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의 세세한 원칙을 세울 수 있었던 강의였습니다.
체력만 믿고 지방에 투자하겠다고 결심했던 제가 조금씩 어떤 시각으로 지방 아파트를 바라봐야하고, 어떻게 효율적으로 손품과 발품을 팔아야 하는지 배워서 좋았습니다. 지역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스스로 생각하게끔 제시해주시는 여러 통찰과 노하우들이 정말 좋은 레버리지가 된 것 같습니다.
지방투자에서 살펴봐야할 실질적인 투자 데이터는 어떤 것들인지 제대로 알게 되었습니다.
인구와 직장, 학군, 환경, 교통을 바라볼 때도 단지 수치만을 보는게 아니라, 지방중소도시의 개별적 특징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각 요소들의 우선순위들을 머릿속에 쏙쏙 넣어주신 강의였습니다. 강의에서 말씀해주신 방향대로 하나씩 하나씩 따라가다보면 한 지역을 투자자의 관점으로 뜯어본다는 것이 무엇인지 저도 실천할 수 있는 날이 오리라 생각합니다.
지방을 바라볼 때, 팽배한 선입견을 그대로 받아들일 게 아니라, 가격이 왜 떨어졌을까(또는 왜 올랐을까)하는 의문을 가져보고, 그 이유를 파악해보려는 노력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지역은 가격이 이미 많이 올랐어, 떨어졌어라는 일반인의 관점이 얼마나 근시안적인 것인지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지방의 기회는 공급과 전세가의 추이를 잘 살펴보면서 개별 지역과 단지를 뜯어보는 것으로 판단해야지 선입견을 가지고 생각할 부분이 아니란 점을 느낄 수 있었던 강의였습니다.
지방 중소도시의 단지를 선별할 때는 입지보다는 상품성에 좀더 포커스를 두고 바라봐야 한다는 점을 사례를 통해 실감나게 보여주셔서 크게 경각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당연 입지 좋은 최신축은 어디에서나 좋은 투자 물건이 되겠지만, 투자금이 부족하거나 너무 고평가된 경우에는 입지를 하나씩 내려가면서 최신축과 준신축을 보는 것이 맞고, 구축을 투자하려면 정말 입지 좋은 곳에서 전세가가 유의미하게 우상향할 가능성이 있는 단지를 보수적으로 잘 살펴야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급적 투자해서는 안되는 단지의 기준을 정확히 잡아주셔서 앞으로 투자생활에 크게 실패할 가능성을 현저히 줄이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드래곤워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