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하하프리] 나는 나의 스무 살을 가장 존중한다

  • 24.05.24


1장. 가난했지만 꿈을 잃지 않았던 이유


P. 32

접근 방식을 다르게 하고 문제를 보면, 어느새 새로운 돌파구가 보이고, 답이 도출 되었다.


P. 33

그 돈이 되는 것이 내가 잘하는 것인지 살펴봐야 한다. 내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못하는지 나의 체를 통해 평가해야 한다.

>>> 나의 '체'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 이게 결국 나의 그릇의 크기를 얼마만큼 키울수 있는 가를 결정하는 거 아닐까? 내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보는 시각과 관점, 깊이가 달라지며 그 체만큼 나의 그릇도 커지게 되는 걸테니까.

낮은 링 위에서만 세상을 바라보니 한정적이고, 돈버는 길이 보이지 않는거다.

넓게 바라본다면.. 세상에는 돈 버는 일이 얼마나 많은데... 나의 '체'급이 낮아 보이지 않았던 것 뿐.. 나의 '체'급을 높여야 한다. 그동안의 나는 대중, 타인의 시선을 민감하게 신경쓰느라 정작 내 '체'급을 높이는 일에는 소홀했던 건 아닐까...


P. 34

내가 주변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어떻게 말하고 어떤 표정과 몸짓으로 소통하는지도 볼 수 있다. 어떻게 돈을 벌고, 어떻게 돈을 쓰는지도 바라볼 수 있다. 그 시선이 바로 자신의 체다. 그 체로 얼마나 넓게 볼 수 있는지, 얼마나 멀리 볼 수 있는지에 따라 인생은 달라진다.


P. 44

무의식의 의도와 당신의 의도가 일치할 때, 무의식은 공명이 되어 현실에 드러난다.

>>> 부자 마인드, 부자가 되겠다고 생각은 하지만 정작 나의 무의식까지 그렇게 당연하게끔 세팅하고 있었을까? 그렇게 생각하고 행동해야지 라고 말은 하지만 정작 내 무의식은.. 아직 불안하고 걱정이 남아있었던 것 같다. [내면, 무의식에 잇는 내 이미지를 바꾸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렇게, 정말 그렇게 된 것 처럼 생각하고 내 무의식을 세팅하자.

'나는 30억 자산가. 여유로운 삶을 산다'


P. 52

스스로 의사라 생각하는 일상은 말의 습관과 행동의 습관을 바꾸게 한다. 말과 행동이 바뀌면 그것을 만드는 생각도 바뀌게 된다. 습관화된 생각은 관성을 지니게 되고, 늘 비슷한 생각으로 이어진다. 그 결과 '나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행동하고 말하게 된다.


P. 56

일상이 된 생각은 미래를 바꿀 수 있다.


P. 59

당연한 실패의 경험, 그 행동이 행동하게 했다. 그리고 실패의 당연함이 쌓여갈 때, 성공의 당연함도 생기기 시작했다.

>>> 우실패가 두려워 행동하지 못했던 그동안의 나에게 꼭 필요한 말이다. '당연한 실패의 경험' '그냥 한 번 해보는 거다'라는 mind. 이걸 좀 더 어렸을 때 알았다면 좋았겠지만, 지금부터도 가능하다. 대신 좀 더 꼼꼼하게 잘 알아보고난 다음, 그리고 도전하고 행동하자. 실패는 내가 포기하지 않는 한 실패가 아니다. 그냥 과정이다! 대응하고 해결해 나아가자.


P. 61

성공 확률이 희박하지만 실패가 당연하기에 두렵지 않다.


P. 62

당연한 실패가 많아질수록, 당연한 성공이 많아지는 것이다.

적어도 그때 변화와 움직임이 일어난다. 그 변화와 움직임이 바로 우리의 운이다.


P. 63

당연한 실패는 도전을 어렵게 만들지 않는다.


P. 70

어차피 영화인데, 영화 속 장면에 불과한 공포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 '인생이 한 편의 영화임을 알면 영화가 주는 고통과 시련을 즐길 수 있다.' 인생은 쾌락과 즐거움만 있는 포르노가 아님을 명심하자. 내 인생을 포르노 영화로 만들지 말자. 그냥, 고정일 뿐이다. 성공한 내 미래에서 지금을 바라본다면 그때 별거 아닌데 힘들어 했었지.. 라며 미소짓고 있을 내가 보인다. 그땐 그때가 진짜 위기인줄 알았는데.. 하면서 웃고 있을 내 모습.

그냥 미래의 내 모습을 상상하며 감사하자. 지금 이런 과정도 성공의 과정이었음을 알게 되었음에 감사하자. 지금은 7-80살의 내가 다시 한 번 살고 싶어 할 오늘이니까. 매 순간 감사하고 일상에 행복하자.


P. 80

결핍되었기에 무언가를 가지려하고, 외로움이라는 결핍감을 만들어 사회적 관계를 만든다.


P. 84

"하영아, 삶은 한 편의 인생 영화일 뿐이야. 그냥 영화를 보듯 삶을 바라봐."

>>> 내 삶은 희노애락이 있는, 꺠달음이 있는 영화다. 너무 슬퍼하지도, 너무 마음 아파하지도 말고 그냥 과정이려니 생각하고 영화를 만들어 나가야지.


P. 85

세상을 볼 때가 아니라, 세상을 보고 있는 나를 바라볼 때, 인생을 수정할 수 있다.




2장. 20대에 알았으면 더 좋았을 것들


P. 92

내 무의식에 각인된 수술의 지식과 경험, 지혜와 앎이 나를 움직이게 한다.


P. 96

아무리 노력해도 결과가 좋지 않은 이유는 이 당연함을 당신이 허락하지 않아서다. 당연히 그렇게 된다는 것을 허용할 때, 인생이 그렇게 될 것이다.

>>> 무의식을 변화시키고 나의 성공과 부의 성취가 당연함을 허락하자. 그냥 당연하게 그렇게 되는거라고 생각하기!!! 훗날의 나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노력하자.

잘하면 즐거워지고, 즐거운일을 할 때 몰입이 일어나니 잘하기 위해 노력하자.

노력이 빛을 발할 수 있도록, 무의식이 몰입과 만날 수 있도록 노력하자.

즐거울 수 있을만큼의 실력도 쌓아가자.

꼭 그렇게 될거다.


P. 101

원그당을 탈퇴하고 대중과 멀어져라.

>>> 원래 그래 , 그냥 그래, 당연히 그래 >>>> 내가 버려야 할 표현들!!!!!


P. 103

기록하면 반드시 성장한다. 친구들에게 카톡을 보내듯, 자신에게도 보내보자.


P. 130

인간은 모르기 때문에 두려운 것이다.


P. 131

경험을 통해 알게 된 과거의 기억이 미래 예측의 기준이 된다.


P. 135

인생은 변화하지 않아도 될 수백 가지의 이유를 가지고 있다. 그게 바로 무의식 때문이다.


P. 141

나와 남의 관계는 사실 나와 나의 관계가 표현된 것이다. 내 안에 상처받은 뿌리 감정이 그를 통해 표현되는 것이다.


P. 153

완벽은 충족의 차원이고, 완전은 존재의 차원이다.


P. 155

우리는 완벽하지 않다. 하지만 완전한 존재다. 미완벽이 우리를 완전함으로 이끈다.


P. 156

'지금'이라는 '과정'은 과거 내가 그토록 원했던 '결과'로 가는 '통로'임을 알게 된다.

>>> 완벽한 삶이 아닌, 완전한 삶을 살자. 현재는 미래의 성공한 나로 가는 과정일 뿐이다.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 아니, 완벽한 삶이란 있을 수 없고 100% 충족되는 인생을 사는 사람도 없다. 오늘의 완전한 일상에 감사하고 즐겁게 살자. 즐거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노력하자. 그렇게 몰입하자.


P. 158

쉽고 즐겁게 해야 잘하게 된다. 잘하려고 하면 잘하지 못한다. 그 잘하려는 무게가 완벽이라는 환상을 만들기 때문이다.


P. 159

완벽은 없다. 그 미완벽이 당신이고, 당신이 있는 세상이다. 그렇기에 당신의 삶은 완전하다.




3장. 매일 조금씩 나를 성장시키는 습관


P. 164

습관은 한번 들이기 쉽지 않지만, 습관이 된 일상은 하지 않으면 어색하다. 그 찜찜함에 나도 모르게 책을 펼친다.


P. 167

3-4개의 키워드로 요약한다.

>>> 책을 읽는거에서 그치지 말자. 무한정 정보를 받아들인다고 해서 다 내것이 되는 것도 아니다. 내 언어로 바꾸어 정리하고 표현해서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정리할 땐 3-4개의 키워드로 요약하기!!!


P. 173

눈앞의 사건보다 그 사건을 판단하는 내 생각이 나를 힘들게 한다.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그 생각들 대부분 부정적이다. 그리고 부정적 느낌과 감정을 동반한다.

>>> 눈 앞의 상황이 나를 힘들게 하는게 아니다. 사건과 문제에는 감정이 없다.

내 불평, 불만, 불안이 문제나 상황을 부정적으로 이끔을 기억하자.


P. 186

삶의 많은 부분이 마찬가지다. 내 생각대로, 계획대로 이루어진 것은 1%도 되지 않는다. 나머지 99%는 어떤 운에 의해서, 우연한 기회가 와서, 나도 모르는 인연이 펼쳐져 만들어진다.


P. 189

생각과 계획은 내가 하지만, 결과는 세상이 만들고 있다. 그 세상을 믿고 지금 이 순간을 충실히 보내보자.

>>> 과정을 즐기면서 나아가기. 미래는 반드시 좋을거라는 믿음과 확신을 가지고, 오늘 해야 할 일에 충실하고 현재의 사소한 일들에서 행복을 느끼자. 이런 하루하루를 쌓아가자.

부자가 되어서도 행복하지 않다면 그것 또한 얼마나 슬픈가.


P. 214

달변가는 말을 유창하게 하는 사람이 아니다. 달변가는 생각이 정리된 사람이고, 자신의 삶을 나의 키워드로 정리한 사람이다.

>>> 책 보고난 후 글로 정리해서 내 생각을 옮기는 연습을 해야한다.

다른 사람의 표현을 빌리지 말자. 그냥 온전한 내 생각을 정리하는 연습하자.




4장. 당신이 부의 시작을 알게 된다면


P. 247

우리는 생각하며 사는 게 아니다. 습관대로 움직이며 산다. 그 습관화된 생각, 무의식의 관념이 우리를 말하고 행동하게 한다. 그래서 좋은 습관이 좋은 인생을 이끈다.


P. 254

그들의 욕망과 그들의 기준이 나의 가치가 되어 버렸다. 우리가 타인의 꿈을 쫓는 이유다.


P. 259

청춘을 바쳐 돈을 버는 이유는 돈 자체의 숫자를 늘리기 위한 것이 아니다. 자신의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다.


P. 264

대중은 돈에 대한 두려움과 결핍을 품고 있다. 대중이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다.




5장. 그 시간들을 보내고 깨달은 인생의 비밀


P. 282

열심히 하려고 하면 절대로 열심히 할 수 없다. 즐거워야 하게 되고, 즐거우면 나도 모르게 앉아 있다.


P. 297

그 힘든 과거가 성공한 미래와 연결된 과정임을 알면, 그 시간을 즐길 수 있는 힘이 생긴다. 그것이 깨달음의 힘, 앎의 힘이다.


P. 298

삶을 감사할 때, 오늘 하루를 감사하면 허용이 이루어진다. 감사하면 받아들이게 된다. 그 과정을 통해 우리는 미래를 선물 받게 된다.

>>> 힘든 일들에 함몰되어 감정의 늪에 빠지지 말기. 과정일 뿐임을 알고 있는데, 잘 될거라는 걸 아는데... 죽을듯이 힘들어 할 이유가 뭐가 있나. 단지 그냥 부자가 되는 과정에서 겪는 순간일 뿐임을 기억하고 순간순간에 감사하자. '이 것 또한 감사합니다.'


P. 301

어젯밤에 읽은 책을 정리하고 요약하고 기록한다.


P. 303

없는 것만 바라보면 없는 자가 되어버려 있는 것도 사라진다.

있는 것에 감사하면 있는 자가 되어버려 없는 것도 나타난다.

>>> 있는 것에 감사하자. 충분히 가지고 있음을 기억하자.


P. 306

결과는 찰나의 과정이고, 과정은 결과의 연속이다.


P. 307

지금의 과정이 있어야 결과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P. 333

삶은 우연이고, 인생은 운이다. 내가 생각하고 계획을 세우고 노력도 하지만, 노력의 결과는 세상이 만들어낸다. 세상이 그 결과를 책임진다. 그리고 세상은 우리의 무의식이 만들고 있다.


P. 340

'열심히'라는 포장지로 '두려움'의 마음을 덮는다. 하지만 열심히 산 오늘의 선물, 포장지 속 미래는 어떠한가? 여전히 불안한 미래만 남을 뿐이다.

>>> 나의 무의식부터 다시 세팅하자. 두려운 마음을 감추기 위해 열심히라는 포장지로 감싸지 말기.


P. 342

'열심히'는 내일을 향하지만 '충실히'는 오늘을 만들기 때문이다.




에필로그


P. 352

사실 알고 보면 사는 게 힘들고, 현실이 어려운 이유는 하나다. 생각의 늪에 빠져서다. 힘든 상호아을 힘든 상황으로 여기는 내 생각이 나를 힘들게 한다. 그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부정적 생각이 불안을 만들고, 그 불안이 두려움으로 이어진다. 생각지옥이 펼쳐진다.

>>> 꼭, 기억하자. 생각의 늪에 빠지지 말자.


P. 353

내가 생각을 잡지 않으면, 생각은 나에게 머무르지 않는다.

>>> 두렵고 불안한 마음은, 잡아두지 말자. 흘려보내자.


P. 355

저항하면 지속되고, 허용하면 흘러간다.




※깨달은점※


개인적으로 인생을 한 편의 영화로 본다는 내용이 가장 인상깊다.

내가 겪는 모든 힘든 순간순간 그 상황과 문제에 빠져 허우적대기 보단 내가 훗날 부자가 되기 위한, 더 잘 되기 위한 과정임을 인지하고 감사하면서 대응방법을 찾는거.

무의식적으로도 잘될거라는 확실한 믿음을 가지되, 충실히 하루하루를 사는거.

그게 나의 희노애락이 있고 깨달음이 있는 한편의 영화를 가장 잘 만들어가는 길 아닐까.

계획한대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실패하더라도 그냥 당연한거라고 생각하며 받아들이자.

그리고 다시 하자. 어짜피 난 이런 과정속에서 성공을 향해 나아가는 거니까.

나만의 멋진 영화 한 편을 만든다고 생각하면서 순간에 충실하고, 너무 두려워하고 불안, 좌절에 빠지지 말고. 안 좋은 생각들은 흘려버리면서 오늘 주어진 하루에 감사하자.

그리고 가장 중요한 기본 베이스로 내 무의식을 긍정적으로 세팅하기!!!!




※적용할점※


  1. 아침에 짧게라도 명상_긍정적인 마인드 장착 + 시각화
  2. 뭐든 기록하자. 키워드정리! 해보자!
  3. 불안한 마음 잡아두지 말고, 흘려보내기. 생각하지 말자.
  4. 내게 주어진 오늘 하루 충실하게 살기. 감사하기.



댓글


하하프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