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강의를 들으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왜? 와이?가 있는 것이었다.
나는 납득되지 않으면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는 사람이라 앞마당이 왜 필요한지, 임장보고서를 왜 써야하는지, 이 부분을 왜 봐야하는지에 대해서 알려주시는 게 너무 좋았다.
왜? 라는 부분을 알고 보고서를 쓰고 임장을 하면 나같은 초보는 어디에 중점을 두고 봐야하는지 잘 보이고 감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1) 투자하기 전 고려해야 할 3가지: 가치, 가격, 비교평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 이 가치에 이 가격이 어울리는가
BM: 가치를 알기 위해서 비교평가를 해야하고 비교평가를 하려면 앞마당이 많아야 함. 가격은 네이버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시세 트레킹해야함
2) 투자를 하며 주의할 점: 수요가 약한 것을 사면 안됨(예: 오피스텔, 빌라 등), 급지만 좋은 것을 사는 것도 안 됨
감정적으로 사는 게 아니라 비교평가로만 사야함
서울 수도권의 투자=땅을 산다. 그 아파트가 서 있는 위치가 어디인지가 중요함
입지가치 분석 > 사람들의 선호도
BM: 땅을 사는 것이다. 구가 상급지라도 단지별로 가치가 낮은 게 있을 수 있고 하급지라도 가치가 높은 게 있을 수 있다. 높은 가치의 집은 싸게 사는 것이 내가 해야할 일
3) 임장보고서는 과제가 아니라 투자 계획서다. (예: 떡볶이 가게)
투자적으로 입지가치와 선호도에 대해 사고를 하고 있는가가 가장 중요함
느낀점: 아! 머리를 맞은 느낌이었다. 임장도 사실 힘들었는데....... 보고서 쓰는 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원래 이렇게 무식하게 하는 게 맞나 싶을 정도로 비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2만원도 아니고 수천만원 이상의 돈을 지출하는 일인데 계획서없이 투자할 수는 없다.
BM: 나의 주관이 아니라 입지가치와 사람들의 선호에 대해 계속 사고를 해야 함
4) 인접지역이 중요한 이유: 가격을 주고 받고 인구도 주고 받음
지적도: 지역의 기능 도시의 기능, 특징을 알 수 있음
느낀점: 지적도만 보고도 나중에는 예측이 되는 때가 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듦
BM: 상업지역이 크면 직장 종사자수를 확인하고 직장의 질을 판단해서 베드타운인지 직장으로 수요를 끌어들일 수 있는지를 판단해보기
5) 서울, 경기는 직장, 교통이 가장 중요함. 찐학군지는 학군이 중요하지만 그외에는 삶의 인프라, 환경이 더 중요함
지방의 경우 인구수가 매우 중요함.
느낀점: 찐학군지(대치, 목동, 광장)가 아니면 학군은 비등비등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균질성, 환경을 더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
BM: 같은 구 내, 학군이 좋다는 부동산 사장님 말에 혹하지 말기, 찐학군이 아니면 환경이나 삶의 인프라가 더 중요함
6) 일자리와 집값의 관계: 일자리가 많은 곳이 소득이 풍부하며 소득이 높을수록 가격이 반등할 가능성이 높음. B등급 이하일 경우, 이 지역에 이사오는 이유는 일자리때문이 아님
느낀점: 집살 때 일자리만 확인했어도.... 이렇게 하락장에서 더 떨어지고 상승장에서 덜 올라가지는 않았을텐데
BM: 공부하자. 일자리가 없는 베드타운이라 일자리로 가기 위한 교통을 중점으로 봐야함
들을 때는 아~ 그렇구나 하며 들었는데 막상 쓰려고 하니 잘 기억이 나지 않아서 다시 또 돌려보고 돌려보다가 그 다음 강의부터는 계속 일시정지하며 강의 보고 한챕터 끝나면 임장보고서를 썼다.
진도가 잘 나가지 않는데... 조원들에게 조언을 구해야할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