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돈의속성 독서 후기[열반스쿨 중급반 39기 12조 비빌언덕1]

  • 24.08.12

STEP 1.책의 개요

  1. 책제목 : 돈의속성
  2. 저자 및 출판 : 김승호, 스노우폭스
  3. 읽은날짜 : 2024. 8. 8
  4. 총점(10점만점) : 10점 / 10점

 

STEP 2.책에서 본  것

p.15 돈은 인격체다.

돈은 당신을 언제든 지켜보고 있다. 다행이 돈은 뒤끝이 없어서 과거 행동에 상관없이 오늘부터 자신을 존중해주면 모든것을 잊고 당신을 존중해줄 것이다. 돈을 인격체로 받아들이고 깊은 우정을 나눈 친구처럼 대하면 된다. 그렇게 마음먹은순간, 돈에 대한 태도는 완전히 바뀌기 시작한다. 작은 돈을 절대로 함부로하지 않게 되고, 큰 돈은 마땅히 보내야 할 것에보내주게 된다.

 

p.26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의 힘

수입이 일정하지 않다는 말은 또 다른 말로, 개인의 재능이나 재주가 많아서 단기간 많은 수입을 얻는다는 뜻이다. 이런 사람들은 자신의 수입이 생기는 대로 일정한 소득이 나올 수 있는 부동산이나 배당을 주는 우량 주식을 사서 소득을옮겨 놓아야 한다. 하루라도 빨리 일정한 소득으로 옮겨놓지 않으면 비정규적인 돈은 정규적인 돈을 소유한 사람들 아래로 발려 들어가고 말 것이다. 정규적인 돈과 비정규적인 돈이 싸우면 언제든 정규적인 돈이 이기기 마련이다.

 

P.29 돈은 중력의 힘을 가졌다.

처음 1000만원은 노동과 시간, 오롯이 나 혼자 이루었지만 그 1000만원이 스스로 일을 해서 나를 돕고 있기에 둘이 함께 일하는 셈이다. 즉 나와 자본이 다른 자본을 만들기 위해 함께 일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두번째 1000만원을모으기 위한 노력 수치는 95 정도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수치는 두번째 1000만원을 모으고 세번째 1000만원을 모을수록 점점 작아진다. 처음 1000만원을 모으는데 10개월이 걸렸다면, 두 번째 1000만원은 9개월 다음은 7개월 다음은5개월 이렇게 줄어든다. 처음 1000만원 100이 들었다면 1억원이 되는 마지막 1000만원은 20 혹은 30의 힘으로 만들어진다.

 

p.31 리스크가 클 때가 리스크가 가장 작을 때다.

흔히 주식시장에서는 돈을 버는 활황기에는 리스크가 없는 거서럼 보이고, 주가 폭락기에는 리스크가 큰 폭으로 증가한것으로 생각한다. 폭락장에서 얼마나 깊고 오래 손해가 발생할지 모르니 그 리스크가 너무 커 보여 아무도 주식을 사지않아 급락한 것이다. 사실은 그 시기가 리스크가 가장 줄어 있는 때다.

 

p.124. 돈을 다루는 네 가지 능력

돈에 있어 네 가지 능력에 따라 자산이 늘어난다. 이 중에 하나만 갖고 있는 사람도 있고, 넷을 모두 갖고 있는 사람도 있다. 이 능력은 돈을 버는 능력, 모으는 능력, 유지하는 능력, 쓰는 능력으로 나뉜다

돈을 버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부자라 부르지만, 부자가 부를 유지하려면 이 네 가지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하나라도 있으면 부자가 될 수 있으나 부를 계속 유지할 수는 없다.

 

STEP 3.책에서 깨달은 것

  1. 돈은 감정을 가진 실체라서 사랑하되 지나치면 안 되고 품을 때 품더라도 가야 할 땐 보내줘야하며, 절대로 무시하거나 함부로 대해서는 안된다→ 돈은 생활하는데 필요 수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 생각했는데 돈을 인격체로 생각한다는 점이 인상깊었고, 작은 돈도 소중히 다뤄야 겠다고 깨달았다.

  2. 수입이 일정하지 않을수록 수입이 생기는 대로 일정한 소득이 나올 수 있는 부동산이나 배당을 주는 우량 주식을 사서 소득을 옮겨 놓아야 한다.→수입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큰 돈을 만진다면 어느정도는 써도 된다고 생각했지만 비정규적인 돈은 절대 정규적인 돈을 이길수 없다는 것을 알고 이제는 일정한 소득이 나오는 곳에 잘 보내줘야 겠다고 깨달았다.

  3. 처음 천만원을 모을 땐 나의 노동과 시간만으로 이뤘지만, 그 천만원이 스스로 일을 해 나를 돕고 있기에 둘이 일하는 셈이다. 두번째 천만원을 모을 땐 노력 수치를 95 그다음 천만원을 모을 땐 점 점 작아져 1억원이 되는 마지막 천만원은 20 혹은 30의 힘으로 만들어 진다.→ 이 부분에서도 김승호 회장님의 돈을 인격체 다루는 모습이 보여진다. 혼자 일하기 보다는 돈과 같이 일하며 돈을 모은다는 회장님 말씀에 격 공감하고, 우리가 생각하는 돈 모으기와 부자들의 돈 모으기는 다르구나를 느꼈다. 등차수열 보다는 등비수열을 통해 부를 이루는 방향으로 생각을 좀 더 넓혀야 겠다.

  4. 욕심은 리스크를 낳는다. 이 욕심이 대중에게 옮겨 붙으면 낙관이라는 거품이 만들어진다. 거품은 폭락을 낳는다. 그러나 자포자기하고 두려움에 떠는 시기가 오면 봄이 오고 해가 뜬다.→확실히 부자들은 일반인과 다르다.. 또한 저러한 말들은 귀가 닳도록 들었지만 막상 내가 그 상황이 온다면? 기회를 잡을 수 있을까? 다시 한번 감탄하지만 꼭 배워야 할 기술로 보인다. 부자들은 이런 기회들을 확실히 본인들의 것 으로 만들어 그때마다 부를 저축해 왔기 때문이다.

 

STEP 4.책에서 적용할 점

  1. 조급하지 말아라.
  2. 작은 돈을 쉽게 생각하지 말아라.
  3. 일정하게 들어오는 소득을 하루빨리 만들어라.

  4. 돈을 다루는 네 가지 능력을 하나하나 만들어가자. 

  5. 매수와 매도에 대한 스스로의 기준을 갖자.


댓글


아침공기
24. 08. 13. 06:05

잘 정리하셨네요! 덕분에 책 내용 한 번 더 되새겨봅니다 :)

부이룸
24. 08. 13. 14:26

뭐죠~ 교과서 수준인데요??!! ㅎㅎ 매달 강의에서 만나는 조원분들 중에 언덕님같이 똑부러지는 분들이 계셨어요... 열중에서는 언덕님께 많이 배우고 가겠습니다..^^ 엄청난 투자자가 되실것 같아요..응원하겠습니다..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