원이라고 생각하는 차이가 투자의 차이를 만들고 부의 차이를 만들며 삶의 차이를 만든다.
-> 복리의 개념을 채무 이자에 적용한다면 아주 무섭다. 복리의 힘은 크다. 작은 돈이라도 소중하게 대하는 마음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복리의 개념을 이해하고 내 편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p.35 규칙적인 수입의 가장 큰 장점은 미래 예측이 가능해진다는 점이다. 미래 예측이 가능하다는 말은 금융자산의 가장 큰 적인 리스크를 제어할 수 있다는 뜻이다.
-> 돈을 더 버는것 보다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점은 리스크를 대비하는 것이다. 이 리스크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규칙적인 수입에서 나온다. 회사 감사합니다.
p.38 10억 원은 300만 원을 받는 급여 생활자가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도 27년이 걸리는 금액이다.
-> 반대로 얘기하면 10억은 한 달에 300만원씩 27년을 쓸 수 있는 어마어마한 금액이다. 비전보드 목표 자산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 10억 달성을 지나가야 한다.
p.41 사실 리스크가 크다고 알려진 것 자체가 리스크를 줄여놓은 상태라는 걸 알아차리는 사람이 별로 없다.
-> 역전세 기사가 많이 났을 때, 처음으로 부동산 투자는 굉장히 큰 리스크를 짊어지는 일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이것은 투자자라면 누구나 겪는 일이고 경험할 수록 부채비율을 낮춰 리스크를 줄이는 상태라는 걸 최근 들어 알게 되었다.
p.50 버는 것은 기회와 운이 도와주기도 하지만 지키는 건 공부와 경험과 지식이 없이는 결코 얻을 수 없는 가치다.
-> 운이 좋게 로또 1등에 당첨된 사람이 단기간에 망할 확률이 높은 것이 이 사례다.
p.53 빨리 부자가 되는 유일한 방법은 빨리 부자가 되지 않으려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부자가 되기에 가장 좋은 나이는 50세 이후다. 젊음 시절에 부자가 되면 부를 다루는 기술이 부족하고, 투자로 얻는 이익이나 사업으로 얻는 이익이 더 눈에 보여서 모으고 유지하는 능력이 가진 재산에 비해 약해진다.
-> 이 책에서 자주 나오는 말이다. 부자가 되고 싶어서 이 책을 선택했는데 빨리 부자가 되지 않으려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니 역설적이었다. 빨리 부자가 되려는 마음도 결국 조급함, 남과 나와의 비교에서 오는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p.78 예측에 따라 투자하는 것보다 위험한 것은 없다. 예측이 틀리는 순간, 모든 것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투자는 예측이 아니라 언제나 대응인 것이다.
-> 투자는 예측이 아니라 언제나 대응. 오를 것 같아서 사는게 아니라 투자 후 시나리오를 생각해두고 그에 따라 기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p.94 소득이 늘어난 만큼 소비도 더 많아지고 미래 소득, 즉 카드를 여전히 사용한다. 이건 수입 규모가 아니라 생활 태도의 문제다.
-> 연봉이 오르거나 성과급과 같은 추가소득이 발생할 때에도 지키고 있는 것이 한가지 있었다. 일 년, 그리고 매 월 똑같은 소비를 하는 것. 최근들어 잘 안지켜지고 있다. 다시 점검해야겠다.
p.133 재산은 '자본 X 투자이익률 X 기간'의 합계다. 즉, 얼마의 돈으로 얼마의 이익률로 얼마나 오랫동안 돈을 모아왔느냐에 달려있다.
-> 내 의지로 할 수 있는 것은 기간이다. 꾸준히 시장에 오래 살아남아 기간을 늘리는 것이 비법이다.
p.204 투자도 공부고 경험이다. 부자가 되고 자본을 모으는 기술은 결국 공부와 경험에서 나온다. 그리고 이 모두를 혼자 스스로 해내야 한다. 남의 의견을 듣고 투자에 성공한 사람은 남의 의견을 듣고 망할 수밖에 없다.
-> 실력을 쌓고 실전 경험을 통해 결국에는 독립된 투자자가 되어야 한다. 의사결정과 그에 따른 책임은 온전히 나 스스로 해야하는 것이다.
댓글
불 뿜는 튜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