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중반 돈의 심리학 독서후기[열중37기 3억 싸게 사고 4배 불리는 완전 럭키비키조💛 카키]

  • 24.06.05

돈의 심리학


적당히 합리적인게 나을까? 철저히 이성적인게 좋을까? 어떤 전략이던 크게 상관은 없다. 동일한 전략을 오랬동안 유지하는게 중요하다. 오랬동안 같은전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롱런이 중요하다. 즉 파산하지 않는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나의 멘탈적 지구력, 금전적 지구력을 확보하기만 한다면 끝이다. 이 정도는 개개인마다 다르므로 투자 포트폴리오의 정답이란 없다. 인덱스펀드 투자 vs 엑티브 펀드 투자를 예로들때 확실히 체감이 되었다. 엑티브 펀드로 9번 실패해도 마지막1번이 대박 터지면 그것으로도 부자가 된다. 9번 실패해도 파산하지 않는 체력만 된다면 인덱스 펀드로 꾸준히 60세까지 달리면 부자가 된다. 둘은 크게 다르지 않다.


20대초 의 경험이 그 사람의 투자 성향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는 내용을 읽었다. 하락장, 상승장에서의 대처방법또한 그럴것이 분명하다. 중요한 것은 내가 어느 시대에 20대 초를 보냈던지와 상관없이 더 합리적인 행동이 있을 수 있다는것을 깨닫는것이 아닐까? 게리롱님, 너바나님도 모두 하락장의 역전세를 경험하신 분이었다. 그분들의 판단은 어떻게 해서든 내 투자를 지키면서 나의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것. 가치가 있는 투자를 했다면, 언젠가는 빛을 본다는것을 알고 지켜나가는것의 태도를 취하겠다. 저자는 투자에는 정답이 없고, 밤에 잠을 잘 잘 수 있는 투자를 하라고 한다. 대출을 하고 전세상승분을 재투자 해야 자산이 빠르게 늘어나겠지만, 이것에 대해서도 빠르게 공부 하고 원칙을 세워야 겠다.


  1. 돈 문제에 있어 각자 의견은 다르다. 혼란을 존중하라
  2. 내 시간을 내 뜻대로 하는데 돈을 써라
  3. 내가 원할 때 , 원하는 것을, 원하는 사람과 함께 : 꼭 뒤로 미뤄서 복리매직을 보는 것만이 장땡은 아니다. 아직 복리매직이 크게 작용하지 못하는 젊은 시절도 내 삶이다. 저축했을 때의 돈을 계산해보고 그것보다 더 의미 있는 일에만 쓰도록 하자. 나의 경우 40~42세 사이에 주택 마련을 하면 은퇴시기가 50세→ 58세로 늘어난다.. 돈으로 환산 했을때 내가 8년으로 동일한 저축, 수익률(연4000, 15%.수익률)로 버는 돈인 6억원의 손실이라고 생각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지불 할 것이다.
  4. 밤잠을 설치지 않을 방법을 택하라 -이게 내가 밤에 잘 자는 데 도움이 될까? 라는 기준은 모든 금융 의사결정에서 누구에게나 최고의 이정표다. : 마냥 맘편한 판단만 하라는 뜻이 아닌 듯. 리스크에 대해서 끊임없이 공부하고, 리스크 헷지의 방법을 마련하고, 가치판단에 심혈을 기울이라는 뜻이다. 그것들이 너의 잠을 지켜줄 것이다.



댓글


카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