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안녕하세요?
끝까지 살아남아서 지금으로부터 10년 안에 목표를 달성한 트레져입니다!!!
2주차 강의에서는 자모님이 내 집마련의 기준을 알려주셨습니다.
자모님이 알려주신 그 기준에 따른다면 내 집마련을 통해 거주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내 자산을 불릴 수 있는 집을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1.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하자!!
요즘 서울 시장은 다시 뜨거운 분위기이며, 이 분위기는 기사를 통해서도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의 마음은 조급해지기도하고, 내가 진작 샀었어야했는데하며 후회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시장의 분위기에 저도 약간은 불안한 마음이 들기도 했었는데요.
자모님은 이런 시장에서 우리는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구분하여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라는 것을 강조해주셨습니다.
자모님이 이번 강의 뿐만 아니라 자모님의 월부스터디에서도 이와 같은 얘기를 해주셨는데…
그때도 지금도 이 말씀이 가장 많이 와 닿았고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계속 이 말이 머리 속에 맴도네요.
지난간 것에 대한 후회와 현재의 불안함은 멀리하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집중하면서 최선의 선택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시장의 단편적인 모습만 보고
또, 누구나 원하는 아파트가 올랐다고해서 모든 아파트가 오른 것처럼 너무 시장을 단일화해서 바라보기보다는 개별화하여 입지와 가격에 집중하며 쪼개보도록해야하겠습니다.
그럼 내 집마련을 위한 기회가 꼭 있을 것이다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므로!!!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해나가면서 그 안에서의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해야겠습니다.
2. 내 집 마련에 대한 나의 에고를 깨라!!!
(익숙함과 부정적인 생각 버리기)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익숙함을 선택하는데 내 집마련을 할때도 똑같이 생각한다며..
자모님께서 내 집마련은 나의 상황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좋아하는 요소가 있는 교집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시면서 이 요소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하는지 알려주셨습니다.
저도 무언가를 선택할 때 익숙함을 먼저 선택하는 것이 보통 일반적이긴 한데….
내 집마련은 익숙함보다는 입지 요소들 중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요소들을 체크하며 내 집마련을 선택해야하겠습니다.
자모님이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아파트가 내가 원하는 지역, 내가 원하는 아파트가 아닌 점에 실망하기도 했을 거라며….또 괴로울 수도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왜 이 강의를 듣는지 그 목적과 목표가 무엇인지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시는 말씀을 듣고 부정적인 생각은 버리게되었습니다.
1강때도, 2강때도 강의를 듣고 나서 드는 생각이
비록 지금은 내가 만족하는 아파트를 선택할 수는 없을지라도 내 집마련을 위한 기준을 지켜 비싸게 사지 않는다면다음 번에는 내가 원하는 집을 마련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이 들었습니다.
3. 내집 마련 뿐만 아니라 투자에는 공식이 있는 것이 아니다.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다.
자모님이 내 집 마련은
1) 기준에 맞춰 선택하고
2) 가격이 싸며
3) 내가 감당 가능하고 만족할 수 있는 자산가치가 있는 것이라면 매수를 하는 것이라고 하셨는데..
위와 같이 간단한 프로세스를 내 집마련에 적용하면되나…
한 번의 선택으로 인생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생각…
이 보다 더 좋은 집이 있지는 않을까라는 생각….
이게 최선인가?라는.. 여러 생각과 걱정으로 마음이 불안하여 확신을 갖고 선택하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하지만 자모님께서는 이 모든 걱정과 불안을 한번에 깨트려주셨는데요…
내 집 마련이든 투자든 공식이 있지 않다.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나쁜 선택을 하지 않고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한 기준과 그 안에서의 상대 평가가 있는 것이지.
완전한 절대값으로 하나의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말씀이 것이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이번 강의는 내 집마련을 위한 기준을 알려주시기도 하였지만
내 안에 있는 편견과 걱정, 불안을 없애주는 그런 정신 교육도 함께한 강의였던 것 같습니다.
댓글
트레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