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동네 아파트 매매물량은 많은데 전세물량이 없네요. 이건 어떤 뜻인가요?

광장동에는 구축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는데요.

학군지로 유명하긴 합니다. 시세조사를 해보니 매매물량은 좀 있는데 전세물량이 거의 없더라고요.

지금 시장이 좋지 않아서 그럴까요? 아니면 학군지라 실거주자들만 많아서 그럴까요?

 

시세 조사할 때, 매매/전세 저층과 고층 제외하고 가격을 적는데요.

중층이 없을 때는 어떻게 시세를 조사하는 게 좋을까요?

매우 단순한 질문이지만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월부 앱 설치하면 남겨주신 질문에 답변이 달리면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앱 추가 방법 : 공지사항 > 신규멤버필독 게시판을 참고하세요!


댓글


후안리user-level-chip
24. 07. 13. 23:41

안녕하세요 맥코이님! 매매물량은 많이 있고 전세물량은 거의 없어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하시군요! 전세물량이 거의 없다는건 실사용가치가 높아 살고는 싶지만 시장이 좋지않아 아직은 소유하고싶지 않아일수도 있을 것같습니다. 또는 살고는 싶지만 갖고싶지 않은 경우일수도 있구요! 저의 앞마당이 아니고 어떤 아파트인지는 알 수 없어 두가지 경우를 말씀드립니다. 광장동의 학군지라 말씀하시니 전자일 확률이 더 크겠네요! 저는 시세조사할때 중층이 없다면 고층을 적습니다. 저층은 1~3층일 확률이 큰데 고층은 무조건 탑층은 아니더라구요! 하지만 투자해야할 단지라면 부동산에 중층가격을 물어볼 것같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해결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홧팅입니다!

보통아user-level-chip
24. 07. 14. 01:02

안녕하세요 맥코이님 매매물량은 많은데 전세물량이 적은 것은 매우 다양한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실제로 거주하지 않지만 주택을 매수해서 전세(또는 월세)를 놓습니다 그렇다보니 실거주 하는 사람들만 있다면 전세로 내놓은 집이 없을 수 있고 전세입자가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야 집주인은 새로운 세입자를 구하려 전세를 내놓을텐데 지금 같은 비수기로 이사를 가지 않는 경우 주변 전세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못 가는 경우 맥코이님 말씀처럼 거주는 해야 하지만 가격이 떨어지는 상황이나 굳이 보유하고 싶지 않은 아파트라면 매매보다는 전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세조사를 하시는 경우 부동산에 문의해보시는 게 가장 정확하구요 최근 거래되는 가격을 확인해보셔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늘배user-level-chip
24. 07. 14. 11:40

안녕하세요 맥코이님~ 전세와매매 물량에 관해 질문주셨는데요.전세는 줄고 매매는 아직많은 현재 시장의 상황을 반영한거지않을까 싶습니다.현재 전세를 내놓아도 비수기라 안나가는점, 실수요자들이 집을 매매하기보다는 전세로 살고싶은 수요가 있다고 생각하시면될것같습니다. 또한 시세조사시 실거래가 나 전화임장을통하여 가격을 적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