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회복탄력성
2. 저자 및 출판사: 김주환, 위즈덤하우스
3. 읽은 날짜: 2024.5.20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날 지지해주는 단 한사람 #같은환경 다른결과 #긍정성
똑같이 불우한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중에도 유독 역경을 이겨내고 자립하여 긍정적인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의 공통점은 꼭 부모가 아니어도, 어린시절 자신을 믿어주고 긍정해준 사람이 한명은 있었다는 것.
#어른이 되어도 기르는 마음의 근력
어렸을 때 회복탄력성을 기를 기회가 없었을지라도, 충분히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후천적으로 키울 수 있다. 자기조절능력을 키워 긍정적인 생각으로 전환하고, 공감능력을 키우고 넓고 깊은 대인관계를 유지하여 감정적 지지자들을 얻는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어떤 사건을 접했을 때 무의식적으로 떠오르는 부정적인 생각이 결국 내 하루를, 나아가 미래를 만든다.
2.대인관계를 좋게 만들려면 마치 친구사이에 나누는 대화처럼 공감할 수 있을만한 이야기로 물꼬를 트자.
3.행복의 기본수준을 높여야한다. 특별한 이벤트나 목표달성으로 얻는 행복감이나 실망감은 일시적이고 오래 못간다. 그럼 평소의 기본 행복수준으로 회귀한다.
4.나의 강점을 파악하고 발휘하기위해 긍정적인 정서를 스스로 일으킨다. 그럼 나의 효능감이 더 강력해지고 행복감이 높아진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하루의 마무리를 감사함으로 글을 적어 남기고 정리하며 뇌에 감사한하루로 기록시키자
2.본론 위주의 대화보다 공감할 수 있는 대화로 관계를 이끌어보자. 부담감을 빼고.
3.규칙적으로 산책을 하루에 한번 하는 것을 지키자
4.중요한 프로젝트, 시험, 계약을 앞두고 스스로 신바람나서 내가 즐기며 잘해낼것이라고 상상한다
5.뒤센의 미소를 항상 기억하고 미소짓자. 긍정의 기운을 습관적으로 불러일으키자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147) 우리는 스토리텔링의 다음과 같은 세가지 차원에 주목해야한다. 첫째, 개인성, 둘째 영속성, 셋째 보편성. 회복탄력성이 낮은 사람은 흔히 자신에게 닥치는 크고 작은 불행한 사건에 대해 지나치게 개인적이고, 영속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중략) 다시말해서 회복탄력성이 낮은 사람은 나쁜 일에 대해서는 내가, 언제나, 모든면이 다 그렇다는 식으로 크게 생각하고, 좋은 일에 대해서는 남도, 어쩌다가, 이번 일만 그렇다는 식으로 그 의미를 축소해서 받아들인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이와는 정반대로 한다. 나쁜 일에 대해서는 그 의미를 축소하고 좋은 일에 대해서는 더 크게 일반화해서 받아들인다.
(p.164) 상대방과 친해지려는 것이 목적이라면 친한사이에서 할 만한 이야기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즉, 서로 모르는 사이라는 사실을 전면에 내세우지 말고, 친구끼리 흔히 하는 대화처럼 “오늘 점심에 뭐드셨어요?”라고 시작하는 것이 좋다. “자장면 먹었는데요?” “그래요? 난 짬뽕 먹었는데”라고 이야기가 진행된다면 성공이다. 친구 사이에서 흔히 하는 이야기를 서로 나누게되는 순간, 우리의 뇌는 내가 지금 말하고 있는 상대방에게 친밀감을 자동적으로 느끼게 된다. 더 좋은 방법은 이미 서로 경험을 공유한 어떤 것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이다. 처음 본 사람이라 하더라도 대중매체의 시대에 사는 우리는 서로 공유하는 것이 무척 많다. 뉴스, 영화, 드라마, 음악, 스포츠 등등.
(p.227)대학 입학만을 바라는 고3 수험생들, 마음에 드는 이성에게 구애하는 절은 남녀들, 로또 당첨을 간절히 바라는 사람들. 이들은 aen 자신이 원하는 것만 이루어지면 영원히 행복할 거라는 환상에 사로잡히게 된다….. 원하는 것을 얻게 되든 얻지 못하든 간에 우리는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래의 행복 수준으로 되돌아오고 만다.
(p.232) 도이지에 따르면 “나는 이미 나이가 많이 들어서 머리가 굳어졌는데…”라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우리의 머리는 평생 굳어지지 않는다. 늙어 죽을때까지 우리의 뇌는 계속 변화한다. 뇌세포는 새로 생겨나지 않는다는 것도 잘못딘 속설이다. 뇌세포는 80세가 넘어서도 계속 만들어진다. (중략) 창의력을 연구한 레만과 딘 키스 사이몬튼에 따르면 대부분의 분야에서 창의력이 절정을 이루는 때는 서른 다섯에서 쉰다섯까지의 ㅇ녀령대이고, 60대와 70대의 사람들은 일하는 속도는 느려도 20대 때만큼 생산ㅇ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댓글
신라금관님 글 읽고, E-book 내서재에 책 넣어두었습니다. 저도 읽어봐야겠어요^^ 강의 들으면서 독서, 후기도 작성하시고 열심히 사시는 모습 멋집니다!!! 응원합니다. 신라금관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