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이번 강의는
지역분석이라는 코스요리를
전문으로 다뤄주시는 요리명장
게리롱님의 디너쇼같았어요.
먹기 쉽게 발골하고
조각내어주신 덕분에
D지역을 더 깊이 알게 되었다고 확신하고,
어떤 식으로 분석해야
지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지
깨닫게 되는 강의였습니다.
#1. D지역이 지닌 가치
어머니의 고향이라
어릴적 부터 많이 갔던 곳이고,
4개 구를 다녀봤지만,
게리롱 튜터님이 설명해주시기 전까진
그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했네요.
지역분석 코스요리를
이 지역이 가진 가치가 어느정도인지
파악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하셨는데,
튜터님의 판단 방법으로
설명을 듣다보니
이렇게 지역의 가치를 제대로 인지하고 가야만
정확한 가치판단이 가능하고
나아가 다른 지역들과
비교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BM, 위상과 가치를 알 수 있는 지표들
#2. 힘들어도 기본은 전체적인 파악부터
지금껏
매달 한 개구(시)에 대한
임장보고서 작성이 목표이다보니,
해당 구가 속한 시 또는
해당 시가 속한 권역에 대한
분석은 제대로 하지 않고
비교 및 참고용으로
가볍게 보고 지나가는 수준으로
임장보고서를 작성했었는데
그러다보니
해당 권역에서 내가 가진 임장지의 위상을
제대로 파악하기는 힘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게리롱 튜터님의
강의를 듣다 보니,
D지역이라는 '큰 판'을 알게 되었고
한 개의 임장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권역 또는 시 전체적인 '판'을
파악해놓는게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시간이 부족하다고 했었지만,
생각해보니 한 번 제대로 해놓으면
다른 구를 갈때도 계속 해서 쓸 수 있는
장점도 있을 것 같네요 :)
BM. 해당 시의 모든 구를 같이 분석해서 전체적인 판을 파악한다.
#3. 투자전략
임장보고서 결론 부분을 작성할 때,
이 지역의 투자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그 때 이런 저런 비교를 하게 되는데,
이렇게 깔끔하게 비교하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는 것에
굉장히 감탄했습니다.
어느 도시든 고정적으로 파악하는 것과,
교통이 크게 발달한 곳이기에 파악하는 것과,
나쁜 지형이 매우 많은 곳이기에 파악하는 것들을 나열해서,
실제로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거기서 끝나지 않고 다른 입지가치들 보다
우선시되는지도 파악하여
적용 순서를 결정하는 것 등
튜터님이 보여주신
분석툴과 투자전략들을
여러번 되새기면
더 확신을 가지고 투자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BM. 강의 전반적인 분석툴과 투자전략
정말 먹기 쉽게 잘 만들어 주신 고기를
입에 넣어주시길래
넋놓고 입벌리고 있었네요.
이제 씹는 건 제 몫이겠죠?
4 주간의 지방투자 강의를
마무리 짓는 완벽한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게리롱 튜터님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