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의 개요
1. 제목 :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 게리 캘러, 제이 파파산 /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 24.05.16.~24.05.
4. 총점 : 10/10
본 것 / 깨달은 것 / 적용할 점
"두 마리 토끼를 쫓으면 두 마리 다 잡지 못하고 말 것이다."
가장 인상 깊은 문장
첫 번째 도미도 조각을 찾은 다음, 그것이 넘어질 때까지 있는 힘껏 내리친다.
= 나에게는 있는 힘껏 내리친다가 더 중요한 포인트 인 것 같다.
놓치고 싶지 않은 문장
단순히 최선을 다하는게 아니라 이룰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들은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정해 두고, 독하게 그것을 지킨다.
결국에 "다르게 살았으면 어땠을까" 대신 "이렇게 살아서 기쁘다"라고 말하게 살아야 한다.
p. 18
'파고든다는 것'은 곧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일을 무시하고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에만 집중하는 것을 뜻한다. 또한 모든 일의 중요성이 똑같지 않음을 인식하고, 가장 중요한 일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이 '하는' 일과 자신이 '원하는' 일을 연결 짓는 아주 단호한 방식이기도 하다.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focus)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 모든 일이 중요한 것 처럼 느껴지겠지만 그런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고 정말 중요한 일에만 집중해야 한다.
p. 26
매일 우선순위를 새로 정하고 첫 번째 도미노 조각을 찾은 다음, 그것이 넘어질 때까지 있는 힘껏 내리친다. 훌륭한 성공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선형으로 시작된 것이 기하급수적으로 변한다.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그다음에 또 한 가지 올바른 결정을 내린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것들이 쌓이다 보면 성공의 잠재력이 봇물 터지듯 발산된다.
= 있는 힘껏 내리친다.가 나에게는 더 중요한 포인트 인 것 같다.
p. 38
우리가 잘못된 길에 빠지는 건 무언가를 몰라서가 아니라 안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 마크 트웨인
p. 46
바쁘게 움직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개미들도 늘 바쁘지 않은가. 정말 중요한 것은 무엇 때문에 바삐 움직이는가이다.
- 헨리 데이브드 소로
p. 96
최고의 성과를 얻고 싶다면 의지력이 떨어지기 전에, 당신의 가장 중요한 일, 그 한 가지 일을 일찍 해치워라. 의지력과 싸우지 마라. 의지력의 작동 방식에 맞춰 하루 일과와 인생을 설계하라. 의지력을 늘 꺼내 쓸 수는 없을지 몰라도 가장 중요한 일에 가장 먼저 사용할 수는 있을 것이다.
= 의지력을 단순히 꺼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게 아니라 의지력이 무한하지 않음을 인정하고, 알고 하루 일과와 인생을 의지력의 작동 방식에 맞춰서 설계해야 한다는 사실이 신선했다. 하루 중에서 내 의지력이 가장 강한 시간은 언제일지 생각해본다.
p. 98
효율이란 일을 제대로 하는 것이고 효과란 올바른 일을 하는 것이다.
- 피터 드러커
p. 99
균형잡힌 삶이란 거짓말이다. 목적의식, 삶의 의미, 중요성, 이런 것들이야말로 성공적인 삶을 만드는 요소다. 그것들을 추구하다 보면 당연히 불균형한 삶을 살게 될 가능성이 높다.
p. 103
그러나 중도적인 삶을 살 때는 어떤 일에든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가 힘들어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모든 일에 관심을 솓으려 하다 보면 그 모든 일에 대한 노력이 부족해지고, 제대로 완수되는 일이 하나도 없게 된다.
(중략)
언제 중도를 택하고 언제 극단을 달려야 할지 아는 것이 본질적으로 지혜로운 삶을 사는 방식이다. 탁월한 성과는 바로 이와 같은 시간과의 타협을 통해 이루어진다.
균형을 추구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기적이 결코 중간 지점에서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기적은 바로 극단에서 일어난다.
= 성공하려면 나를 한계까지 몰아붙여 나의 한계점을 더 넓혀야 한다.
p. 106
다섯 살 아이의 생일을 축하해 주는 것과 고등학교 친구들을 둔 십 대 자녀와 식사하는 것이 정말 같을까? 어린 자녀의 축구 경기에 응원하러 가는 것이 다 자란 성인 자녀의 축구 경기를 관람하는 것과 같을까?
(중략)
그동안 잃어버린 것에 대해 후회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가?
= 극단에는 반드시 그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다시 알려주고, 내가 정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p. 111
남다른 성과를 만들려면 우선순위를 세워야 한다. 우선순위에 따라 행동하면 자동적으로 균형에서 벗어나 어느 하나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 즉, 균형을 깨뜨려야만 한다.
= 우선순위를 세우고 그 우선순위를 지키자!
p. 114
우리가 목표 달성을 힘겨워하는 이유는 장애물 때문이 아니라 덜 중요한 목표 쪽으로 훤히 뚫린 다른 길 때문이다.
- 로버트 브롤트
p. 117
누군가 당신에게 일정 정도 이상의 성공을 거둘 수 없을 거라고 말한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 누가 나에게 저렇게 말한다면 당연히 나는 화를 낼텐데.... 나는 나 자신이 정말 무의식의 레벨에서도 일정 정도 이상의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나? 나는 그동안 나 스스로의 한계를 정해놓고 있지 않았을까?
p. 124
새로운 팀원을 뽑을 때 "많은 실수를 저지르며 고생하겠지만 결과적으로 평생 기억에 남을 무언가를 하게 될 기회가 무궁무진할 것"이라 말하며 뽑음. 그 결과가 아이폰. '성장의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을 찾고 있던 것
= 크게 생각하면 큰 행동을 하고 큰 행동을 해야 내가 성장한다.
p. 125
용기가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것이 아니라 두려움을 넘어서는 것이라면, 크게 생각하는 것은 의구심을 느끼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는 것이다. 크게 생각하고 크게 살아야만 자신의 삶과 일에서 진짜 잠재력을 경험할 수 있다.
p. 139
초점탐색 질문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그것을 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바로 그 일은 무엇인가?"
= 나에게는 '투자'인 것 같다. 나에게는 내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 돈이 필요하고 그 필요한 만큼의 돈을 벌기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이 '투자'이다.
p. 140
큰 그림 = '나의 '단 하나'는 무엇인가?
= 투자
작은 초점 = '지금 당장 시작할 나의 '단 하나'는 무엇인가?'
= 오늘 (24년 5월 20일) 원씽 책 완독하고 후기 쓰기
p. 142
part 1. 내가 할 수 있는 일 = 비록 멀리 떨어진 지방에서 살고 있지만 '투자'를 할 수 있다
part 2. 그 일을 함으로써 = 돈을 벌어 내가 원하는 안정된 삶을 살면서 가족을 도울 수 있다.
part 3.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 시간을 확보함으로써 '근로' 또는 '노동'을 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p. 146
성공은 간단하다. 옳은 일을 옳은 방식으로, 옳은 타이밍에 하면 된다.
-아널드 글라소
p. 148
결과물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순간이면 언제나 그 초점탐색 질문을 던진다. 답을 찾고 나면, 여러 도미노 조각이 제대로 줄 지어 서 있음을 확인할 때까지 계속해서 같은 질문을 던진다.
p. 148
삶의 서로 다른 분야에서 자신만의 단 하나를 찾도록 도와준다. 정신적 행복, 신체적 건강, 개인적 생활, 핵심 인간관계, 일, 회사, 재정적 문제 등
p. 154
사람은 자신의 미래를 결정짓지 못한다. 대신 습관을 만들면 그 습관이 미래를 대신 정해 준다.
- 프레드릭 알렉산더
p. 158.
크고 구체적인 질문을 하자. "향후 6개월간 매출을 두 배로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향후 26년 2월 말까지 매 월 앞마당을 한 개씩 늘리면서 부동산 투자에서 기술적인 부분을 채우자
+ 초점탐색 질문 후 = 매 월 앞마당을 한 개씩 늘리자
p. 161
크게 성공하는 사람은 가장 바깥쪽에 있는 성취의 범위를 선택(가능성이 있는 것)한다. 그들 역시 그런 유형의 해답을 얻는 것이 아주 힘들다는 사실을 잘 알지만, 동시에 그것을 찾기 위해 팔을 뻗으면 스스로 더 크게 성장하면서 자신의 삶 또한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음을 안다.
= 당장 할 수 있는 것 / 최대한 힘을 발위해햐 하는 것 / 가능성이 있는 것 중에서 아주 힘들어보이는 '가능성이 있는 것'을 선택해 스스로 더 크게 성장하고 풍요롭게 만들자
p. 168
내가 가져야 할 '큰 단 하나'는 목적의식이고, '작은 단 하나'는 그 목적의식을 행동으로 옮길 때 필요한 우선순위다.
생산성이 높은 사람들은 목적의식과 우선순위에 대한 생각이 분명하고, 또다시 역으로 목적의식과 우선순위는 사람들이 높은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밀어붙인다.
p. 172
삶이란 자신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창조하는 과정이다.
- 조지 버나드 쇼
p. 175
훌륭한 삶을 만드는 간단한 공식. 목적의식을 갖고, 우선순위에 따라, 생산성을 위해 살아야 한다.
= 나의 목적은 무엇인가. 투자는 나의 자유를 위한 수단이고 자유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무엇을 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가족 및 나에게 소중하고 재미있는 사람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 + 내가 원하는 '일'을 급여 금액에 제한 받지 않고 할 수 있는 것을 '자유'라고 표현했다.
p. 180
행복은 만족을 느끼는 길에서 생겨난다. 행복의 5가지 요소는 긍정적인 감정과 기쁨(positive emotion & pleasure), 성취(achievement), 인간관계(relationship), 참여(engagement), 의미(meaning)이다. 이 중에서도 참여와 의미가 가장 중요하다.
= 내가 참여하는 것...번역은 참여라고 되어있지만 몰입이라는 단어는 너무 의미가 쎄고 빠져듦? 정도의 의미로 받아들이면 적절할 것 같다. 의미...나에게 의미를 가지는 것들은 어떤 것들일까 예전 직장에서는 티끌만큼일지는 모르지만 그래도 사회를 조금 더 좋은 곳으로 바꾸는데 나름 기여하고 있는 중이라고 생각하는 의미를 두고 일했던 것 같다. 그래서 굉장히 힘들었지만 출근을 하기 싫은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막 침대에서 일어나고 싶지 않고 왜 하는지 모르겠고 그랬던 적은 없었던 것 같다.
p. 181
재정적으로 부유한 사람이란 목적의식에 부합한 돈 이외에도 충분한 돈을 버는 사람.
행복이 목표일 때는 그것을 이루기 위한 수단을 통해서만 행복이 만들어질 수 있다. 행복은 더 큰 목적의식을 가졌을 때 나타난다. 그래서 행복은 만족으로 가는 길에 나타난다고 하는 것이다.
p. 183
목적의식을 가지고 살아라. 그러면 일하는 동안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콧노래를 부르고 휘파람을 불고 있을 것이다.
p. 185
목적의식을 단순하게 인생에서 다른 그 어떤 것보다도 강하게 원하는 단 하나라고 생각하라. 성취하고 싶으 ㄴ무언가를 적은 다음 그것을 어떻게 성취할 것인지 설명하라.
p. 186
계획을 세우는 건 미래를 현재로 가져오는 일이다. 지금 당장 미래를 위해 무슨 일이라도 할 수 있도록.
-앨런 라킨
p. 188
성공의 한 가지 진실. 이번의 순간에 무엇을 하느냐가 다음 순간에 무엇을 경험하느냐를 결정한다는 것. 당신의 '현재 지금'과 모든 '미래 지금들'은 분명 당신이 이 순간에 설정하는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된다.
p. 189
'과도한 가치 폄하' 보상이 먼 미래에 발생할수록 그것을 달성하고자 하는 즉각적인 동기가 줄어든다. 사람들은 미래의 것이 현재의 것보다 작다고 오해하고 가치를 폄하한다. 우리에게는 유혹을 뿌리치고, 올바른 우선순위를 정하고, 목적의식을 완수하는 데 조금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는 단순한 사고방식이 필요하다. 현재에 근거한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
p. 191
최종 목표 > 5년 목표 > 1년 목표 > 한 달 목표 > 일주일 목표 > 하루 목표 > 지금 목표
지금 당장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 때까지 생각하는 법을 훈련하고, 하나의 목표를 다음 목표와 연관 짓는 법을 훈련해야 하기 때문
지금 당장이라는 순간은 먼 미래와 너무나도 동떨어져 있어서 우선순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오늘'을 내가 가진 '모든 내일'과 연결시켜라. 모든 일련의 과정들을 하나하나 시각화해야 한다.
p. 195
목표를 종이에 적어라. 효과가 있다.
= 종이에 적어서 오만 곳에 붙여놓자 어자피 누가 보는 것도 아닌데 뭐 어떤가.
p. 198
나의 목표는 더 많은 일을 해내는 것이 아니라 할 일을 적게 만드는 것이다.
- 프랜신 제이
p. 199
자신에게 중요한 일을 하고 거기서 최대의 효과를 이끌어 내는 순간 탁월한 성과가 나온다
= 중요한 일을 하는 것 자체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p. 200
돈이 결과를 보여 준다면, 시간 관리 시스템의 성공 여부는 그것이 가져다주는 생산성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 나는 5년 동안 1만시간을 투자에 쏟을 계획인데(주당 40시간) 5년간 하면 10억을 벌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1시간에 10만원짜리 업무를 하고 있는 셈이다. 나는 1시간에 10만원짜리 시스템을 쓰고 있는 것이다.
p. 201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사람들은 그저 남들보다 오랫동안 일해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내에 더 많은 일을 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정해 두고, 독하게 그것을 지킨다. 그들은 시간을 정해 두고 지속적으로 행동하는 것과 탁월한 성과 사이에 연관 관계가 있음을 알고 있었다.
= 나는 독하게 정해 놓은 시간을 지키고 있는지 돌아보자
p. 202
중요한 시간을 미리 정해 두면 절대로 시간이 부족하지 않다. '시간 확보'는 시간을 일의 중심에 두는 매우 결과지향적인 방식이다. 해야 할 일은 반드시 끝나도록 만드는 방법이기도 하다.
p. 206
1. 휴식시간 확보하기 - 쉬는 것은 일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2.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 확보하기 - 휴식 시간을 정한 다음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확보해라 개인적인 '재창조'의 시간을 무시하고는 행복한 마음으로 성공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방해받지 않을 '절대적인 나만의 시간'을 확보해라. 하루 최소 4시간 이상.
3. 계획할 시간을 확보하기 - 매주 한 시간을 따로 떼어 연간 목표와 월간 목표를 검토하라. 연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 달에 어떤 일이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는지 물어라. 그런 다음 월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 주에 무슨 일이 일어나냐 하는지 물어라.
p. 215
"끈기는 장거리 경주가 아니라 계속해서 이어지는 여러 개의 단거리 경주이다"
- 월터 엘리엇
하루하루 자신의 가장 중요한 도미노를 넘어뜨리면 마법이 일어날 것이다.
= 정말 그 시간을 나의 기준에 맞게 빠져드는 만큼 푹 빠져서 하는가 매일 확인하자
p. 216
내가 정한 시간을 지키지 못하게 하는 방해물에 대한 대처 방법
"미안하지만 그 시간에는 이미 약속이 있어요"
"그 일을 ~시까지 마쳐도 괜찮을까요?"
"확보한 시간을 지키지 못했다면 대체할 시간을 찾아라"
p. 218
자신의 단 하나에만 정신을 집중할 수 있는 4가지 방법
1. 벙커를 지어라 - 방해 받지 않을 장소를 찾아라
2. 물자를 비축하라 -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모든 필요를 벙커에 비축해라
3. 지뢰를 찾아 없애라 - 전화기를 끄고 이메일을 닫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나와라
4. 도움을 구하라 - 나를 찾을 사람에게 언제 시간이 나는지 미리 알려라
시간을 따로 정해두기 위해 끊임없이 줄다리기를 해야 한다면 초점탐색 질문을 던져라
p. 221
최선을 다하는 사람은 절대 후회하지 않는다
- 조지 할리스
p. 221
남다른 성과를 올리려면 3가지 약속을 지켜야 한다.
1. 자신의 일을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자 해야 한다
2. 끊임 없이 최적의 길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방식이 틀리면 최선을 다해도 소용없다
3.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하고 있다고 기꺼이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p. 223
배움에는 언제나 더 높은 또 다른 수준이 있기 때문에 궁극적인 경지는 존재하지 않다. 전문성은 투자한 시간에 비례한다.
p. 225
단순히 최선을 다하는게 아니라 이룰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냥 최선을 다하는 것이 아니다.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가장 알맞은 방법으로 노력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일하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생산성이 높은 사람은 성취의 한계에 부딪치면 그것을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나 시스템, 더 나은 업무 방식 등을 찾아 길을 모색한다.
도전적 유형의 사람에게 장작을 구해 오라고 하면 당장 어깨에 도끼를 둘러매고 숲으로 항할 것이다. 반면 목적의식 있는 사람에게 같은 부탁을 하면 그들은 "어디로 가면 전기톱을 구할 수 있습니까?"라고 물을 것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만 있으면 된다.
p. 235
아마추어와 세 그룹의 전문 연주자들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미래에 전문 연주자가 된 사람들은 스승이나 코치를 찾아내고 그들의 지도하에 훈련을 했다는 점이다. 책임의식을 갖는 데 도움을 주는 파트너는 당신이 높은 생산성을 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p. 238
현명해지는 기술은 곧 무엇을 무시할지 아는 기술이다.
- 윌리엄 제임스
p. 239
생산성을 훔쳐가는 4가지
1. 아니오라고 말하지 못하는 것 - 거절하면 자유로워진다.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아는 것의 절반은 그것을 얻기 위해 무엇을 포기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다.
2. 혼란에 대한 두려움 - 단 하나에 집중하다 보면 다른 일들을 제때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한다.
3. 건강에 나쁜 습관들 - 정신적 건강을 위해 명상을 하고 좋은 걸 먹고 운동으로 스트레스를 줄이고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라. 애초에 일을 하는 이유가 그들 때문임을 기억하게 되고 생산성을 높이려는 동기가 샘솟을 것이다. 그리고 8시간 자라.
4. 목표 달성을 도와주지 않는 환경 - 나에게 유익한 사람들로 주변을 채우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이다. 나의 목표를 지지해 줄 사람들을 찾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멀리해라. 공간을 정비해라. 정신이 팔릴 만한 곳에 스스로를 놔두지 마라. 물리적 환경도 중요하다.
p. 258
너무 멀리 가는 위험을 무릅쓰는 사람만이 자신이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는지 알아낼 수 있다.
-T. S. 엘리엇
p. 260
성공을 목표로 할 때 중간 과정을 모두 건너뛰고 바로 결론에 이를 수 없다는 말이다. 남다른 성과는 그런식으로 창출되지 않는다. 단 하나를 위해 살 때 축적되는 지식과 가속도가 곧 남다른 삶을 살 수 있는 능력을 준다.
p. 261
믿음은 결과적으로 행동으로 이어지고, 행동을 함으로써 우리는 지금까지 한 모든 일을 약화시키거나 제자리로 돌려놓을 '그것'을 피하게 된다. '그것'은 후회다.
p. 263
결국에 "다르게 살았으면 어땠을까" 대신 "이렇게 살아서 기쁘다"라고 말하게 살아야 한다.
끝을 염두에 두고 시작하는 것이 현명한 접근법이라면,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에 대해 단서를 찾기 위해 죽음을 생각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을 것이다.
p. 264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았더라면>에서 가장 큰 후회는 바로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삶이 아닌 나 자신에게 솔직한 나만을 위한 삶을 살 용기가 부족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어떤 행동이 문제를 일으키는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가장 큰 후회를 남기는 것은 바로 하지 않은 행동이다.
p. 266
아이의 퍼즐을 맞추는 이야기
스스로 가능한 최고의 수준에서 남다른 성과를 올리려면 우리가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단 하나, 의심의 여지도, 의문의 여지도 없는 단 하나. 성공은 내면에 있다는 것이다.
=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안된다 꼭 물어봐야겠다. 풀어서 설명해달라고 해야하나? 예시를 들어달라고 해야하나?
스스로를 바로 세워라. 그러면 세상이 저절로 제자리를 찾을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