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머릿돌이 될 버린돌 입니다.
월부학교 3강은 줴러미 튜터님이
수도권 선호도를 파악하는 임장법에 대해
다양한 예시들로 설명해주셨는데요.
진작 알았으면 더 좋았겠다
생각이 들 정도로 굉장히 명확했습니다.
<목차>
1. 임장하는 투자자의 선호도 판단법
2. 핵심 거주 요소로 판단하는 단지 가치
3. 가치 판단할 때 주의해야 할 것
흔히 선호도 파악이 어려운 이유는
하나의 공식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수도권은 역세권이 최고이지 않나요?
상급지 아파트가 무조건 더 좋지 않나요?
이에 줴러미 튜터님께서는
분위기임장 > 단지임장 > 매물임장 순으로
어떻게 선호도를 파악하시는지 말씀해주셨습니다.

위와 같은 단절감을 주는 요소로
흔히 생활권이 나뉘고는 합니다.
이처럼 어느 지역을 가든 선호요소와
비선호 요소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군에 대한 편견을
가지지 않는 것입니다.

수도권은 특히나 구축이 많기 때문에
꼼꼼히 하지 않으면 차이를 느낄 수 없습니다.
체크리스트를 하면서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디테일한 요소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로, 단지임장이 끝났다면
1차선호도가 나올 수 있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매물임장을 하면서
실제로 분임+단임으로 파악했던 선호도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거칩니다.
이때는 가격과 함께 더불어 보면서
궁금증을 해결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궁금증을 가지고 시작하다보면
해당 지역이 가지고 있는 뾰족한 입지 가치
(=학군, 초등학교, 연식, 균질성 등)이 있습니다.
튜터님은 지역이 가진 핵심요소를 찾고
해당 단지가 그 핵심 거주요소를 가졌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해주셨습니다.
그걸 토대로 다른 단지와
비교평가 단계로 넘어가면 됩니다.
비교평가 > 가격 확인 > 검증
3가지 단계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도
명심하겠습니다.
비교평가가 왜 어려울까요?
가치 판단이 제대로 안돼서 그렇습니다.
이 어려운 가치 판단을 할 때
눈을 가리는 가장 큰 2가지가 있는데요.
바로 1) 군에 대한 편견, 2) 단편적 비교 입니다.
![]()
2군이 4군보다 무조건 좋다.
상급지 59가 하급지 84보다 좋다.
이런 단편적인 생각 흐름으로
가치 판단에 프레임이 씌워지다 보니
자꾸 비교평가에 오류가 생기게 됩니다.
늘 강조하지만 개별 단지가 가진
가치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도 깨달았습니다.
다양한 예시로 생각 흐름을 짚어주시니
저의 생각과도 맞춰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4년차가 되면서 본질이 가장
중요하다고 느끼는 요즘입니다.
자꾸만 데이터적인 분석과 단편적 해석으로
오히려 단지 가치를 놓치게 될 때가 종종 있습니다.
이에 대한 환기를 해주시고
생각을 하나씩 짚어주신 줴러미 튜터님
양질의 강의 감사드립니다 ♥
강의도 너무 재밌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