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자모님의 강의는 항상 너무 명쾌하셔서
속이 뻥-!!
뚫리는 것 같습니다!
이번 강의에선 확실히 이전 강의들 보단
레벨업 된 것 같단 느낌이 팍팍 들었는데요
특히 송파구/강동구/서대문구의 입지를 비교해보고
단지대단지로 비교해 보며
후보군을 추려나가는 신기술(?)에
머리가 터지는 줄 알았지만
확실히 중급반 다운 수업이었다!! 싶었습니다.
한층 어려워지니 더 재밌어지는 자모매직-!🪄
실준반 때는 임장보고서에 어떤 입지분석 요소를 써야 하는지를 배웠다면
이번 강의에서는 그 입지 요소들을 왜 알아야 하고
그 요소로 인해 어떤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지를
배운 강의였습니다.
동작구 사전임보 작성하며
생활권 마다 가족구성 형태(세대당 인구수)가 다른데
이 점이 어떻게 선호도와 연결되는지 궁금해서 조톡방에 질문드린적 있었는데
이 부분을 알게되어 너무 좋았습니다!
인구수⬆️ 세대당인구수⬆️ 형태인 생활권일 수록
사람들이 선호하는 동네일 가능성⬆️ 인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세대당 인구⬇️ 인 곳은 1~2인 가구 거주비율이 높아
더 비싼 집에 비용을 지불 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 대형평수⬇️
사전 임장 때 지도만 보고도 대충 어떤 동네일지
느낌이 온다고 하셨는데
이젠 저도 보이더라구요!
아파트가 많은 동네인지 빌라가 많은 동네인지
그 지역에 어떤 직장이 있느냐에 따라
어떤 거주 요소가 중요해지는지가 달라진다.
예: 월급 많이 주는 큰 기업(500대 기업 또는 거주자 평균연봉)이 적다면, 배드타운이므로 교통이 중요하다 => 역세권 단지 인기
"직장의 양과 질이 상급지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쉽게 말해,
돈 많이 받는 직장인일 수록
더 비싼 집을 사는게 용인된다.
=> 부동산 수요로 직결된다.
업무지구로 바로 출퇴근할 수 있는
선호 호선이 따로 있다!
고소득 가정일 수록 아이 학업에 관심이 많다.
집에 여유가 있을 수록, 학군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집에 여유가 있다 = 부동산에 더 돈 쓸 수 있다.
하지만, 지역 별로 초중 까지만 학군 데이터가 유의미 한 곳도 있고
초중고 까지 중요한 곳도 있고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 또한 지역 분석을 잘 해야 선호 학군과 단지를 알 수 있다는 것 또한 알게 되었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모든 것이 부동산으로 귀결되는 것 또한 신기했습니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곳 = 거주하기 좋은 환경(편의시설), 아파트가 몰려 있는 곳.
이러한 요소들을 각 지역 별로 대입해 분석해보고
거주민들이 어떤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파악한 뒤
가장 적합한 단지는 어디인지 찾아 내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리고 나서 그 안에서 또 비교평가를 하게 됩니다.
비교 평가 하는 방법은 특급비법이니까
강의를 통해 파악하는 것으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