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아주 작은 반복의 힘
2. 저자 및 출판사: 로버트 마우어 / 스몰빅라이프
3. 읽은 날짜 : 2024.06.16
4. 총점 (10점 만점): 7.5점 / 10점
(p.9) 우리 뇌는 변화를 무척이나 싫어한다. 이런 까닭에 변화가 급격하고 과격할수록 뇌의 저항 또한 강렬하고 격해진다. 그래서 우리는 변화를 위해 뇌를 속일 필요가 있다. 뇌가 변화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변화의 정도를 아주 가볍고 작게 하는 것이다.
(p.11) 아주 작은 것에서 출발해야 더 빠르게 성공할 수 있다는 변화의 원칙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p.85) 나는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자기 자신에게 상처를 주는 것을 많이 봐 왔다.
이럴때 나는 또 다른 스몰스텝 전략의 한 방법을 권해준다.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이나, 그날 행한 긍정적인 행동 등에 대해 이야기하게 하는 것이다.
(p.89)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지금 내가 취할 수 있는 작은 행동은 무엇일까?"
"건강(혹은 인간관계, 경력 아니면 다른 어떤 것들)을 조금이라도 향상시키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일은 무엇일까?"
(p.97) 신경과학에서는 인간의 뇌가 정보를 한꺼번에 수용할 때보다 아주 적은 정보, 일반적으로 믿는 것보다 훨씬 더 적은 정보를 조금씩 수용할 때 더 효과적으로 작동한다고 얘기한다.
(p.97) '상상요법'
자신이 향상시키고 싶은 것을 완벽하고 자신감 있게 해내는 모습을 상상하라고 한다.
이것을 실행하는 사람은 자신이 실질적인 행동에 돌입해 있다고 가정한다.
(p.137) 변화를 위해 작은 계획들을 아무리 잘 짰다고 할지라도 때때로 저항이라는 벽에 부딪히기 마련이다. 하지만 포기하지 마라. 처음에 시도했던 작은 변화가 어렵다면 그조차도 줄여야 한다. 진짜 목표는 이것이다. 작은 행동을 선택한 이유는 노력한다는 느낌조차 들지 않게끔 만들어 두려움을 우회하는 것이다. 행동이 쉬워야 뇌가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가 된다. 장애물을 뛰어넘어 목표에 이르는 길은 이후의 일이다.
(p.191) 보상이 크면 클수록 인간의 자기 능력에 대한 의구심도 따라서 커진다. 데밍 박사에 따르면 사람들은 모두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갖고 싶어 하고 또 유용한 공헌을 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큰 보상이 주어지게 되면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게 된다. 보상 자체가 목표가 되어 일에서 찾아야 하는 자극과 창의성이 억제되는 것이다.더 나아가 한번 큰 보상을 쥐게 되면 새로움을 추구하려는 내적 동기가 약해지거나 사라지게 되는 경향도 있다.
-뇌는 변화를 싫어한다.
-뇌가 뇌가 변화를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행동을 작게 쪼개야 한다.
스텝밀 1분씩 늘리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