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 비교평가
개인적으로 비교평가를 제일 어렵게 생각해왔다.
지금까지 임보 작성 시 비슷한 가격대 단지들을 나열시켜 가격을 흝어보았는데
여러 단지를 한 번에 보다 보니 어디가 저평가 된 단지인지 한눈에 들어오지 않고 어떻게 봐야 할지
망막하게만 느껴왔다.
하지만 주우이 투터님께서 비교평가하는 것을 보면서
단지 대 단지 즉 1:1로 비교하는 것을 보니 쉽게 와닿고 쉽게 비교평가 되는 기분이 들었다.
웬 만하면 1:1로 비교하고,
만약, 3개 단지를 비교한다면 아예 높거나, 낮은 단지를 빼놓고, 비슷한 단지 2개를 비교한 다음
다시 단지를 1:1로 비교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가치를 먼저 확인하고 그 다음 가격 얹혀놓는다.
가치를 평가할 때
두 단지 간 입지요소인 교통, 환경, 학군을 절댓값으로 우위를 보고
그와 더불어 균질성, 연식, 지하철 접근성, 호재 등을 넣어 가치판단을
내린 다음에 가격을 씌어 비교하는 것을 보고 인상 깊었고,
마지막 아실 그래프로 확인 사살까지 하면서 비교평가를 하는 것을 보고 이렇게 해야겠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가치성장투자, 소액투자, 투자 후순위 즉 생활권 단지를 상, 중, 하로 나눠서
투자 우선순위를 미리 결정함으로써 시장 상황과 분위기에 따라서 어떤 순서로 투자를 진행할지에 대한
방법을 임보 작성 시 적용해 봐야겠다.
마지막으로, 그 지역과 생활권의 랜드마크 단지와 저평가 및 관심 단지는 시세 트래킹 리스트에 넣어
한 달에 1번식 시세가 어떻게 변하는지 트래킹 해야 한다는 말씀은 꼭 잊지말아야 되겠다.
댓글
영원한보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