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실전준비반 1강 강의를 듣고...
열기에서 배웠던 입지분석에서 좀 더 디테일하게 분석하는 방법이 새롭게 느껴졌다.
이번 실준반에서 임보 지역인 동탄 1 지역을 하루 종일 머리속에 그려보았다.
결혼 후 14년동안 살면서 이렇게 동탄1 지역의 지도를 뚫어지게 본건 처음이였다.
(1) 지역정보
단순히 지도의 위치만 생각해지 행정동, 법정동 등 새로운 개념들이 신선했다.
동탄살면서 동탄 1동인지 2동인지도 몰랐는데 이게 행정동이 였고,
반송동, 능동, 석우동 이건 법정동이였다.
지적편집도는 한번도 생각해 보지 못했던 주거지역, 공업지역, 상업지역을 나누어 해당 지역의 주요기능 및 특징을
알 수있는 것이였다.
인구도 단순히 인구수가 아니라, 세대별(연령별), 동별 인구현황에 따른 입지분석의 툴로 활용하는 점이 흥미로웠다.
또한 열기강의때 너바나님께서 말씀하셨던 인근 도시와의 인구이동 부분도
실준반에서 좀 더 자세히 배울 수 있었다.
단순 해당지역의 공급량만 고려하는 것이 아닌 인구이동과 연관된 주변 지역의 공급계획도 투자시 고려해야할 중요한 포인트인것을 배웠다.
(2) 입지분석
직장, 교통, 학군, 환경, 공급 열기때 배운 기본 지식이 있어서, 다시금 복기하는 시간이였고,
좀 더 세밀하게 분석하는 것들이 몇몇 보였다.
해당 지역의 직장인 연봉부분, 학군에서는 구단위 평가기준과 생활권, 단지평가 기준, 학업성취도에 특목고 진학률의 관점으로 보는 것, 스타벅스의 위치와 갯수, 상권도 좀 더 세부적으로 쇼핑, 외식, 병원, 학원 등으로 보는 것 등등
한단계 레벨업된 관점에서 입지 분석하는 부분들이 향후 입지분석 시 적용해 보아야 할 점으로 느꼈다.
(3) 시세확인
해당 임장지역의 평단가와 전세가율을 찾고, 대장아파트의 위치와 특징/가격 수준을 파악하는 방법,
단지별 시세조사를 통하여 매매/전세호가를 조사하는 방법,
시세조사 후에 흩어져 있는 시세를 정리하여 시세지도를 그리고 지도에 위치, 입지분석요소, 가격, 투자의 생각등을 작성하는 법을 배웠다.
(4) 단지분석
시세지도를 기준으로 단지를 분석하고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
열기강의때 귀가 따갑게 들었던 저환수원리를 기준으로 시세파악된 단지들 중 1등을 뽑는 방법,
특히 1등을 뽑는 방법 부분은 좀 더 여러 앞마당을 만들면서 스킬을 늘려야할 부분으로 보였다.
1강을 마치면서
솔직히 조급한 마음이 들었다. 강의듣고 임보를 어떻게 쓰지 라는 부담과 압박감이 들었지만,
강의 마지막에 말씀하신
완벽보다는 완료를 목표로 하자는 말을 듣고
다시금 맘을 다잡고 달려보려 한다.
내일은 새롭게 만나게 되는 실준반 59기 11조 조모임이다.
새로운 분들과 만나서 에너지를 얻고 동기부여를 하려고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